@슴슴한고슴도치

728x90

[종목분석] 코오롱인더 120110

테마/업종/관계도 FICS 종목명
수소전기차 - 연료전지/OLED - 소재·부품/타이어/폴더블폰 - 소재·부품 / 타이어 화학 코오롱인더

 

 

종목차트

1년 

 

http://comp.fnguide.com/

 

Business Summary 토픽 자세히
Business Summary[2020/12/21]
매각자산,중단사업으로 순이익 증가
동사는 코오롱의 제조사업부문이 분할되어 신설된 제조회사로 2010 1 5일자로 분할 등기를 완료함. 사업특성상 산업자재군, 화학소재군, 필름/전자재료군, 패션군, 의류소재 등의 5개 사업군으로 나뉘며 산업자재군이 가장 큰 매출 비중을 차지함. 세계 최초로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핵심 부품인 윈도우 커버용 투명폴리이미드 필름 (상표명 CPI®)를 생산 및 판매하고 있음.
2020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8% 감소, 영업이익은 43.1% 감소, 당기순이익은 235.8% 증가. 코로나로 다소 감소한 매출을 기록함. 원재료 가격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생산설비의 증가로 영업이익은 큰폭으로 감소함.  매각 및 중단사업으로 순이익이 크게 증가함.  다양한 사업영역을 영위하고 있어 경기변화에 대해 유동적이고 즉시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정상적 경기 상황에서 실적의 안정세가 양호함.

Business Summary[2021/04/26]
매출 감소에 따른 수익성 악화
2020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4% 감소, 영업이익은 11.9% 감소, 당기순이익은 526.2% 증가. 원가율 하락과 판관비 절감 노력에도 불구하고 매출 감소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함. 코로나19가 실적 악화의 원인임. 다양한 사업영역을 영위하고 있어 경기변화에 대해 유동적이고 즉시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정상적 경기 상황에서 실적의 안정세가 양호함.


Business Summary[2021/06/27]
매출 증가에 따른 수익성 강화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2% 증가, 영업이익은 160.3% 증가, 당기순이익은 69.3% 감소. 매출액 증가와 더불어 원가율 개선을 바탕으로 영업이익은 대폭 증가하였음. 2020년 하반기부터 백신보급에 힘입어, 제조업 가동률이 상승중이며 주요 소비재들 수요도 회복추세에 있음. 경량화 소재인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사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향후 친환경차량 부품소재 시장의 성장률이 가파를 것으로 기대됨.
수소전기차 - 연료전지
국내 자동차 부품인 수소연료전지용 수분제어 장치 개발. 수소연료전지의 핵심 부품으로 꼽히는 막전극접합체 기술을 미국 고어사로부터 도입.

OLED -
소재·부품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핵심 부품인 윈도우 커버용 투명폴리이미디 필름(CPI)을 생산 및 판매. (2021.3.31 기준, 출처: 분기보고서)

타이어
타이어의 내구성과 안정성 등을 높여주는 화학섬유의 일종인 폴리에스터(PET) 타이어코드 생산. 글로벌 점유율 15%로 세계2.

폴더블폰 - 소재·부품
세계 최초로 CPI(투명폴리이미드)개발하고 양산 체제를 구축한 유일한 기업.

종목 선택시 다각적인 사업 포트폴리오를 좋아한다. CPI 필름 가치 상승 기대 / 타이어코드는 제품인증이 필요한 진입 장벽이 있는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 화학 부분 및 패션부문은 현재까지 적자가 예상된다.  석유수지 증설 및 자동차용 소재시장 확대가 앞으로의 영업이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가 된다. 

네이버 금융

제목 정보제공 날짜
코오롱인더, 10 만에 분기 영업익 1000 넘었다 헤럴드경제 2021.08.03 10:36
코오롱인더, 2Q 영업익 1036억원산업자재·화학부문서 호조(상보) 이데일리 2021.08.03 10:01
코오롱인더, 2분기 영업익 1000억원 돌파···'10 만에 최대' 머니투데이 2021.08.03 09:19
관련뉴스 3 더보기    
코오롱인더, 2Q 영업익 1036전년比 182% 아시아경제 2021.08.03 09:55
코오롱인더, 2Q 영업익 1036억원전년比 181.78% 이데일리 2021.08.03 08:57
코오롱인더스트리, 2분기 영업익 1036전년비 182% 이데일리 2021.08.03 08:56
코오롱인더, 2분기 영업익 1036전년비 181.8% 헤럴드경제 2021.08.03 08:36
코오롱인더 2분기 영업이익 1,036...전년比 181.78% 서울경제 2021.08.03 08:51
코오롱인더, 코오롱머티리얼 자회사 편입…"원단 사업 접는다" 머니투데이 2021.08.02 17:46
코오롱인더, 코오롱머터리얼 완전자회사로 편입 결정 이데일리 2021.08.02 17:05
코오롱인더,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ESG 실천 아시아경제 2021.07.02 14:51
코오롱인더, 지역사회 상생 위한 자원봉사강서구와 MOU 이데일리 2021.07.02 14:25
관련뉴스 3 더보기    
[사진]코오롱인더스트리 '1 수소대상' 수소혁신대상 수상 머니투데이 2021.07.01 16:23
수소 소재·부품의 영웅, 이무석 코오롱인더스트리 상무 머니투데이 2021.07.01 14:30
[특징주] 코오롱인더, 역대급 실적 기대감...52 신고가 아시아경제 2021.06.30 10:26
[특징주] ‘실적 기대감’...코오롱인더 52 신고가 서울경제 2021.06.30 10:01
신한금투 "코오롱인더 올해 영업익 9 만에 최대치"...목표주가 11... 서울경제 2021.06.29 08:21

 

 

네이버 금융

코오롱인더 없어서 못 팔고 있다 키움증권   21.04.01 26150
코오롱인더 작년 4분기 영업이익, YoY +400% 증가 전망 키움증권   21.02.02 13937
코오롱인더 내년 영업이익, 올해 대비 40.9% 증가 전망 키움증권   20.11.09 12047
코오롱인더 분기 실적이 개선되는 화학주 키움증권   19.12.20 7802
코오롱인더 2020년, 증익 추세 지속 전망 키움증권   19.12.02 4333
코오롱인더 Spread Play를 할 시점 키움증권   19.01.07 2520
코오롱인더 본업 실적 정상화 및 CPI 가치 상승, 매수 추.. 교보증권   18.12.20 2319
코오롱인더 급등한 원재료 가격 영향 키움증권   18.11.14 1547
코오롱인더 4분기부터 실적 정상화됩니다. CPI 기대 놓치.. 교보증권   18.11.14 1511
코오롱인더 로욜 & 코오롱인더스트리 Cross, 가능성 有 교보증권   18.11.05 1639
코오롱인더 원재료가 급등 영향으로 3분기 실적 부진 전.. 키움증권   18.10.31 959
코오롱인더 4분기 개선 및 CPI 가치 상승 기대, 매수 추.. 교보증권   18.10.22 1653
코오롱인더 반갑다 Surprise ! 이제부터 CPI 모멘텀 Full.. 교보증권   18.08.10 2294
코오롱인더 If 스미토모 OK, Maybe 코오롱인더 OK ! 매수.. 교보증권   18.06.08 4438
코오롱인더 2Q, 산업자재/패션부문 성수기 효과 발생 전.. 키움증권   18.04.26 1371

 


코오롱인더 없어서 못 팔고 있다

키움증권|2021.04.01|조회 26152

올해 1분기 영업이익, 시장 기대치를 크게 상회할 전망 코오롱인더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584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20.2% 증가하며, 최근 급격히 높아진 시장 기대치(508억원)를 크게 상회할 전망이 다. 패션부문의 적자가 큰 폭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전방 자동차/타이어 업황 개선으로 산업자재부문의 실적 턴어라운드가 전망되기 때문이다. 1) 산업자재부문 영업이익은 400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63.4% 증가할 전 망이다. 작년 전염병 창궐에 따른 물량 측면의 기저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 상되는 가운데, 전방 자동차/타이어 수요 개선으로 타이어코드/POM/에어백 /자동차 시트/EP 등의 가동률이 급격히 개선되었고, 5G/전기차 시장 확대로 아리미드 또한 견고한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2) 화학부문 영업이익은 172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4.5% 감소할 전망이다. 페놀수지/폴리우 레탄 판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국내 경쟁사 가동률 상승으로 인한 석유수지의 경쟁 심화에 기인한다. 3) 필름/전자재료부문 영업이익은 85억원으로 작년 동 기 대비 57.7% 증가할 전망이다. LCD 업황 호조로 편광판용 PET 필름 및 DFR 판매량이 증가하였고, 포장용 PET/나일론 필름 수요가 견조한 상황을 유지하고 있으며, MLCC 수급 타이트로 MLCC용 PET 필름 수요가 확대되고 있고, 투명PI필름의 판매량 확대에 기인한다. 4) 패션부문 영업이익은 -53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적자폭을 크게 줄일 전망이다. 코비드19 관련 기저 효과가 발생하는 가운데, 지속적으로 진행하였던 사업 구조조정 및 재고 관리 효과에 기인한다

 

타이어코드, 클럽 비즈니스 특성 보유 동사 산업자재부문의 주력 제품인 타이어코드는 현재 물량이 없어서 못 파는 상황이다. 전방 업체들의 수요 증가에 기인한다. 한편 타이어코드는 안정성 이슈로 고객사들의 제품 인증이 2~5년이 걸리는 진입 장벽이 있는 시장이다. 이에 수요가 급격히 좋아진다고 신규 업체가 생산능력을 단기간에 늘리기 쉽 지 않은 특성이 있다. 한편 최근 전기차용 타이어 수요 증가로 아라미드가 혼 용된 나일론 타이어코드 제품가격이 급등세에 있다. 동사에 대해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고, 실적 개선을 고려하여 목표주가를 기존 8.7만원에서 9만원 으로 상향 조정한다


코오롱인더 2020년, 증익 추세 지속 전망

키움증권|2019.12.02|조회 4334

타이어코드, 클럽 비즈니스 특성 보유 동사 산업자재부문의 주력 제품인 타이어코드는 현재 물량이 없어서 못 파는 상황이다. 전방 업체들의 수요 증가에 기인한다. 한편 타이어코드는 안정성 이슈로 고객사들의 제품 인증이 2~5년이 걸리는 진입 장벽이 있는 시장이다. 이에 수요가 급격히 좋아진다고 신규 업체가 생산능력을 단기간에 늘리기 쉽 지 않은 특성이 있다. 한편 최근 전기차용 타이어 수요 증가로 아라미드가 혼용된 나일론 타이어코드 제품가격이 급등세에 있다. 동사에 대해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고, 실적 개선을 고려하여 목표주가를 기존 8.7만원에서 9만원 으로 상향 조정한다

 

아라미드 수요, 2025년까지 연평균 6.6% 성장 전망 산업자재부문 중 아라미드는 내년 큰 폭의 실적 개선에 예상된다. 1) 아라미 드는 내년 동사를 제외하고 큰 규모의 증설이 제한된 가운데, 5G 광케이블, 미국/유럽 신규 방탄 입찰 증가 등 수요 증가로 수급 타이트 현상이 발생하 고 있고, 2) 동사는 내년 초 2.5천톤의 생산능력을 증설하기 때문이다. 또한 증설분은 기존 라인 대비 생산 속도가 빠르고, 고부가 제품 비중이 커, 실제 생산능력/매출액은 추가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참고로 2018년 57.8천톤의 세계 아라미드 수요는 2025년 90.5천톤으로 연 평균 6.6%의 성장을 지속할 전망이다. 각국 신형 방탄복 수요 증가 및 안전 규제 강화로 방탄/방호용 수요가 증가하고, 경량/친환경 제품 소비 확대로 Hybrid 타이어코드 및 After Market 아라미드 패드 사용이 확대되며, Cloud/Data Storage 적용 급증으로 광케이블용 수요가 고성장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동사는 올해 상반기에 2015년부터 분할 지급하였던 듀폰과의 소송에 관련된 합의금($275백만)/벌금($85백만)을 지급 완료하였다. 이에 내년부터 잉여현금 흐름 창출을 통한 레버리지 개선이 추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고부가 석유수지 증설 발표 코오롱인더는 약 500억원을 투자하여, 2021년 1월까지 여수 석유수지 1.3만 톤을 증설할 계획이다. 이에 증설이 완료되면, 동사의 석유수지 생산능력은 20만톤으로 증가하며, 세계 2위 업체로 등극하는 동시에, 석유수지로만 연간 7,000억원 이상의 매출액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증설하는 석유수지는 독자기술로 개발 완료한 고순도 방향족계 석유수지 (High Reactive Resin)이다. HRR은 내열성과 내구성이 뛰어나 실란트, 타이 어 및 자동차용 접착제 등 고성능 산업용 접착제로 높은 수요가 예상된다. 또 한 동사는 향후 2만톤의 추가 고부가 제품 증설을 검토하며, 자동차용 소재 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역내 경쟁사의 증설로 단기적으로 수첨수지 업황은 부정적인 상황이나, 아시 아 시장에서의 위생용품 수요 증가로 아시아 수첨수지 시장은 2015~2020년 12% 수준의 성장을 지속할 전망이다

 

CPI 필름, 가동률 개선 전망 동사의 CPI 필름 상용화 라인 가동률은 올해 4분기부터 빠르게 개선될 것으 로 예상된다. 최근 해외 고객사 판매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아웃폴 딩 폴더블폰에 적용되는 CPI 필름은 2장이 투입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11 월 중순 공개된 인폴딩 폴더블폰도 CPI 필름 2장이 사용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동사 가동률에 추가적인 개선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한편 내년 폴더블폰 출하량은 올해 대비 약 325% 증가한 1,360만대 수준이 될 것을 예상된다. 아직 일반 스마트폰 대비 미미한 수준이나, 저조한 중국 OLED 패널 수율 등을 고려하면, 실제 CPI 필름 사용량은 폴더블폰 출하량 대비 3~4배 이상 클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로 동사의 100만m2 상업화 CPI 필름 라인은 8인치 기준 약 3,000만장, 6.2인치 기준 약 6,000만장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코오롱인더 4분기부터 실적 정상화됩니다. CPI 기대 놓치 마세요!

교보증권|2018.11.14|조회 1512

4분기부터 실적 정상화됩니다.CPI 기대 놓치 마세요 !

4분기 실적 급증 및 CPI 가치 상승 기대, 매수 추천 원재료 가격 급등에 따른 3분기 실적 급감 불구, ① 원재료 가격 약세 국면 진입 · 패션 최 성수기에 따른 4분기 실적 급증 및 ② 삼성 폴더블폰 출시 임박에 따른 CPI(Colorless Polyimide Film) 가치 상승 기대, 투자의견 ‘매수’ 유지 3분기 실적 부진의 핵심인 주원재료 가격 급락 중. 산자/필름의 주원재료인 TPA 가격 급 락(고점 대비 △155$/MT), 그리고 화학의 주원재료인 C5/C9가격을 가늠할 수 있는 납사 가격 급락(고점 대비 △179$/MT). 반면 9월 이후 3분기 원재료 가격 급등분 반영하여 제 품가격 인상은 여전히 진행 중. 4분기 큰 폭의 스프레드 개선 기대. 로욜에 이어 삼성전자 폴더블폰 내년 1~2월 출시 확실. 최근 동사 테스트용 CPI 출하 크 게 증가하고 있어. 삼성전자 뒤를 이어 화웨이/LG전자 등 폴더블폰 내년 상반기 출시 확 실 판단. 내년 폴더블폰 양산 설비 보유한 당사 CPI 채택될 수 밖에 없어. 실적 부진에 가리워졌던 CPI 가치는 실적 개선과 함께 재차 부각 기대.

 

3분기 영업이익 220억원(QoQ -317억원), 원료가 상승 및 패션 최비수기로 급감 3분기 연결 실적, 매출액 1.1조원(YoY +4.3%, QoQ -2.8%), 영업익 220억원(QoQ -317 억원, QoQ 산자 -19, 화학 -8, 필름 -27, 패션 -198, 의류소재 등 -64), 全 부문 부진으 로 전분기 대비 실적 급감. ① 산자: TPA 가격 급등(QoQ +126$/톤)에 따른 타이이코드 스프레드 위축으로 감익. ② 화학: 2분기 Exxon-Mobil 증설분(수첨수지, 9만톤/년) 유입 및 원재료가 상승에 따른 스프레드 위축으로 감익. ③ 필름: 가격 인상 불구, TPA 가격 급 등분의 전가 미흡으로 적자 지속. ④ 패션: 비수기 및 4분기 마케팅 비용 선집행으로 급감. ☞ 4분기 영업이익 영업이익 637억원(YoY +117억원, QoQ +416억원, QoQ 산자 +14, 화 학 -21, 필름 +35, 패션 +376, 의류소재 등 +13), 3분기 원재료 가격 상승분의 제품 가격 전가 및 패션 최성수기 진입으로 실적 급증.

 

**CPI(Colorless Polyimide Film) 세계 최초로 CPI(투명폴리이미드)개발하고 양산 체제를 구축한 유일한 기업.

 

 

728x90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