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슴슴한고슴도치

728x90

[모아보자] 관련주 _ 전염병(코로나19) - 제약

 

그런데 왜 이 관련주 인가? 

토픽 전염병(코로나19) - 제약

토픽 설명
3줄 요약

▷ 코로나, 전파력 강한 RNA바이러스
▷ 국내외 제약사 코로나19 백신 개발 경쟁 중
▷ 신규 확진자 증가, 백신 도입 여부 등의 이슈에 주가 등락


전염병은 사스(2003년)와 메르스(2015년)처럼 사람간 전염되는 호흡기 질환이 대표적. 전염병 발생시 소비 심리 악화, 외부활동 자제 등으로 경기 위축 우려가 발생.

홍콩의 경우 사스가 발생한 2003년 초 이후 소비 심리 및 소매판매가 위축이 4~5월까지 진행되다가 확진이 진정되던 6월부터 빠르게 회복되었으며 4~5월에 한시적으로 숙박시설 점유율 또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남.

한국의 메르스도 2015년 5월 20일부터 한 달간 확진환자 수가 집중적으로 늘어나면서 그 해 6월 백화점 판매와 음식/숙박업 위축을 가져왔음. 다만 이때 당시 민간소비 영향은 야외활동 위축으로 온라인 쇼핑이 급증하면서 SARS 당시 대비 적었음.


2019년 12월에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이후 코로나19) 발생. 코로나19는 사스와 메르스처럼 포유류나 조류에서 호흡기질환을 일으키는 RNA바이러스. RNA는 DNA에 비해 안정성이 낮기 때문에 변형이 쉽게 일어나 백신 개발에 어려움이 있음.

코로나19는 과거 사스와 메르스와 달리 무증상 환자의 전파력이 강해 세계적으로 확진 속도가 더욱 빠른 상황. 실제로 바이러스 발생 이후 꾸준히 감염 환자 증가. 2021년 4월 23일 기준 전 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 환자는 1억 4531만명을 넘어섰고 사망자 수는 308만명. 국내는 누적 확진자 11만6661명이며 사망자는 1811명.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가 범유행전염병(팬데믹)임을 선언(2020.03.11).


글로벌 제약사들은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경쟁 중. 현재 미국 FDA(식품의약국)에 긴급사용용도로 허가된 코로나19 백신은 화이자, 모더나, 존슨앤존슨사. 이외 러시아 코로나19 백신인 스푸트니크V와 중국 시노백은 각 국가별로 긴급사용승인 후 접종 중인 상황.

현재 코로나19 백신 개발 중인 글로벌 업체는 사노피, GSK, MSD 등으로 알려짐. 국내 코로나19 백신 임상 진행 중인 제약사는 SK바이오사이언스, 유바이오로직스 등(2021.04.23 기준).

정부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기업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임상시험 비용 940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힘. 또한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4563억원을 투자하겠다고 설명(2021.01.25). 나아가 우리나라를 글로벌 백신 생산 허브로 도약시키기 위해 일회용 세포 배약백, 배지 등의 바이오 소재·부품·장비를 개발 지원하기 위해 추진 성과를 점검(2021.06.01).

한편, 코로나19 제약 관련주는 백신, 치료제 등을 개발·제조. 신규 확진자 증가,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변화, 백신 도입 여부 등에 따라 주가 반응. 코로나19 백신·치료제 등의 수요가 증가할 것이란 기대가 주가 등락의 배경으로 지목.


※ 토픽은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함. 상기 종목의 투자로 인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FICS 종목 Business Summary 토픽 자세히
제약 신풍제약 Business Summary[2021/06/29]
매출 감소, 수익성 악화
동사는 1962 6 5일 의약품 제조를 주목적으로 설립하였으며 1990 1 20일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함. 동사의 주요 목적사업은 완제의약품 및 원료의약품 등의 제조 및 판매임. 경쟁력 강화 및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하여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신약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과제 수행의 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단기적으로 개량 신약 및 퍼스트제네릭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음.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5% 감소, 영업이익은 46.1% 감소, 당기순이익은 15.6% 감소. 매출액이 감소한 것 보다 매출원가가 더욱 많이 감소하였으나 판관비는 오히려 증가하여 수익성이 크게 악화되었음. 최근에 들어서는 신약개발 또는 기업간의 제휴 및 인수합병을 통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춤과 동시에 해외시장으로의 진출로 매출수단의 다변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자체개발한 말라리아 치료제 '피라맥스'에 대해 경증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국내 임상 2상 진행 중.
바이오 서린바이오 Business Summary[2021/06/25]
바이오인프라 시장지배력 확대
동사는 1984년에 서린과학으로 설립되어 2000년 현재의 사명으로 사명변경하였으며 2005년에 코스닥 시장에 주권을 상장함.  사람이나 다른 생물체에서 유래된 것을 원료로 하여 제조한 바이오의약품을 연구개발하는 바이오인프라 사업과, 치매조기진단키트, 헬스케어, 위생/살균 솔루션 사업을 영위함. 연결대상 기업으로 피부미용기기 제조업체인 서린메디케어, 발효화장품 전문회사인 제노자임, 소독물 생성기 제조기업 에코트리메디칼 등이 있음.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9% 증가, 영업이익은 91% 증가, 당기순이익은 49.9% 증가. 생명공학 부문 매출 확대로 이익이 크게 늘어 전체 영업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증가함. 헬스케어 부문은 영업적자 시현함. 살균수 제조기 에코트리와, 플라즈마 피부미용기기의 매출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2022년 출시 목표로 혈액 microRNA를 이용한 치매조기진단키트와 임신중독진단키트를 개발 중임.
mRNA(리보핵산) 합성 서비스 제공. 삼성바이오로직스에 시약 등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과 관련된 원재료를 납품한 바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의료 장비 및 서비스 신테카바이오 Business Summary[2021/06/30]
다양한 신약관련 매출처 확보
동사는 2009 9월에 설립된 바이오 벤처회사로서 2014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유전자 검사 전용 슈퍼컴퓨팅' 기술을 출자 받은 연구소 기업임. 2016년을 기점으로 전통적인 신약연구개발의 비효율성을 극복하기 위한 AI신약개발 솔루션을 개발, 공동연구 또는 자체개발을 통한 AI신약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정밀의료 서비스도 제공. 협업계약을 맺은 병원들과 정밀의료센터를 공동 운영.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46.4% 감소, 영업손실은 31.2% 증가, 당기순손실은 45% 증가. 동사는 2021 4 23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부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의 부지를 매입하는 계약을 체결함. 해당 부지 개발을 통해 향후 인공지능(AI) 슈퍼컴퓨팅센터를 구축함으로써 신테카바이오가 보유한 신약후보물질 발굴기술인 딥매처(Deep Matcher)서비스를 고도화하려함.
약물재창출 방식으로 발굴한 코로나 19 치료 후보물질 2종을 한마시이언스와 흡입형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인프라에 접목.
제약 옵티팜 Business Summary[2021/06/29]
비용 증가에 따른 이익 감소 지속
동물관련 사업과 인체관련 사업을 동시에 영위하는 회사로 2000년 설립되어 동물질병진단사업, 동물약품사업 및 박테리오파지 사업을 통해 사업 영위. 인체사업으로는 미니피그를 이용한 이종장기, VLP백신, 인체진단키트 연구개발을 주축으로 생명공학 부문 또한 진출한 경쟁력 보유 업체. 농림축산검역본부로부터 84개 질병, 212개 검사항목을 지정 받았으며 환경부로부터 야생동물 질병진단기관으로도 지정 받아 관련 영역을 확장해가고 있음.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7.4% 증가, 영업손실은 225% 증가, 당기순손실은 233.8% 증가. 매출은 증가하였으나 판관비 및 인건비의 증가폭이 커 영업손실폭이 더욱 커졌음. 동사는 COVID-19와 관련하여 예방 백신 및 감수성 모델 동물을 개발하고 있음. 이를 위해 휴벳바이오, 생명공학연구원, 고려대와 협의체를 구상하여 개발을 진행하고 있음.
과학기술부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의 '코로나19 재조합 단백질 백신 후보물질의 비임상 완료 및 임상 시료 생산' 국책과제 수행기관으로 선정.
제약 삼천당제약 Business Summary[2021/06/29]
혁신 의약품 제조를 위해 정진
동사는 의약용 약제품 제조 판매를 영위할 목적으로 1943 12 29일에 설립되었으며 2000 10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됨. 항생제, 순환기질환치료제, 소화기질환치료제 및 안약류 등 처방위주의 전문의약품을 생산ㆍ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2013년 국내 일회용 점안제 생산 1위 업체 디에이치피코리아를 인수하여 안과용 치료제 전문 제약사로서의 입지를 구축하였음.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8%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매출원가의 상승으로 인한 영업이익 감소로 당기순이익이 하락함. 바이오 분야에 적극 진출함으로써 최근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황반변성을 치료할 수 있는 신규 항체의약품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치료가 어려운 유전성 질환에 대한 유전자 치료제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노력중임.
해외백신기업과 경구용 코로나19 백신 SCD-101V SCD-201V 2종의 동물시험 단계에서 검증을 마치고 글로벌 임상시험을 공동 진행하기로 협의. 향후 한국, 미국, 인도 등 다국가임상을 진행하고 긴급사용 승인 신청할 계획.
바이오 제넥신 Business Summary[2021/06/29]
매출 확대로 수익도 크게 증가
동사는 1999년 설립된 신약 연구개발 기업으로, 항체융합단백질 제조 및 유전자 치료백신 제조 원천기술을 국내 제약사에 이전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2009 9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주식거래가 개시되었으며, 연결대상 종속법인으로 CDMO 서비스 기업인 에스엘포젠을 보유하고 있음. 동사는 Hybrid Fc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이를 기반으로 항암면역 치료제, 차세대 단백질 신약, 신규 DNA백신 신약 연구개발중임.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27.9%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제넨바이오에 GX-P1/GX-P10에 대한 기술이전 및 연구용역 매출 확대로 전년동기 대비 외형 크게 확대.  코로나19의 예방백신의 임상 제1/2a상이 승인. 자궁경부암 백신 GX-188E에 대한 임상2, 암 및 림프구 감소증 치료제인 GX-I7 (하이루킨)에 대한 임상 결과가 양호함.
코로나19 DNA 백신 후보물질 'GX-19N' 임상 2상 진행 중. 또한 인도네시아 식품의약품안전처(BPOM) 1000명을 대상으로 하는 코로나19 백신 임상 2·3상 시험을 신청하고, 인도네시아에 코로나19 백신 1000만 도즈 지원.
제약 바이넥스 Business Summary[2021/06/28]
바이오시밀러 사업의 큰 기대치
동사는 1957 12월에 설립되어 2000 4월 바이넥스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2001 7월 코스닥시장에서 매매거래가 개시되었음. 동사의 사업영역은 케미컬의약품 제조 및 판매 사업부문과 바이오의약품의 위탁 생산 및 개발 사업부문(CDMO)으로 구분됨. 동사는 국내 대부분의 제약기업 및 바이오기업이 개발하고 있는 바이오의약품의 개발 및 생산을 수행하고 있음.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6% 증가, 영업이익은 143.8% 증가, 당기순이익은 443.8% 증가. Frost&Sullivan에 따르면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2017 2,706억 달에서 연평균 8.6% 성장하여 2023 4,42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 최근 바이오시밀러 사업은 진입장벽이 높은 사업분야로서 세계시장 뿐만 아니라 국내시장에서의 합성의약품의 대체효과가 클 전망임.
지엘라파의 자회사 한국코러스를 주축으로 러시아 코로나19 백신인 스푸트니크V 재위탁생산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
조선 메디콕스 Business Summary[2021/06/29]
 
고속차량 투입 계획에 따른 수익 기대
2010
년 중앙오션과 합병했고 선박의 선수, 선미, 프로펠라보스, 엔진룸 등 9곳의 특수제작요건을 요하는 부문의 블록제작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함. 동사의 진해 공장은 초대형 선박 블록 선적이 용이한 해안에 인접해 있으며, 국내 3대 조선소와 인접 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유리한 입지경쟁력 확보함. 시설투자 및 보수 작업을 통해 생산량을 확대하여, 단위 면적당 생산량은 동종 업체 대비 약 1.4배로 효율적인 생산능력을 실현하고 있음.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2.8% 감소, 영업손실은 1051.1% 증가, 당기순손실은 38.3% 증가. 사업의 다각화 및 선박 블록 및 선박 발전기 사업의 확장적 성장을 위해 산업용 전동기 및 선박용 발전기, 철도차량 부품 제조 사업부를 인수합병을 완료하여 영업을 진행중임. 2020~2021년 개통 예정인 경전선, 서해선, 중부내륙선, 중앙선에 고속차량 투입이 계획됨에 따른 수익 증가가 기대됨.
자회사 메콕스큐어메드(지분 42.2% 보유)는 유럽 신양개발 전문기업 튜브파마와 코로나19 치료제 공동개발 목적으로 업무협약 체결. 튜브파마는 메콕스큐어메드가 자체 개발한 코로나19 치료제 후보 물질 M002-A를 활용해 항바이러스 효과 확인한 것으로 알려짐(2021.03.31 기준).
제약 유나이티드제약 Business Summary[2021/06/30]
매출 감소, 수익성 악화
동사는 의약품 제조 및 판매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87년 설립 후 1998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로 상호 변경. 1999년 코스닥시장에 상장, 2007년 유가증권시장으로 이전상장 함. 동사는 의약품 제조 및 판매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주요 제품으로 클란자CR, 클라빅신듀오, 실로스탄CR, 칼로민정, 가스티인CR, 레보틱스CR, 유니그릴CR, 칼로민S, 글리세틸시럽 등 다양한 개량신약이 있음.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5.6% 감소, 영업이익은 17.5% 감소, 당기순이익은 21.4% 감소. 매출의 감소에도 매출원가는 상승하여 판관비와 인건비 등을 줄이는 노력에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감소함. 동사는 글로벌제약사 및 바이어와의 계약을 통한 기술수출을 추진 중임. 해외임상을 통해 유럽, 중동, 아프리카 등의 진출을 통한 해외수출 전략을 목표로 하고 있음.
국내 및 해외에서 코로나19 흡입치료제인 UI030 임상 2상 진행. 변종 코로나19 치료를 위한 폐세포 실험도 진행 중으로 알려짐.
제약 대원제약 Business Summary[2021/06/29]
지속적인 성장 동력 창출 계획
동사는 1958년에 설립되었고, 의약품의 제조 및 판매를 주력사업으로 영위함. 신약ㆍ개량신약ㆍ제네릭의약품 등을 국내 병ㆍ의원ㆍ약국을 대상으로 공급하고 있음. 자회사인 대원메디테크 주식회사는 보청기 판매를, 베트남 현지 법인은 의료기기 판매를 주력 사업으로 영위함. 국내 최초의 짜먹는 감기약 콜대원으로 대표되는 일반의약품 사업, 국내 최초 유기농 인증 프로바이오틱스 건강기능식품 장대원을 중심으로 한 건강기능식품 사업 등을 진행중임.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현재 DW-4301(고지혈증), DW-4902(자궁내막증) 등의 신물질 신약, 다수의 개량신약 파이프라인 개발을 통해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창출할 계획임. 제제기술 연구개발을 통한 부형제 사용의 최소화와 인습성 개선 제제 개발을 통한 1회성 포장재 미사용 등 전사적 R&D 역량을 동원하여 친환경 신제품 개발에 주력함.
호흡기질환 전문의약품 제약사로, 기침감기치료제(R5) 국내 1.
바이오 셀트리온 Business Summary[2021/06/30]
해외 시장 확대에 따른 매출 증가
동사는 생명공학기술 및 동물세포대량배양기술을 기반으로 항암제 등 각종 단백질 치료제(therapeutic proteins)를 개발, 생산하는 것을 목적사업으로 하고 있음. 아시아 최대인 140,000L 규모의 동물세포배양 단백질의약품 생산설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개발 일정과 수요 등을 고려하여 3공장 신설 예정. 세계 최초 개발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램시마’는 2016년 미국 FDA로 부터 판매 승인 받음.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2.6% 증가, 영업이익은 72.7% 증가, 당기순이익은 84.5% 증가. 램시마 유럽 시장 점유율은 52.9%에 달했으며 미국 시장 내 램시마의 시장점유율은 2021 3월 말 기준으로 15.0%를 달성하였음. 동사는 해외 소재 CMO 업체를 활용하여 80,000L 규모의 위탁생산 Capacity를 확보하였으며, CMO를 포함, 270,000L의 생산 설비를 갖추고 있음.
항암제 등의 단백질 치료제 개발·생산.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렉키로나주960mg(레그단비맙)’ 품목 허가(2021.02.05)받았으며, 글로벌 임상 3상 시험에서 효능과 안전성을 나타낸 것으로 알려짐(2021.06.14).
제약 동구바이오제약 Business Summary[2021/06/30]
줄기세포 시장에 진출
동사는 1983년 완제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18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음. 다년간 피부과 시장 처방 1위를 지속하고 있으며, 피부과와 비뇨기과 치료제 부분의 오랜 강점을 살려 처방시장에서도 상위권을 점유하고 있음. 다양한 제형에 대한 제조 기술력을 바탕으로 CMO(생산대행: 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6.5% 증가, 영업이익은 11.7% 감소, 당기순이익은 83.6% 감소. 고령화 시대에 따라 항노화 사업, 재생 의학 사업의 일환으로 줄기세포 시장에 진출하여, 줄기세포 관련 의료기기 사업과 줄기세포 배양액 화장품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외부 유료교육제도를 도입하여 영업사원의 전문적인 영업활동을 위한 의약품 및 의료서비스 전문가로 육성하고자 노력중임.
C형 간염 치료제 성분 중 하나인 항바이러스제 '리바비린'이 메르스 당시 사용됐으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치료제 대체요법으로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지며 수혜주로 부각.
제약 엔지켐생명과학 Business Summary[2021/06/30]
조영제 기술력 우세
동사는 현재 원료의약품 의약화학을 기반으로 합성신약을 연구, 개발하고 기술이전 등을 통해 사업화를 이어가고 있음. 동물약품, 화학약품, 식품, 건강보조식품, 식품첨가물, 의약품, 의약외품, 화장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의 수출 주력 품목인 항결핵제는 세계에서 2번째로 제품을 개발하여, 국내 D사에 이어 두 번째의 시장 점유율을 유지함.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5.1% 감소, 영업손실은 37.3% 증가, 당기순손실은 68.8% 증가. 세파계 항생제 합성기술과 관련한 세포페라존 등 세파항생제 3개 품목은 2016년 일본 품질인증을 통과하고 수출 시작. MRI & CT 조영제 합성 기술과 관련, 3개 이상 1st Generic 제품을 개발하고, 전세계 시장판매를 위한 EU GMP, 미국 cGMP, 등 품질 시험 등 작업을 진행 중.
코로나19 치료제 신약 후보물질 EC-18에 대한 미국 임상2상 중.
바이오 유바이오로직스 Business Summary[2021/06/27]
캠페인 차질로 판매량 급감
동사는 물리, 화학 및 생물학 연구개발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2010 03월 설립되었으며 2017 1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함. 주요제품은 콜레라백신 치료제(유비콜)  바이오의약품 수탁 연구 및 수탁 제조 등이 있으며, 국내 중소 바이오업체들의 임상시료를 생산하고 있음. 동사는 2020 6월 우수한 약물전달 플랫폼 기술력을 보유한 회사의 가치투자 및 미국시장 진출을 위해 미국  POP바이오텍사에 36억원을 출자함.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5.8%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코로나-19 확산 사태에 따라 콜레라 예방 캠페인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지지 못해 주력인 유비콜 판매량이 급감. 2공장 증설에 따른 판관비 증가로 영업이익 적자전환. 2022년 하반기부터 당사의 콜레라백신 공급량은 5,000만 도즈가 될 예정이며, 동사의 매출 성장은 물론, 유니세프에 콜레라 백신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함.
합성항원 방식인 코로나19 백신 '유코백-19(EuCorVac-19)'의 국내 임상 2상 진행 중. 필리핀 제약사 글로백스(Glovax Biotech)와 ‘유코백-19’ 기술이전에 대한 의향서도 체결(2021.04.19).
제약 SK바이오사이언스 Business Summary[2021/06/30]
의약품 다양성과 국제 파트너십 확보
동사는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의 VAX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하여 설립되었으며, 백신 및 바이오의약품의 연구개발, 생산, 판매 및 관련된 지식재산권의 임대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대상포진 백신 '스카이조스터' 201712월 출시하여 2019년 기준 국내 시장 점유율46% 를 확보. R&D, 생산/판매, 네트워크의 시너지를 통해 '스카이셀플루', '스카이셀플루4', '스카이조스터', '스카이바리셀라' 등 상품을 만듦.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422.4%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백신 사업 인프라 구축과 R&D에 투자해왔고, 2012년에는 경북 안동에 세계 최고 수준의 백신 공장 L하우스를 완공하였음.  다국적 및 국내 제약회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국민 건강에 필수적인B형간염, A형간염, MMR(홍역ㆍ유행성 이하선염ㆍ풍진), Td(파상풍ㆍ디프테리아) 등의 필수 예방접종 백신을 판매.
자체 기술로 코로나19 백신 NBP2001 국내 임상 1상 진행 중. 빌게이츠재단·CEPI(전염병대비혁신연합)의 지원으로 개발하고 있는 코로나19 백신 GBP510은 글로벌 제약사 GSK와 국내 임상 1/2상 진행 중.
바이오 진원생명과학 Business Summary[2021/06/25]
제약사업 확대중
동사는 초기에 의류용 심지 전문 제조와 판매를 목적으로 1976년에 설립되어 1987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함. 주요 목적사업은 생명공학을 이용한 의약품 개발 등으로 확장한 상태이며 핵산 기반 바이오 신약과 항염증 치료 신약 등의 신약 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당분기말 현재 CMO 제조 및 생산, 심지 제조 및 생산을 영위하는 2개의 연결대상종속회사를 보유중임.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6% 증가, 영업손실은 9% 증가, 당기순손실은 13.8% 감소. 제약 사업과 패브릭 사업 모두 적자를 시현중임. 제약분야 매출은 증가하였으나, 코로나19 백신 연구 및 임상비용 등 판관비 증가로 영업손실 증가함. 2020 4월에 미국 FDA에 코로나19 감염 방지 코 스프레이 치료제인 GLS-1200 2상 임상시험을 승인 받고 현재 임상시험 진행중.
코로나19 DNA 백신 후보물질 'GLS-5310' 임상 1·2a상 진행 중. 또한 미국 자회사인 VGXI(지분 100%)를 통해 유전자 치료제의 핵심 원료인 Plasmid DNA를 위탁생산.
제약 이연제약 Business Summary[2021/06/28]
매출 성장에 따른 수익성 개선
동사는 1964년 설립 이후 전문의약품과 원료의약품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영업으로 하고 있음. 동사는 오리지널 진단제의약품, 제네릭 전문의약품, 특화된 원료의약품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으며, 각 부문의 차별화된 Marketing을 통해 우수한 수익성을 기록하고 있음. 동사는 제품력에 대한 인지도 제고, 영업인력의 생산성 증가, 진입장벽이 높은 고부가가치 원료의약품 생산을 통해 우수한 수익성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됨.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9%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8316.7% 증가. 매출액이 소폭 상승하였고 매출원가 및 판관비가 절감되어 수익성이 개선되었음. 그에 따라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크게 상승한 13.66억원을 달성함.  동사가 건설중인 충주공장이 완공될 경우, 바이오원료 생산의 규격화를 통해 R&D 비용을 절감하고 수익성 및 신약 파이프라인을 극대화할 계획임
유전자 치료제 및 백신 원료와 완제의약품을 모두 생산할 수 있는 생산 시설을 2021년 상반기 내 완공을 앞두고 있으며, mRNA(리보핵산) 완제 생산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짐.
섬유 및 의복 웰바이오텍 Business Summary[2021/06/24]
매출 감소 적자 지속
동사는 1975년 설립돼 1997년 유가증권시장에 주식을 상장함. 설립 당시에는 피혁원단을 가공해 피혁제품을 판매하는 제조업체로 시작함. 피혁가공공장을 중국 청도에 별도법인 형태로 이전하면서 피혁원단과 부산물, 피혁가공약품을 유통 및 판매하는 도소매업으로 변경함. 현재는 유통판매업(,소매)을 주 사업목적으로 하고 피혁사업부, 패션브랜드사업부, 리테일사업부의 3개사업부를 중심으로 매출이 발생함.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4% 감소, 영업손실은 37.9% 감소, 당기순손실은 14.1% 증가. 수익성이 저조한 피혁 부문 사업구조를 줄이며 상대적으로 원가율이 상승하였음. 다만 판관비 절감에 성공하여 영업 적자 폭은 축소되었음. 브랜드 사업부문에서 트랜드 분석에 입각한 상품기획을 통해 OEM방식으로 고유의 상품을 제조, 국내 홈쇼핑과 오프라인을 비롯한 다양한 유통채널을 활용하여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함.
러시아 츄마코프연구소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코비박’의 국내 위탁생산 및 아시아국가 총판에 대한 독점적 지위를 확보한 엠피코포레이션에 70억원 규모의 투자한 바 있음.
의료 장비 및 서비스 셀루메드 Business Summary[2021/06/28]
매출 확대로 인한 수익 증대
동사의 사업부문은 의료기기, 바이오로직스, 코스메슈티컬로 분류되며 의료기기사업은 탈회골(DBM), 합성 고분자 무릎연골(BMG) 등을 연구·개발하는 조직공학과 인공무릎관절 그리고 동종이식재를 취급함. 바이오로직스 부문의 주요 제품으로는 골형성 단백질 rhBMP2와 히알루론산 기반의 활액대체재 Viscoseal Syringe. 단풍나무 수액으로 만든 기능성 화장품을 중국 내 2000여개의 화장품 전문 유통채널에 납품함.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0%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원가율 및 인건비는 상승했으나 판관비는 소폭 감소함. 매출 확대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큰 폭 증가함. 동사는 인체조직 중 주로 뼈와 건을 대체할 수 있는 재료 및 제품개발에 매진하고 있으며, 조직을 이루는 주요한 요소로 성장인자 중 하나인 골형성 단백질의 대량 발현 시스템을 구축한 상태임.
아이진과 코로나19 mRNA(리보핵산) 백신 연구개발 및 사업화 공동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 5종의 mRNA생산 효소 개발을 포함하는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에 대해 전방위적으로 협력하고, 향후 사업화를 공동 추진할 것으로 알려짐.
제약 경보제약 Business Summary[2021/06/30]
매출 하락에 따른 수익성 감소
종근당 그룹의 계열사로 1987 3월 설립되어 2007년 경보제약으로 사명 변경하였으며, 원료의약품과 완제의약품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순환기 약물 및 항생제, 흡입마취제 등 전문의약품과 다양한 일반의약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일본, 중국, 유럽, 러시아 등으로 수출. 2019년도부터는 의료기기 사업을 추가하여 사업성을 다각화하는 등 수익성을 증대할 수 있는 분야의 개척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5.7% 감소, 영업이익은 71.3% 감소, 당기순이익은 24.3% 감소. 수요 감소로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하락하면서 영업이익이 하락하였음. 동사는 고효능활성 원료의약품을 생산할 수 있는 합성4, 5공장(High Potency-1,2공장)을 신축함으로써, 기존 원료의약품 제품의 포트폴리오 확대 및 다국적 제약사와의 CMO사업을 추진중에 있음.
미국 FDA(식품의약처)의 긴급사용 승인된 길리어드사이언스사의 렘데시비르보다 600배 높은 코로나19 치료효과를 보인 '나파모스타트' 개발 중. 향후 종근당 코로나19 치료제인 '나파벨탄'의 원료의약품으로 공급할 계획으로 알려짐.
제약 부광약품 Business Summary[2021/06/28]
신약 개발, 임상시험 확대
동사는 1960년 설립된 의약품, 의약외품 제조업 및 판매업과 연구개발 등 생명공학 관련사업을 영위하는 회사로 1988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됨. 동사의 주요제품으로는 레가론, 치옥타시드, 덱시드, 훼로바, 씬지로이드, 오르필, 액시마, 아프로벨, 헥사메딘 등이 있음. 동사는 전국을 대상으로 영업활동을 하고 있으며, 매출형태별로는 제품매출, 상품매출, 임가공매출, 수출매출, 기술매출로 구분할 수 있음.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5%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손실은 240.7% 증가. 현재 진행중인 경증 및 중등증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CLV-203 임상시험에서 감염력이 있는 바이러스의 감소 효과를 추가 검증하여 최종 결론을 내릴 계획임. 코로나19치료제로 개발 중에 있으며 국내 2상 임상시험이 완료되었고 CLV-201 임상에서 레보비르가 바이러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음.
만성B형간염치료제인 '레보비르(성분명:클레부딘)'로 코로나19 치료제 약물재창출 임상 2상을 진행한 결과 1차평가변수(주평가지표)인 음성전환율을 충족하지 못했지만 바이러스의 감소를 확인한 것으로 알려짐.
바이오 앱클론 Business Summary[2021/06/30]
바이오시너지 항체의약품 신약개발기업
동사는 2010년에 설립된 난치성 질환 치료 목적의 항체신약 개발 전문 기업이며, 2017 9월에 코스닥 시장에 기술특례 상장함. 동사 보유 기술은 NEST, AffiMab, CAR-T 등 플랫폼 기술로 파이프라인 확장성이 높음. 보유 기술을 통해 블록버스터 항체의약품과 병행치료 효과를 낼 수 있는 항체신약을 개발중. 개발한 신약은 직접 판매하지 않고 다국적제약사 등에 전임상 단계에서 License-out하여 수익창출함.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3.7% 감소, 영업손실은 45.1% 증가, 당기순손실은 47.8% 증가. 항체의약품 개발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제약사들에 지속적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파트너쉽을 구축하고 있으며, 새로운 서비스를 발굴하고 품질을 높이고자 노력중임. 동사의 사업 모델은 파이프라인 확장성을 기반으로 항체의약품 후보물질을 개발하여 전임상 단계에서 기술이전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것임.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AM201을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 중. 유한양행과도 코로나19 항체치료제 공동 개발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제약 일양약품 Business Summary[2021/06/24]
매출액 및 영업이익 증가
동사는 1946년 설립되어 의약품 등의 제조 및 판매업 등을 영위하는 기업임. 주요 제품으로는 놀텍, 슈펙트, 하이트린, 원비디 등이 있음. 동사의 신약 항궤양제 '놀텍'은 위십이지장궤양 및 위궤양으로 국내 14번째 신약으로 허가를 받은 이후 역류성식도염 및 H.pylori 제균요법 적응증을 추가하였음. 수출을 통한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WHO PQ승인을 완료하였으며, 다국가에 완제 및 원료 수출을 진행하고 있음.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6% 증가, 영업이익은 20.2% 증가, 당기순이익은 87.6% 감소. 항궤양제 "놀텍", 국산 18호 신약인 백혈병 치료제 "라도티닙"(제품명 슈펙트)등의 매출 성장과 중국 양주, 통화 현지 법인의 지속적인 성장에 따른 결과로 매출 증가 및 영업이익 증가 실현. 꾸준한 R&D역량 증대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향후 글로벌 BIO기업으로의 발돋움을 준비중임.
자체 개발한 신약 '슈펙트'가 러시아 정부로부터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3상 시험을 진행했으나 표준 권장치료보다 우수한 효능을 입증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짐.
제약 지엘팜텍 Business Summary[2021/06/30]
매출 상승에 따른 손실 감소
2002
8월 설립되어 2016 9 "아이비케이에스제2호기업인수목적'과 합병하였으며, 의약품의 제조 및 판매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2018 1 KGMP 보유업체인 지엘파마의 지분 100% 를 인수하여 종속회사로 편입하였으며, ODM 사업과 지엘파마의 호르몬제제 생산라인 등을 적극 활용한 B2B 영업까지 사업영역을 확장. 개량신약 및 제네릭, 차별화된 컨셉을 적용한 일반의약품의 연구개발 진행 중.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9% 증가, 영업손실은 6.2% 증가, 당기순손실은 20.7% 증가. 영업조직 효율 증대로 매출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그러나 판관비 및 인건비 상승에 의해 영업손실이 아직 유지되고 있음. 영업조직 효율성을 높이고자 2020 1월부터 약국영업조직을 전원 CSO(판매대행)로 전환하였음. 또한 호르몬제 위수탁 생산업무까지 사업영역을 확장하였음.
개량신약 연구·개발 업체. 인공지능(AI) 기반 신약개발 업체인 신테카바이오와 코로나19 치료제 고함량제제 및 안구건조증 치료제 신규 적응증 탐색 등의 연구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2021.03.29).
바이오 마크로젠 Business Summary[2021/06/23]
국내 분자진단 업체
동사는 1997년 설립되어 2000년에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기업으로, 유전자 및 유전체(게놈) 분석, Microarray 분석, 유전자 편집 마우스 생산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동사는 20년 이상 꾸준히 유전체 분석 사업을 해오며 기술력과 노하우 및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하고 있으며, 세계 153여개국에 18,000여 고객을 확보함. 연결대상 종속법인으로는 해외소재의 유전체 분석 기업 3개사를 보유함.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9% 증가, 영업이익은 209.9% 증가, 당기순손실은 40.2% 증가. 전반적인 서비스 및 상품의 매출 증가. 2021년까지 DTC 인증제 시범사업 연구에 참여하 검사항목 확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우수한 성적으로 인증제를 통과하여 현재 국내 최다 항목인 70종의 검사 서비스를 시행할 수 있도록 승인 받음.
자체 개발한 코로나19 항체치료제 hzVSF에 대해 임상 2상 진행 중인 이뮨메드 지분 4.5% 보유(2021.03.31 기준).
바이오 셀리드 Business Summary[2021/06/28]
코로나19 백신 준비로 수익성 악화
동사는 연구중심의 항암면역치료백신 및 COVID-19 예방백신 개발 전문 바이오벤처기업으로서 2006 12 11일 서울특별시에 설립되었음. 동사는 CeliVax 원천기술을 이용한 BVAC 파이프라인 제품의 개발 및 임상연구를 통해 면역항암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음. 동사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기반 예방백신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기술을 활용하여 COVID-19 예방백신을 개발 중임.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영업손실은 94.7% 증가, 당기순손실은 113% 증가. 동사가 개발 중인 면역치료백신은 제품에 적용되는 항원을 교체함으로서, 항원을 발현하는 모든 암종으로 적응증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함. BVAC-B는 임상 1상 시험 결과, BVAC-B의 안전성을 위암 환자에게서 확인하였으며, BVAC-B의 약효를 가장 잘 확인할 수 있는 HER2/neu 발현 암종과 환자군 선정을 검토 중임.
단회 근융 투여만으로 코로나19를 예방할 수 있는 후보물질 ‘AdCLD-Cov19’에 대해 임상 1·2상 진행 중. 백신 후보물질 개발. 또한 코로나19 백신 개발 및 대량 생산을 위해 LG화학과 MOU(양해각서) 체결.
제약 에스티팜 Business Summary[2021/06/28]
매출증가에 따른 수익성 개선
동사는 2008 8 18일 유켐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2010 9 30일 삼천리제약을 흡수합병하면서 상호를 에스티팜으로 변경하였음. 동사는 근간이 되는 원료의약품 CDMO사업 분야를 확장하여, 신규사업 영역으로서 새로운 치료제 분야인 핵산치료제로 진출하였음. 현재 아시아 1, 글로벌 3위 내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제조 CDMO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음.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5.2% 증가, 영업손실은 29.6% 감소, 당기순손실은 22.3% 증가. 동사는 축적한 기술 노하우와 경험을 바탕으로, 올리고 API의 출발물질인 Amidites에서 최종 API까지 신약에 필요한 원료를 원스탑으로 공급 가능한 세계 유일의 올리고 API CDMO. 2018 6월 올리고 전용 공장을 완공한 데이어 2020 8월에는 307억원 규모의 1차 추가 증설을 단행했음.
동아쏘시오그룹 계열사로, mRNA(리보핵산)를 둘러싸는 역할의 LNP(지질나노입자) 약물 전달체 기술 보유.
휴대폰 및 관련부품 나노스 Business Summary[2021/06/27]
영업실적 악화
동사는 2004 12 2일 삼성전기 VCR헤드 부문을 분사해 종업원 지주회사로 설립된 전자제품 설계 제조 회사임. 동사는 휴대폰 카메라모듈 핵심부품인 광학필터, 홀센서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광할필터 및 홀센서 등이 있음. 주요 수요처는 휴대폰 카메라모듈사로서, 국내 Major 업체인 삼성전자, 삼성전기, 파워로직스, 엠씨넥스, 캠시스, 나무가등에 납품되고 있음.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3.2%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82.3% 감소.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코로나19로 인하여 역성장을 보였으나, 이후 2021년도부터 5G의 본격적인 양산, 교체수요 증가 및 인도시장의 확대로 2021년도 시장은 8.6%증가 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이익이 기대됨. 동사의 점유율은 국내 Major사 기준으로 약30%정도 납품하는 것으로 예상됨.
글로벌 제약사 모더나에 mRNA 제품 생산에 필요한 지질 비산물을 독점 공급하고 있는 독일 바이오 기업 코든파마와 LNP(지질나노입자 및 펩타이드 약물) 관련 한국 생산 및 공급 독점 협약 체결(2021.06.25 기준). LNP는 모더나가 코로나19 mRNA백신에 탑재한 최첨단 제형 기술.
바이오 이수앱지스 Business Summary[2021/06/30]
매출 성장에 따른 수익성 개선
2001
년 설립된 동사는 바이오의약품의 연구개발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이수그룹 계열회사임. 혈전형성을 억제하는 항체치료제인 클로티냅, 유전성 희귀질환인 고셔병과 파브리병을 치료하기 위한 효소치료제인 애브서틴과 파바갈을 개발하여 판매 중임. 현재 후속 제품 4개가 진행 중에 있음. 바이오의약품 개발 사업 외에 세계의 희귀의약품을 국내도입과 판매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2018년부터 윌슨병 치료제 트리엔탑을 판매 중임.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9.6% 증가, 영업손실은 48.5% 감소, 당기순손실은 16.2% 감소. 아직 적자 유지 중이나 꾸준한 매출 성장과 더불어 매출원가 및 판관비도 크게 축소되어 수익성은 더욱 커졌음. 최근 사이프린의 국내 공급이 불안정해짐에 따라 윌슨병 환자들에게 치료제 선택권을 확대하고 안정적 치료를 위해 트리엔탑의 국내 도입을 결정하였음.
러시아 러시아직접투자기금(RDIF) 및 한국컨소시엄 주관인 지엘라파와 스푸트니크V 생산을 위한 기술이전 계약 체결(2021.04.15 기준).
IT 서비스 큐로컴 Business Summary[2021/06/30]
적자폭 감소
동사는 1997 4월에 설립되어 소프트웨어 개발·공급과 통신기기 및 컴퓨터 주변기기 제조 및 판매업을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는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을 하는 솔루션사업과 컴퓨터 주변기기 등 정보통신기기를 판매하는 유통사업을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음. 동사는 여러 종속회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종속회사는 신약 및 백신개발사업을 영위함. 커피 직, 가맹점을 영위하는 큐로에프앤비는 종속회사에서 제외됨.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5% 증가, 영업손실은 30.1% 감소, 당기순손실은 55.4%% 감소. 현재 재무제표상 무형자산으로 계상된 AIDS백신 개발 관련 개발비 금액은 없음. 백신의 비임상 및 임상시험 시 경상북도의 백신산업클러스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국내 백신산업의 활성화 및 백신자급력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치료제가 없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면역결핍증 치료제가 대체 치료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알려지며 수혜주로 부각. 큐로컴의 자회사인 스마젠은 HIV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음.
IT 서비스 이트론 Business Summary[2021/06/30]
신규사업 활성화로 외형 확대
동사는 1999년 설립되었으며, 주요사업은 서버 및 스토리지 시스템 구축, 제조하는 등 IT 관련 제조, 유통전문 기업임. 2015 12월 동사의 서버 및 스토리지 제품이 중소기업간 경쟁제품으로 지정됨. 매출구성은 서버 및 스토리지가 대부분을 차지함. 서버 및 스토리지 산업은 IT 서비스를 위한 기본적인 하드웨어 인프라를 구성하는 주요 제품으로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음.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5%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손실은 79.7% 감소. 동사는 히다찌스토리지의 총판권을 확보, 2019 2월 후지쯔와 전략 총판 계약을 체결하여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이룸. 서버의 경우 저전력 시스템에 대한 요구 사항의 확대에 따라 ARM 프로세서 기반 서버의 확대가 주요 경쟁 상황이 되어가고 있음.
모회사 이아이디(지분 21%)와 러시아 코로나19 백신인 스푸트니크V를 재위탁생산하는 한국코러스에 각각 100억원 씩 총 200억원을 투자한 바 있음(2021.03.31 기준).
석유 및 가스 이아이디 Business Summary[2021/06/30]
실적 부진 지속
2002
6월 설립된 동사는 유류도매 및 OMS, 화장품의 제조, 판매 및 수출업, 이노베이션(ICBM)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일본 EBISTRADE의 녹조제거설비에 무선 원격솔루션을 접목시키는 설계작업, 구축에 대한 계약 체결. 2018 7월 색조화장품 브랜드 `드레스킨(DRESKIN)`을 론칭하여, 새틴 섀도우 앤 픽서 5, 새틴 틴트 앤 밤 5종을 라인업하여 자체 쇼핑몰 및 다수의 온라인 유통 채널에서 판매중.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5.9%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현재 동사는 EMI차폐의 핵심기술을 보유 및 선점하였고 시장에서 검증을 받아 매출을 확대하고 있음. ()모메이, ()모메이코스메틱은 2020 1분기에 ()이큐셀은 2020년 반기중 연결회사로 편입되었으며, ()모메이는 2020년 반기 중 ()모메이코스메틱으로 흡수합병 되었음.
자회사 이트론(지분 31.55%)과 러시아 코로나19 백신인 스푸트니크V를 수탁생산하는 한국코러스에 각각 100억원 씩 총 200억원을 투자한 바 있음(2021.03.31 기준).
자동차부품 금호에이치티 Business Summary[2021/06/27]
영업이익 대폭 증가
자동차용 조명부품을 전문적으로 제조 및 판매하는 지배적 단일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조명의 광원에 따라 LED모듈 사업부 및 백열전구(BULB) 사업부로 구분 지을 수 있음. 동사는 완성차업체기준으로 2차 벤더에 속하며 자동차용 조명장치 완제품을 납품하는 1차 벤더에 자동차용 조명장치 중 부분품인 백열전구 및 LED모듈을 제조ㆍ공급하고 있음. LED모듈 사업의 경우 본격적으로 국내시장에서 그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음.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4% 증가, 영업이익은 444.5%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자동차 조명으로 사용되는 백열램프에 대하여 약 30여년 동안 자체적으로 연구개발을 통해 국내 자동차용 백열전구 시장의 95%를 상회하는 시장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음. 최근 오스트리아 자동차 조명업체인 글로벌기업 ZKW에 협력업체로 등록됨으로서 수주 확대를 위한 활동을 활발히 진행 중임.
코로나19 관련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 치료제를 개발 중인 다이노나와 흡수 합병(2021.04.20).
제약 씨티씨바이오 Business Summary[2021/06/29]
영업이익 흑자전환
1996
년 설립된 동물약품, 인체약품, 사료첨가제 및 단미보조사료, 건강기능성식품 제조, 판매업체로 2002 2월에 코스닥증권시장에 상장함. 동사는 서울시 송파구에 본점을 두고 경기도 화성시, 안산시, 강원도 홍천군에 연구 및 제조시설을 두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등에 현지법인 및 해외사무소를 두고 있음. DDS을 통해 제형 및 복용량 변경 등 기존 의약품 대비 편의성이 증대된 의약품을 개발 출시하는 강점이 있음.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6%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국내 동물약품 업계에서 안정적인 매출을 유지하며 해외매출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꾸준한 성장성이 기대되는 상황. 동물약품 사업은 항생제계와 비항생제계 품목의 고른 매출성장으로 지속적인 증가가 발생하고 있으며, AI의 발병에 대비한 소독제를 관납 및 사료회사 등에 유통하는 등 부가수익을 올리는 중.
신규사업으로 코로나19 진단키트 생산·판매. 또한 자회사 CTCVAC(보유 지분율 85.71%)은 동물용 코로나19 백신 개발 중(2021.03.31 기준).
제약 휴메딕스 Business Summary[2021/06/25]
수요 확대에 따른 높은 매출 성장
동사는 2003 2월에 설립되어 인체에 높은 안전성을 가진 생체 적합성 히알루론산 응용핵심 원천기술을 활용한 필러와 관절염치료제를 국내 및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에 공급하고 있음. 동사는 이러한 원천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여 의약품, 의료기기, 원료생산 뿐만 아니라 기능성 화장품 분야로 사업영역을 넓히고 있음. 주력 제품군은 고분자 소재인 히알루론산(HA), PDRN을 이용한 전문의약품 생산, 판매.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8.2% 증가, 영업이익은 67.2% 증가, 당기순이익은 215% 증가. 필러를 중심으로 에스테틱 제품의 중국 내수 실적이 높아 매출액이 크게 증가하였음. 일회용 인공눈물 사업의 성장도 성장 요인으로 작용함.  리도카인 함유 HA필러, 남성 비뇨기 필러 등 신제품 출시를 통해 매출을 증대하고 CMO신규 사업을 확대하는 등 성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휴온스글로벌을 주축으로 러시아 코로나19 백신인 스푸트니크V 위탁생산을 위한 기술이전 계약 체결.
제약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Business Summary[2021/06/30]
바이오시밀러 제약 기술력 확보
동사는 2015년 싱가포르에 설립된 이래, 항체의약품 개발 전문 제약회사로 다양한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바이오시밀러 경쟁력의 핵심인 원가경쟁력 향상에 주력함. 동사는 바이오시밀러와 항체신약을 연구 및 개발하고 있으며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글로벌 임상 3상이 진행 중에 있으며, 휴미라 바이오시밀러는 호주 임상 1상을 위한 IND 승인 신청을 앞두고 있음.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 증가, 영업손실은 76.1% 증가, 당기순손실은 18.8% 증가. 동사의 허셉틴 바이오시밀러는 글로벌 제약사와의 성공적인 라이선스아웃(License-out) 계약 체결을 통하여 그 시장성 및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음. 동사는 파이프라인 중 바이오시밀러(HD201)의 경우 품목허가에 필요한 임상 3상 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여 유럽 지역에 판매 승인과 출시를 앞두고 있음.
휴온스글로벌을 주축으로 러시아 코로나19 백신인 스푸트니크V 위탁생산을 위한 기술이전 계약 체결.
제약 휴온스글로벌 Business Summary[2021/06/30]
꾸준한 매출 성장 지속
동사는 지주회사로 전환되어 투자, 브랜드수수료, 경영자문수수료, 임대수익 등 지주회사 사업과 보툴리눔 톡신 제품 사업을 영위함. 분할 후 존속회사인 동사는 분할전 사업부문을 제외한 투자사업부문과 보톡스사업을 영위함과 동시에 지주회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함. 분할 후 신설회사인 휴온스는 의약품 사업부문 일체를 영위함. 2016 5 3일 기업 분할에 따라서 휴온스글로벌로 사명 변경함.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9% 증가, 영업이익은 8.7% 증가, 당기순이익은 5.1% 증가. 보톨리눔 톡신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이 매출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음. 이에 따라 영업이익도 꾸준히 상승 중임. 동사는 2020 12 16일자 이사회에서 각 사업부문의 전문화를 통한 책임 경영체계 확립을 목적으로 바이오 사업부문과 투자 및 브랜드 사업부문을 분할하는 결의를 하였음.
러시아 코로나19 백신인 스푸트니크V 위탁생산을 위한 기술이전 계약 체결. 2021 8월 시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며, 이후 컨소시엄을 통해 월 1억 도즈 이상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구축할 방침으로 알려짐(2021.04.16 기준).
전기장비 이화전기 Business Summary[2021/06/29]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사는 무정전 전원장치 및 몰드변압기, 정류기, 전기공사 등 다양한 전원공급장치 및 전력변환장치를 생산 공급하는 회사로서 1956 1 5일 설립되어 1994 12 22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전력변환장치는 사용하는 곳에 따라 전력을 다양하게 변환하여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여주는 기술임. 전력변환기기는 내구성 시설재이므로 각종의 산업설비에 대한 투자계획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각종 경기선행지수가 올라갈수록 수요가 증가함.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6% 증가, 영업손실은 45.7% 감소,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매출액 증가로 영업손실은 감소, 당기순이익은 흑자전환에 성공함. 원가율이 감소한 것 또한 긍정적 요소임. 제조업체들의 투자수요 확대 및 노후설비 교체, 대형건물에 대한 건축 경기 등도 산업 수요를 결정하는 요인임. 첨단화 제품에 대한 수요 및 고객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어 기술개발을 통해 매출을 증대시킬 계획임.
러시아 코로나19 백신인 스푸트니크V를 재위탁생산하는 한국코러스에 100억원을 투자한 바 있는 이트론이 지분 12.5%를 보유한 최대주주(2021.03.31 기준).
바이오 아이진 Business Summary[2021/06/28]
독자적인 면역보조제 기술 보유
동사는 2000년 설립되었으며 신약 연구 개발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벤처기업으로서 2013년 코넥스시장에 상장, 2015년 기술특례로 코스닥 이전상장함. 허혈성 질환 중 당뇨망막증, 욕창, 창상, 그리고 심근허혈/재관류 손상치료제를 개발 중이며, 자궁경부암 백신과 대상포진 백신에 대한 연구도 진행중.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2017년부터 바이오 IT 시스템 사업을 시작했으며 2018년부터는 의약품 도매와 건강기능식품 사업 개시함.
2021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4% 감소, 영업손실은 20.1% 감소, 당기순손실은 18.5% 감소. 독자적인 면역보조제 기술(CIA 계열, CIA02, 05, 06, 07, 08, 09 )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중 EG-HPV에는 CIA06 면역보조제가 포함된 형태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현재 인플루엔자, 결핵, 간염, 탄저 등의 백신에서 그 효능을 확인하여 제품 개발을 진행중에 있음.
신약 개발 전문 업체. 2021 6월 국내 임상 진입을 목표로 코로나19 mRNA(메신저 리보핵산) 백신 ‘EG-COVID’ 개발 진행 중.

 


뉴스
종목명 제목 날짜
셀트리온 천은미 교수 "셀트리온 렉키로나, 생활치.. 07.21 16:04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공시]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항체 제조.. 07.21 13:42
옵티팜 [특징주] 옵티팜, 큐라티스 코로나 백신.. 07.20 10:29
SK바이오사이언스 상반기 주식 발행 10.5 급증…SK.. 07.20 06:01
유나이티드제약 유나이티드제약 코로나19 치료제, 델타 .. 07.19 17:41
유바이오로직스 [공시돋보기]유바이오로직스, 코로나 백신.. 07.18 07:24
진원생명과학 진원생명과학, 알데브론 소송 부적합 각하.. 07.16 11:48
씨티씨바이오 거래소, 씨티씨바이오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07.15 17:49
제넥신 제넥신, 오는 9 대표이사 변경 07.15 15:45
아이진 아이진, 당뇨망막증치료제 임상 2상서 .. 07.15 13:35
마크로젠 마크로젠 '헬시송도' 프로젝트 DTC .. 07.15 13:02
셀루메드 [주식 초고수는 지금]셀루메드 매수 1.. 07.15 11:18
휴메딕스 휴메딕스, 4분기 러시아 백신 CMO .. 07.15 08:14
대원제약 대원제약, 짜먹는 진통제 '파인큐' 출시.. 07.14 14:12
동구바이오제약 [바이오 스페셜]동구바이오제약, 줄기세포.. 07.12 18:18
휴온스글로벌 공정위, ‘금산분리 위반휴온스글로벌 .. 07.12 17:59
신테카바이오 신테카바이오, 조혜경 신임 경영총괄사장 .. 07.12 16:36
신풍제약 신풍제약 하락에 베팅한 외국인공매도 .. 07.12 11:13
메디콕스 메디콕스, 609만주 전환청구권 행사.. 07.08 18:40
부광약품 부광약품 자회사 콘테라파마, AI 스타트.. 07.08 15:58
금호에이치티 금호에이치티 관계사 다이노나 "삼바와 .. 07.08 13:38
이수앱지스 이수앱지스, '글로벌 SAB' 구성'… .. 07.08 10:34
엔지켐생명과학 엔지켐, 급성방사선증후군 전임상 논문 .. 07.07 15:51
이연제약 이연제약, 대규모 바이오 의약품 생산 .. 07.06 10:50
에스티팜 [특징주]에스티팜, 기관 집중 매수에 6.. 07.02 10:30
서린바이오 서린바이오 "부동산 매각으로 100 .. 07.01 15:47
이트론 [특징주]이트론, 러시아 스푸트니크V .. 06.30 09:17
나노스 양선길 나노스 대표, 쌍방울그룹 회장 .. 06.28 17:39
이아이디 [특징주] 이아이디, '스푸트니크V' .. 06.28 13:31
앱클론 앱클론, 난치 혈액암 CAR-T 치료제 .. 06.24 16:44
셀리드 셀리드-국제백신연구소, 코로나19 백신 .. 06.22 16:19
일양약품 지나인제약, 일양약품과 코로나19 백신 .. 06.22 09:11
웰바이오텍 웰바이오텍 자회사 금영이엔지, 백신 .. 06.21 17:52
경보제약 경보제약, 반려견 구강건강 지키는 필름형.. 06.14 16:35
바이넥스 [특징주] 데브시스터즈, 바이넥스 .. 06.11 09:55
이화전기 경영권 분쟁 제기한 이화전기, 이디티 .. 06.09 14:56
삼천당제약 [특징주]삼천당제약, 세계최초 S-PAS.. 05.25 14:28
지엘팜텍 신테카바이오, 지엘팜텍과 코로나치료제 .. 03.29 09:11
큐로컴 큐로컴, 48억원 규모 계열사 전환사.. 09.24 16:40

 

투자지표
종목명 현재가 상장주식수 외국인비율 매출액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부채비율 EPS PER
신풍제약 64,100 52,984 8.38 1,978 78 3.97 30.14 86 745.35
셀루메드*(코스닥 종목) 10,650 39,607 1.28 915 24 2.6 76.28 38 280.26
이연제약 62,100 17,998 0.91 1,300 41 3.19 38.04 277 224.19
대원제약 16,200 21,224 16.67 3,085 241 7.81 57.55 100 162
SK바이오사이언스 156,000 76,500 3.56 2,256 377 16.71 113.14 1,287 121.21
일양약품 34,350 19,085 7.78 3,433 341 9.93 79.29 412 83.37
셀트리온 267,500 137,916 20.5 18,491 7,121 38.51 46.09 4,359 61.37
바이넥스*(코스닥 종목) 19,550 31,761 6.14 1,330 161 12.14 55.19 418 46.77
경보제약 14,300 23,906 0.71 2,153 87 4.02 62.27 373 38.34
유나이티드제약 54,500 16,244 5.66 2,159 401 18.58 27.64 1,485 36.7
서린바이오*(코스닥 종목) 22,850 8,301 0.87 651 45 6.87 27.47 649 35.21
동구바이오제약*(코스닥 종목) 9,710 28,465 0.39 1,392 76 5.47 52.51 279 34.8
제넥신*(코스닥 종목) 87,200 24,966 5.64 185 -392 -211.18 11.25 2,633 33.12
휴메딕스*(코스닥 종목) 35,700 9,971 5.73 985 166 16.9 30.23 1,725 20.7
휴온스글로벌*(코스닥 종목) 68,800 12,030 9.57 5,230 892 17.06 44.8 3,579 19.22
마크로젠*(코스닥 종목) 36,150 10,716 3.67 1,126 72 6.36 44.96 8,110 4.46
웰바이오텍 3,010 58,677 0.65 604 -126 -20.8 263.87 -1,513 -1.99
메디콕스*(코스닥 종목) 1,600 65,260 0 162 -43 -26.77 123.99 -206 -7.77
이화전기*(코스닥 종목) 2,440 83,464 2.4 533 -37 -6.88 33.99 -254 -9.61
씨티씨바이오*(코스닥 종목) 9,590 22,674 3.14 1,300 -59 -4.52 138.3 -827 -11.6
이아이디 566 773,342 0.49 1,652 -17 -1.05 53.42 -48 -11.79
지엘팜텍*(코스닥 종목) 1,230 51,887 1.82 120 -26 -22.06 144.12 -75 -16.4
유바이오로직스*(코스닥 종목) 38,150 35,078 3.27 285 -60 -20.93 60.98 -2,276 -16.76
이수앱지스*(코스닥 종목) 13,900 33,183 0.53 256 -132 -51.5 89.9 -682 -20.38
큐로컴*(코스닥 종목) 1,885 125,973 2.58 98 -64 -64.76 67.89 -76 -24.8
신테카바이오*(코스닥 종목) 14,500 13,500 0 6 -71 -1,164.17 7.79 -531 -27.31
이트론*(코스닥 종목) 763 524,599 1.04 413 5 1.09 55.3 -22 -34.68
엔지켐생명과학*(코스닥 종목) 88,400 8,331 8.5 258 -191 -74.01 70.8 -2,455 -36.01
앱클론*(코스닥 종목) 21,950 15,278 11.75 28 -66 -237.13 36.83 -481 -45.63
아이진*(코스닥 종목) 43,000 19,766 0.85 34 -137 -406.57 244.41 -925 -46.49
금호에이치티 2,370 125,257 2.15 2,196 -47 -2.15 54.3 -37 -64.05
옵티팜*(코스닥 종목) 14,750 14,589 0.62 130 -35 -26.47 22.32 -221 -66.74
프레스티지바이오.. 29,900 60,096 63.78 0 -107 0 14.33 -336 -88.99
진원생명과학 52,500 45,189 16.76 415 -185 -44.48 38.64 -437 -120.14
에스티팜*(코스닥 종목) 107,100 18,656 0 1,241 -188 -15.16 50.15 -700 -153
부광약품 20,550 71,063 3.98 1,697 40 2.37 47.85 -133 -154.51
삼천당제약*(코스닥 종목) 52,500 22,768 5.85 1,669 55 3.31 23.04 -286 -183.57
셀리드*(코스닥 종목) 116,500 9,709 1.89 0 -53 0 4.45 -585 -199.15
나노스*(코스닥 종목) 6,460 148,625 0.2 570 6 1.04 117.84 -31 -208.39

 

요약정리 

※ * 는 코스닥 종목입니다.

** 비상장

* 제공되는 내용은 투자에 영향을 주는 재료가 아닌 투자판단에 참고자료 입니다. 

※ 투자성과는 보유종목 기준으로 산출되어, 매도시 발생하는 실현손익은 반영되지 않습니다.

※ 거래대금 단위는 백만원, 시가총액 단위는 억원입니다.

 

 

728x90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