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아보자] 관련주 _ 수소전기차 - 연료전지
그런데 왜 이 관련주 인가?
토픽 설명
수소전기차(FCEV, Fuel Cell Electric Vehicle)는 수소와 산소를 전기화학 반응시켜 전기를 얻어 움직이는 차량을 말한다. 수소전기차는 전기차보다 충전속도가 빠르고, 주행거리가 길다는 장점이 있다.
수소전기차의 가장 핵심 부품군은 연료전기 스택(Stack). 연료전기 스택은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로 수 백개로 셀을 직렬로 쌓아 올린 연료전기 본체를 의미. 1개의 셀이 생산하는 전기는 약.0.7V수준이며, 1Kw의 전기생산을 위해서는 50여개의 셀 필요하다. 수소전기차의 제조원가에서 연료저기 스택 비중은 40~50% 수준으로 알려졌다.
수소연료전지 스택의 부품은 대표적으로 MEA(Membrane Electrode Assembly), 가스확산층(Gas Diffusion Layer), 분리판(Plate) 등이 있음. MEA는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이 일어나 전기가 생성되는 곳으로 스택 원가의 40% 차지. 가스확산층은 수소, 산소 및 물을 공급하고 배출하는 장치. 분리판은 연료전지에 공급된 산소, 수소를 가스확산층에 공급하고, 화학반응으로 생성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부품.
정부와 현대차그룹은 다음과 같은 정책으로 수소전기차 산업을 육성 중.
정부는 2020년 7월 14일 한국판 뉴딜정책을 발표하면서 수소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한 사업용 수소전기차 연료보조금 제도를 단계적 도입 추진. 앞서 동월 1일에는 수소경제위원회를 공식 출범하면서 2030년까지 수소전기차 85만대, 수소충전소 660기를 확충 계획 발표. 또한 수소 소재·부품·장비 업체 R&D 및 혁신조달 등을 통해 수소 전문기업 2030년까지 500개, 2040년까지 1,000개 육성 등 계획 수립.
이에 앞서 정부는 2019년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한 이후 보다 구체적인 표준화 전략 로드맵을 발표했으며(2019.04.03), 수소인프라 및 충전소 구축방안 마련(2019.10.22). 충분한 양의 수소 생산을 위한 수소 기술개발 로드맵을 준비하였으며(2019.10.31), 수소탱크 폭발 사고를 계기로 수소 안전관리 종합대책까지 마련(2019.12.26). 이후 세계 최초로 수소법 제정(2020.01.09).
현대차그룹은 2025년까지 누적 2.6조원을 투자해 연간 생산량 13만 대, 2030년까지 누적 6.9조원을 투자해 연간 50만 대 생산할 것을 목표(2020.09.15). 더해 현대차그룹의 수소트럭같은 경우 2030년 기준 유럽시장 점유율 15%를 차지한다는 목표 수립(2020.07.23).
한편 IHS에 따르면 전 세계 수소차 시장 규모는 2018년 5만 대에서 2022년 26만 대, 2030년에는 220만 대로 확대될 전망.
FICS | 종목명 | Business Summary | 토픽 자세히 |
자동차부품 | SNT모티브 | Business Summary[2020/12/17] 고정비 감소에도 수익성 부진 동사는 자동차의 친환경 모터, 계기판, 샤시, 에어백 등 핵심부품과 소구경 화기류(소총, 권총, 기관총 등) 등 방산제품을 생산하는 업체임. 자동차부품은 기술력 및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 받아 글로벌 Tier-1으로서 세계 각 국의 GM을 비롯해 현대기아자동차, PSA푸조-시트로엥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공급함. 특히 친환경 전기차, 수소연료전지차 등의 구동모터 핵심부품은 지속적인 공급 증가. 방산 역시 안정적 매출을 시현 중임.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 감소, 영업이익은 5.7% 감소,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코로나19로 인한 고객사 물량 감소로 샤시, 에어백 등 외형은 축소됨. 고정비 절감 노력에도 영업이익은 감소세를 보임. 2017년 11%에 불과했던 친환경차 매출 비중은 지난 3분기 29.6%로 두 배 이상 늘어나며, 향후에도 관련 매출은 독보적인 성장세를 보여줄 것이라고 예상됨. Business Summary[2021/06/29] 친환경차 사업호조세 2021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6% 증가, 영업이익은 40.4% 증가, 당기순이익은 22.8% 증가. 일반 부품 매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친환경차 부품 및 특수 사업호조세가 실적을 견인함. GM과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판매가 늘면서 전기차 관련 매출도 고성장 이어나갈 전망임. 올해에는 친환경차관련 제품군 확대 및 기존 및 신규고객사 추가물량 확보로 성장을 기대함. |
수소전기차 - 연료전지 현대차그룹에 FCEV(수소차용 구동모터) 공급. |
조선 | STX중공업 | Business Summary[2020/12/21] 영업이익 흑자전환 동사는 2001년 6월 STX에서 소재사업부문이 분사하여 엔파코로 설립되었으며, 2009년 5월 15일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 동사의 주요 사업은 대형선박 또는 특수선에 장착되는 선박용 디젤엔진과 발전설비 등 엔진기자재 사업임. 동사는 MAN Energy Solutions사와 기술제휴를 통해 선박용 및 Power Plant용 대형 디젤엔진을 생산하여 전세계 주요 조선소 및 플랜트 시장에 공급하고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손실은 84.4% 감소. 차세대 고온형 연료전지 기술인 SOFC가 상용화 및 인증을 거쳐 내년 상반기 시장에 제품들을 출시할 계획을 세우고 있음. 최근에는 DF/ME-GI 엔진 등의 신모델 개발에 착수함. 상대적으로 연료비가 저렴한 GAS 엔진 수요 증가에 대비할 계획임. Business Summary[2021/06/25] 매출 감소로 이익 감소 동사는 2001년 6월 STX에서 소재사업부문이 분사하여 엔파코로 설립되었으며, 2009년 5월 15일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함. 동사는 선박용 디젤엔진, 발전설비, 조선 기자재 등 사업을 영위함. 기자재 사업으로 당사는 선박용 디젤엔진 내 크랭크샤프트, 실린더 라이너, 터보 차저 등의 핵심 부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선박용 선실 등 주요 선박용 기자재까지 제작함. 2021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8.2% 감소, 영업손실은 12.2% 증가, 당기순손실은 61.2% 증가. 매출액이 큰 폭 감소하여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감소함. 동사는 MAN Energy Solutions사와 기술제휴를 통해 우수한 품질의 선박용 및 Power Plant용 대형 디젤엔진을 생산하여 전세계 주요 조선소 및 플랜트 시장에 공급하고 있음. |
수소전기차 - 연료전지 가정용 1kw급 고체산화물(SOFC)형 수소연료전지 출시. |
자동차부품 | 동아화성 | Business Summary[2020/12/17] 매출 부진에도 이익 성장세 동사의 주력제품은 자동차 엔진 및 각종 부품을 연결하는 인테크 호스와 드럼세탁기 도어의 누수방지 고무제품인 도어가스켓임. 동사의 경쟁력은 원재료인 합성고무에 카본, 충진제, 활성제 등 첨가제를 배합하여 고무소재인 CMB를 직접 생산하는 것임. 주력 매출처는 삼성전자와 LG전자, 현대기아차 그룹으로 주요 매출처 내 점유율이 기업별로 70%~90%에 달하고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6% 감소, 영업이익은 23.3% 증가, 당기순이익은 80.6% 감소. 최근 경제활동 재개에 따른 중국 등 주요 해외 법인의 가동률 회복, 자동차와 가전 등 효율적인 제품 믹스 등이 영업이익 증가의 주요인으로 판단됨. 4분기 북미향 자동차용 배터리 사출물 본격 양산도 실적에 긍정적 모멘텀으로 작용할 전망임. Business Summary[2021/06/29] 매출 회복세로 이익 성장세 2021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5% 증가, 영업이익은 89.1%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중국 등 주요 해외 법인의 가동률이 증가하며 닛산, 혼다 관련 매출 및 전기차 판매가 증가함. 이와 더불어 영업이익 또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임. 자동차와 전자분야의 매출확대와 전기분야 등 신시장 개척을 통한 사업다각화로 2021년 목표달성을 위해 노력중임. |
수소전기차 - 연료전지 수소전기차용 스택과 연결된 흡·배기 호스를 생산해 현대차에 납품. |
자동차부품 | 동양피스톤 | Business Summary[2020/12/21] 전방산업 침체로 외형 축소 1977년 6월 설립된 동사는 연결실체 기준으로 내연기관용 엔진피스톤을 전문적으로 생산, 판매하는 피스톤 전문기업임. 오리엔스를 인수하여 국내 1위 피스톤 업체로 발돋움하였으며 중국,멕시코 현지법인에서 피스톤을 생산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임. 향후에 발생할 친환경차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 및 사업다각화를 통한 기업가치 제고를 위하여 2018년 11월 우신공업 수소연료전지자동차용 인클로저 및 매니폴드 블록 사업 양수계약을 체결함.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8% 감소, 영업이익은 74%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인한 국내 및 해외 완성차업체의 공장 셧다운 등으로 인해 매출은 감소됨. 고정비 감소에도 수익성 또한 부진한 모습을 보임. 현대기아자동차 이외에 다수의 해외업체로부터 피스톤 수주계약을 맺고 현재 피스톤을 공급 중이며 시장점유율이 매년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Business Summary[2021/06/29] 안정적인 매출 유지 2021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7% 증가, 영업이익은 58.3% 증가, 당기순이익은 60% 증가. 전 산업부문 고른 매출 증가세 영향으로 수익성 또한 증가하는 추세임. 친환경 자동차용 방열모듈 및 Separate Assy’ 양산 업체로 선정되어 전기 자동차 시장에도 진출하여 ‘글로벌 친환경 자동차 부품’ 전문 기업으로 성장하는 발판을 마련함. |
수소전기차 - 연료전지 우신공업의 수소전기차용 인클로저(스택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부품) 사업을 인수. 인크로저는 수소와 산소의 반응을 통해 연료전지 스택을 보호하는 기능. |
전자 장비 및 기기 | 두산퓨얼셀 | Business Summary[2020/09/]분할 후 전문성 강화로 성장성 기대 동사는 발전용 연료전지 시장의 잠재적 기회를 적기에 극대화하고 미래 성장 사업의 원활한 투자 유치를 위하여 ㈜두산 연료전지 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여 2019년 10월 1일 설립됨. 동사가 제작ㆍ공급하는 연료전지는 친환경 발전원으로,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 시장 누적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음. 시장과 고객의 동향을 면밀히 파악하여 동사 연료전지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모델을 개발 중. 2020년 6월 매출액 중 연료전지 사업이 74.8%의 비중을 차지하며, 장기유지보수서비스 사업이 25.2%를 차지함. 공식적으로 발표되는 발전용 연료전지 시장점유율 자료는 없으나 동사의 발전용 연료전지는 국내시장 기준 80%를 차지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됨. 기존의 PAFC 기술 외에 SOFC 기술의 확보를 위하여 발전용 중저온형 SOFC 시스템 개발을 국책과제로 수행 중에 있음. Business Summary[2020/12/18] 분할 후 전문성 강화로 성장성 기대 2020년 9월 개별기준 매출액은 3,041.61억원, 영업이익은 204.20억원, 당기순이익은 130.86억원 기록. 2020년 9월 분기보고서 기준 연료전지 주기기 상품이 매출액 중 약 83.7%를 자지하고 있음. 현재 발전용 중저온형 SOFC 시스템 개발을 국책과제로 수행하고 있으며, 영국의 연료전지 기술업체인 세레스파워(Ceres Power)와 협력하여 핵심 부품인 셀스택의 양산기술을 개발하고 있음. Business Summary[2021/04/24] 분할 후 전문성 강화로 성장성 기대 동사는 발전용 연료전지 시장의 잠재적 기회를 적기에 극대화하고 미래 성장 사업의 원활한 투자 유치를 위하여 ㈜두산 연료전지 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여 2019년 10월 1일 설립됨. PAFC 연료전지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발전용 연료전지 사업을 영위함. 발전용 연료전지 사업을 단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 사업 내용은 발전용 연료전지 기자재 공급 및 연료전지 발전소에 대한 장기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함. 2020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08.8% 증가, 영업이익은 33.6% 증가, 당기순이익은 19.5% 증가. 2020년 연간 사업보고서 기준 연료전지 주기기 상품이 매출액 중 약 85.54%를 자지하고 있음. 현재 발전용 중저온형 SOFC 시스템 개발을 국책과제로 수행하고 있으며, 영국의 연료전지 기술업체인 세레스파워(Ceres Power)와 협력하여 핵심 부품인 셀스택의 양산기술을 개발하고 있음. Business Summary[2021/06/30] 분할 후 전문성 강화로 성장성 기대 2021년 3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58.8%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손실은 24.1% 증가. 2021년 1분기 보고서 기준 연료전지 주기기 상품이 매출액 중 약 70.59%를 자지하고 있음. 현재 발전용 중저온형 SOFC 시스템 개발을 국책과제로 수행하고 있으며, 영국의 연료전지 기술업체인 세레스파워(Ceres Power)와 협력하여 핵심 부품인 셀스택의 양산기술을 개발하고 있음. |
수소전기차 - 인프라 저온 인산형 타입의 발전용 연료전지를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 다른 발전원 대비 설치기간이 짧으며 작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 연료전지 주요 부품인 개질기(LNG→수소로 전환)를 활용해 향후 수소충전소 사업으로 확장 기대. 수소전기차 - 연료전지 저온 인산형 타입의 발전용 연료전지를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 다른 발전원 대비 설치기간이 짧으며 작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 연료전지 주요 부품인 개질기(LNG→수소로 전환)를 활용해 향후 수소충전소 사업으로 확장 기대. |
반도체 및 관련장비 | 미코 | Business Summary[2020/09/] 최대 매출 달성 동사는 1999년 7월 16일에 설립되었으며, 2002년 1월 15일자로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음. 동사는 종속회사 8개사를 포함하여 주요 사업으로 반도체 및 LCD 장비를 구성하는 부품을 제작하는 부품사업부문과 반도체 및 LCD 장비를 구성하는 부품의 세정과 코팅을 영위하는 세정사업부문이 있음. 최근 코로나 19 사태로 팹 장비 투자 성장은 불확실하나, 불확실성이 제거되면 성장할 것으로 예측됨. 2020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3% 증가, 영업이익은 5.2% 증가, 당기순이익은 54.5% 감소. 당기에는 사상 최대 매출을 거운 데 이어 반도체 세라믹 국산화 수혜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등 그린뉴딜 사업 진입이 기대됨. 상반기 세정, 코팅사업과 세라미힉터 등 주력 제품의 매출 호조가 나타나 양호한 실적과 주요 사업의 성과가 기대되는 상황임. Business Summary[2020/12/16] 실적 호조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2% 증가, 영업이익은 16.1% 증가, 당기순이익은 7.4% 증가. 올해 사상 최대 매출을 거운 데 이어 반도체 세라믹 국산화 수혜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등 그린뉴딜 사업 진입이 기대. 세라믹 소재 관련 소재, 부품 시장을 선점, 과점하고 있는 일본 회사들과 대비하여 국산화를 통한 납기 단축, 원가경쟁력, 빠른 CS 등의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늘리고 있음. Business Summary[2021/04/24] 매출 및 영업익 증가 세라믹 소재 부품 제작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유일의 반도체 공정 장비용 고기능성 제품들을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음. 2020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9% 증가, 영업이익은 13.3% 증가, 당기순이익은 45.9% 증가. 올해 사상 최대 매출을 거운 데 이어 반도체 세라믹 국산화 수혜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등 그린뉴딜 사업 진입이 기대되고 있음. 동사는 청정생산기술 사업에 진입한 후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에 사용되고 있는 청정부품세정기술개발에 성공함. Business Summary[2021/06/27] 매출 증대로 인한 순이익 증가 동사는 1999년 7월 16일에 설립되었으며, 2002년 1월 15일자로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음. 동사는 종속회사 9개사를 포함하여 주요 사업으로 반도체 및 LCD 장비를 구성하는 부품을 제작하는 부품사업부문과 반도체 및 LCD 장비를 구성하는 부품의 세정과 코팅을 영위하는 세정사업부문이 있음. 세라믹 소재 부품 제작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유일의 반도체 공정 장비용 고기능성 제품들을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음. 2021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8.4% 증가, 영업이익은 60.1% 증가, 당기순이익은 261.5% 증가. 매출 증대로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 모두 증가함. 2019년도 1MW 라인을 준공함으로써 All-in-one system이 가능해졌음. 동사의 경우, SOFC 시스템의 시작부터 끝까지 당사 자체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외주 의존도가 낮아 안정적인 공급 및 사후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음. |
수소전기차 - 연료전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관련 기술 보유. 연료전지 스택을 개발해 정부의 녹색인증 획득. |
전기장비 | 비나텍 | Business Summary[2020/12/21] 국책과제기반 다양한 양산모델 개발중 다량의 전력을 일시에 저장해두었다가 필요에 따라 전력을 방출하는 슈퍼커패시터, 수소를 연료로 대기 중 산소와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직접 변환 발전하는 수소연료전지 소재 및 부품사업을 영위. 동사가 주력사업으로 하고 있는 중형 커패시터는 자동차용 기어박스, 블랙박스 등에 사용됨. 2018년 슈퍼커패시터의 확대로 베트남 공장을 완공하였으며, 2019년 R&D CENTER의 완공으로 연료전지 부품개발 및 양산준비를 완료. 2020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4% 증가, 영업이익은 18.6% 증가, 당기순이익은 87.6% 증가. 슈퍼커패시터 산업은 운송, 산업 및 전방시장 수요의 확대로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전세계의 전력 효율 증대와 풍력, 태양광 시장 등의 고속성장, 친환경자동차 시장의 확대로 수요가 꾸준하게 증가. 스마트미터 매출은 주요선진국에서 개발도상국으로 그 수요가 확대되면서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 Business Summary[2021/06/25] 세계 최대 생산능력 보유 1999년 7월 26일에 설립되었으며, 주업종은 전자축전지 제조 및 전자부품 도소매업으로서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운암로 15에 공장이 위치하고 있음. 주요제품인 초고용량 커패시터는 산업용, 차량용, 에너지용, 소비 가전분야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음. 최근 스마트미터기와 순간 출력을 이용한 풍력의 피치컨트롤 등은 초고용량 커패시터의 신규 창출시장이라고 할 수 있음. 2021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8% 감소, 영업이익은 23.3% 감소, 당기순이익은 23.7% 감소. 스마트미터 매출은 전체 슈퍼커패시터 매출액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선진국에서 개발도상국으로 그 수요가 확대되면서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됨. 연료전지 시장은 에너지, 운송 분야에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각국 정부 지원으로 무한한 성장이 잠재되어 있는 시장. |
수소전기차 - 연료전지 에너지 저장장치 슈퍼커패시터와 수소연료전지 핵심 부품·소재인 MEA, 지지체, 촉매 등을 개발. |
디스플레이 및 관련부품 | 상아프론테크 | Business Summary[2020/12/21] LCD부문 매출 하락으로 수익성 악화 동사는 1986년 3월에 상아양행으로 설립되었으며, 전자 및 전기기기 부품 제조 판매업 등을 사업목적으로 설립됨. 동사는 LCD와 OLED 제조 공정중 패널의 보관 및 이송을 위한 FPD Cassette, 반도체 사업의 Wafer carrier와 ETFE Film 등 다양한 전방의 산업에 제조업을 영위함. 최근에는 특정 성분을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혼합물을 분리할 수 있는 e-PTFE Membrane 소재 개발에 성공함.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6% 감소, 영업이익은 58.9% 감소, 당기순이익은 65.9% 감소. 동사 매출은 LCD매출의 하락으로 전년 동기 대비 큰 폭 감소한 반면, 고정비는 줄어들지 않아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하였음. 유동자산이 증가하였으나 이는 현금이 줄고 재고자산이 크게 늘었기 때문임. 금융부채가 늘어 주의깊게 보아야 할 필요성이 있음. Business Summary[2021/06/27] 매출성장으로 영업실적 강화 동사는 1986년 3월에 상아양행으로 설립되었으며 전자 및 전기기기 부품 제조 판매업 등을 사업목적으로 설립됨. 동사는 FPD GLASS 이송 공정용 LCD CASSETTE와 프린터의 핵심 부품인 전사벨트는 세계일류상품에 선정되어 세계최고 수준의 제품 개발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최근에는 특정 성분을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혼합물을 분리할 수 있는 e-PTFE Membrane 소재 개발에 성공하며 다양한 특허를 보유함. 2021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8% 증가, 영업이익은 4.1% 증가, 당기순이익은 3.2% 감소. 동사의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증가하며 영업이익 또한 개선되었으나, 당기순이익은 소폭 감소함. 전기차용 2차전지 부품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 진출과 의료기기, 멤브레인 등 고부가가치 특수소재 사업을 개발하여 공급계약체결을 통한 매출 확대가 전망됨. |
수소전기차 - 연료전지 수소차 연료 전지 분리막 개발. 수소연료전지 핵심 부품 국산화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짐. 전기차 - 배터리 소재·부품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이용해 배터리 전해액 누수방지 부품을 만들어 삼성SDI에 공급 중. |
휴대폰 및 관련부품 | 시노펙스 | Business Summary[2020/12/17] FPCB 사업 부진 지속 나노기술 소재부품 전문기업으로 FPCB사업, 멤브레인 필터 및 수처리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세계 최고 수준의 여과기술을 바탕으로 고객의 생산효율성 제고에 대한 솔루션 제공을 목적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이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의 첨단 IT부품분야에 바탕이 됨. 2020년 10월 (주)프론텍 흡수합병이 완료함. 프론텍은 에어필터에 사용되는 PTEE 소재를 생산하는 기업임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주력인 FPCB 사업 부진으로 외형이 축소되었으나 판관비는 오히려 증가해 영업손실과 순손실을 보이며 적자전환. 신규 사업으로 수소연료전지 사업을 추진중이며 2019년 4월 연료전지용 PTEE멤브레인 제조라인을 충남 천안지역에 확장하며 본격적인 사업화를 진행하고 있음. Business Summary[2021/06/29] 사업부진으로 영업손실 전환 나노기술 소재부품 전문기업으로 FPCB사업, 멤브레인 필터 및 수처리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세계 최고 수준의 여과기술을 바탕으로 고객의 생산효율성 제고에 대한 솔루션 제공을 목적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이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의 첨단 IT부품분야에 바탕이 됨. 2020년 10월 (주)프론텍 흡수합병이 완료함. 프론텍은 에어필터에 사용되는 PTEE 소재를 생산하는 기업임. 2021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3%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64.8% 감소. 주력인 FPCB 사업 부진으로 외형이 축소되었으며, 판관비 통제에도 불구하고 고정비 부담 증가에 따라 영업손실을 보임. 신규 사업으로 수소연료전지 사업 추진, 혈액투석기 기기 국산화 기술개발 업체로 선정되어 필터모듈 양산설비 및 기술도입 계약을 체결하는 등 핵심 경쟁력을 기반으로 헬스메디컬 기기 국산화 사업을 진행함. |
수소전기차 - 연료전지 현대차 수소차 분야 협력기업으로 수소차 연료전지 분리막 개발 및 상용화 진행 중. |
에너지 시설 및 서비스 | 에스에너지 | Business Summary[2020/12/18] 외형 성장, 수익성 대폭 감소 동사는 2001년 1월 12일 설립되었으며, 태양전지 모듈 제조 및 태양광 발전 시스템 설치 및 발전사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기존 태양광 모듈 판매뿐 아니라 태양광발전소 건설사업과 유지보수 사업으로까지 영역을 확대하는 등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있음. 2018년 10월에는 동사의 수소연료전지 자회사인 에스퓨얼셀이 성공적으로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3.3% 증가, 영업이익은 2491.2% 증가, 당기순손실은 728.9% 증가. 2020년 9월 100억원 규모의 6.6MW 과달루페 태양광발전소 프로젝트를 수주하는 등 칠레 태양광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중임. 꾸준한 실적 개선을 위해 미국, 일본, 칠레 등 해외 태양광 프로젝트 사업 진출을 확대해 나가고 있음. Business Summary[2021/06/30] 외형 축소에 따른 적자 전환 동사는 2001년 1월 12일 설립되었으며, 태양전지 모듈 제조 및 태양광 발전 시스템 설치 및 발전사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기존 태양광 모듈 판매뿐 아니라 태양광발전소 건설사업과 유지보수 사업으로까지 영역을 확대하는 등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있음. 2018년 10월에는 동사의 수소연료전지 자회사인 에스퓨얼셀이 성공적으로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2021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1% 감소, 영업이익은 33.3%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통영 HSG성동조선 공장 122억 수주, 한국서부발전과 2022년까지 588억 공급계약 수주 등 잇따른 대형 계약 체결. 태양광 발전 사업에 있어 토탈 솔루션을 제공중임. 꾸준한 실적 개선을 위해 미국, 일본, 칠레 등 해외 태양광 프로젝트 사업 진출을 확대해 나가고 있음. |
수소전기차 - 연료전지 자회사 에스퓨얼셀을 통해 수소연료전지 사업진행(보유 지분율 37.57%). |
전자 장비 및 기기 | 에스퓨얼셀 | Business Summary[2020/09/] 연료전지시스템 제조 업체 동사는 2014년 2월 설립되어 2018년 10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함. 동사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함. 주요제품으로는 1kW, 5kW, 6kW, 10kW급 건물용 연료전지와 100kW급 발전용 연료전지가 있음. 동사는 연료전지의 연구개발과 생산기술 확보, 사업전략 및 모델 개발 등을 진행하며 이를 제외한 영업, 부품가공 및 제품생산, 설치, 시운전 등은 협력업체와 공동으로 진행하는 사업구도를 갖춤. 2020년 6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3.5% 증가, 영업이익은 102.6% 증가, 당기순이익은 163.1% 증가. 연료전지의 주요부품인 스택 가격은 2019년 대비 약 5.1% 하락하였으며, 전장주요 부품인 인버터의 경우 2019년 대비 약 4.7% 하락함. 발전용 연료전지 매출은 향후에 발전사업자로의 직접 매출뿐만 아니라 발전용 연료전지 영업협력사들을 통해서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 Business Summary[2020/12/16] 연료전지시스템 제조 업체 동사는 2014년 2월 설립되어 2018년 10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함. 동사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제품으로는 1kW, 5kW, 6kW, 10kW급 건물용 연료전지와 100kW급 발전용 연료전지가 있음. 2020년 3월 국내 최초로 연료전지를 중국에 수출하였고, 2020년 10월 2kW급 연료전지 수소 드론을 개발하였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6.7% 증가, 영업이익은 94.8% 증가, 당기순이익은 159.5% 증가. 연료전지의 주요부품인 스택 가격은 2019년 대비 약 6.7% 하락하였으며, 전장주요 부품인 인버터의 경우 2019년 대비 약 4.9% 하락 하였음. 발전용 연료전지 매출은 향후에 발전사업자로의 직접 매출뿐만 아니라 발전용 연료전지 영업협력사들을 통해서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 Business Summary[2021/04/23] 건물용 연료전지 매출 증가 동사는 2014년 설립돼 2018년 상장됨. 연료전지시스템 생산과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1kW, 5kW, 6kW, 10kW급 건물용 연료전지와 100kW급 발전용 연료전지가 주요 제품임. 친환경 에너지 수요가 늘고 수소자, 전기차가 주목 받으며 동사 역시 성장이 기대된다고 평가 받음. 발전업체 군산금강레져타운발전소, 익산한사랑발전소, 제일연료전지발전소를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함. 2020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8% 증가, 영업이익은 2.4% 감소, 당기순이익은 6.3% 증가. 정부의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지원 정책으로 실적이 성장함. 2020년 국내 기업 최초로 중국에 연료전지를 수출하는 등 성과를 내고 있음. 외형확대에 따른 인원증가와 대손상각비 비용증가 등으로 영업이익은 소폭 감소함.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성장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주를 이룸. Business Summary[2021/06/30] 판관비 증대로 영업이익 감소 동사는 2014년 2월 28일 설립되어, 연료전지시스템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주요제품으로는 1kW, 5kW,6kW, 10kW급 건물용 연료전지와 100kW급 발전용 연료전지가 있음. 동사는 사업의 핵심역량인 연료전지의 연구개발과 생산기술 확보, 사업전략 및 모델 개발 등은 직접 진행하며, 이를 제외한 영업, 부품가공 및 제품생산, 설치, 시운전 등은 협력업체와 공동으로 진행하는 사업구도를 갖춤. 2021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 감소, 영업이익은 63.6% 감소, 당기순이익은 59.4% 감소. 에스퓨얼셀은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핵심부품인 셀스택 및 보조기기 연구와 함께, 미래시장을 위해 신재생하이브리드 발전기술 연구도 정부지원 과제 통해 수행하고 있음. 건물용 연료전지의 전방시장의 특성으로 인해 최근 3년 동안 매년 4분기 매출비중이 연간 매출의 50% 이상이 될 정도로 4분기 매출비중이 높음. |
수소전기차 - 연료전지 |
섬유 및 의복 | 코오롱머티리얼 | Business Summary[2020/12/16] 외형 축소, 수익성 증가 동사는 2008년 설립되었으며 화학섬유의 제조, 판매 및 염색가공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흡한속건기능의 COOLON, 항균/소취기능의 ATB-UV+, 자외선차단/비침방지/냉감기능의 U-VEIL, 보온/경량성의 PYROCLE 등 차별화 고기능 제품을 보유하고 있음. 코오롱그룹 기업집단에 속한 동사의 계열회사는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국내 35개사와 해외법인 36개로 총 71개임.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9.9% 감소, 영업손실은 155.3% 증가, 당기순손실은 81.2% 감소. 시장의 흐름에 대응하기 위하여 직물 및 편물의 제조 공장 관련 친환경 인증을 획득 및 지속 유지하고 있으며, 친환경 원료를 적용한 투습방수 원단과 냉감 등 감성 복합형 기능성 원단을 런칭. 또한 기존 친환경 의류용 제조 및 판매를 통한 경쟁력을 토대로 가방지 분야에도 확대 적용 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중. Business Summary[2021/06/30] 외형 축소, 수익성 감소 동사는 2008년 설립되었으며 화학섬유의 제조, 판매 및 염색가공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흡한속건기능의 COOLON, 항균/소취기능의 ATB-UV+, 자외선차단/비침방지/냉감기능의 U-VEIL, 보온/경량성의 PYROCLE 등 차별화 고기능 제품을 보유하고 있음. 코오롱그룹 기업집단에 속한 동사의 계열회사는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국내 36개사와 해외법인 38개로 총 74개임. 2021년 3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3% 감소, 영업손실은 171.7% 증가, 당기순손실은 11.3% 증가. 시장의 흐름에 대응하기 위하여 직물 및 편물의 제조 공장 관련 친환경 인증을 획득 및 지속 유지하고 있으며, 친환경 원료를 적용한 투습방수 원단과 냉감 등 감성 복합형 기능성 원단을 런칭. 또한 기존 친환경 의류용 제조 및 판매를 통한 경쟁력을 토대로 가방지 분야에도 확대 적용 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중. |
수소전기차 - 연료전지 수소연료전지 핵심 부품 중 하나인 연료전지 분리막 원천기술 확보. |
화학 | 코오롱인더 | Business Summary[2020/12/21] 매각자산,중단사업으로 순이익 증가 동사는 코오롱의 제조사업부문이 분할되어 신설된 제조회사로 2010년 1월 5일자로 분할 등기를 완료함. 사업특성상 산업자재군, 화학소재군, 필름/전자재료군, 패션군, 의류소재 등의 5개 사업군으로 나뉘며 산업자재군이 가장 큰 매출 비중을 차지함. 세계 최초로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핵심 부품인 윈도우 커버용 투명폴리이미드 필름 (상표명 CPI®)를 생산 및 판매하고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8% 감소, 영업이익은 43.1% 감소, 당기순이익은 235.8% 증가. 코로나로 다소 감소한 매출을 기록함. 원재료 가격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생산설비의 증가로 영업이익은 큰폭으로 감소함. 매각 및 중단사업으로 순이익이 크게 증가함. 다양한 사업영역을 영위하고 있어 경기변화에 대해 유동적이고 즉시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정상적 경기 상황에서 실적의 안정세가 양호함. Business Summary[2021/04/26] 매출 감소에 따른 수익성 악화 2020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4% 감소, 영업이익은 11.9% 감소, 당기순이익은 526.2% 증가. 원가율 하락과 판관비 절감 노력에도 불구하고 매출 감소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함. 코로나19가 실적 악화의 원인임. 다양한 사업영역을 영위하고 있어 경기변화에 대해 유동적이고 즉시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정상적 경기 상황에서 실적의 안정세가 양호함. Business Summary[2021/06/27] 매출 증가에 따른 수익성 강화 2021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2% 증가, 영업이익은 160.3% 증가, 당기순이익은 69.3% 감소. 매출액 증가와 더불어 원가율 개선을 바탕으로 영업이익은 대폭 증가하였음. 2020년 하반기부터 백신보급에 힘입어, 제조업 가동률이 상승중이며 주요 소비재들 수요도 회복추세에 있음. 경량화 소재인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사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향후 친환경차량 부품소재 시장의 성장률이 가파를 것으로 기대됨. |
타이어 타이어의 내구성과 안정성 등을 높여주는 화학섬유의 일종인 폴리에스터(PET) 타이어코드 생산. 글로벌 점유율 15%로 세계2위. 폴더블폰 - 소재·부품 세계 최초로 CPI(투명폴리이미드)개발하고 양산 체제를 구축한 유일한 기업. 수소전기차 - 연료전지 국내 자동차 부품인 수소연료전지용 수분제어 장치 개발. 수소연료전지의 핵심 부품으로 꼽히는 막전극접합체 기술을 미국 고어사로부터 도입. |
자동차부품 | 평화산업 | Business Summary[2020/12/21] 매출 부진 지속 동사는 자동차 및 일반산업용 방진부품, 호스부품 및 특수차량 부품 제조업을 주사업으로 영위함. 주요 완성차업체(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한국GM, 쌍용자동차)를 통해 내수판매를 하고 있음. 또한 글로비스, 현대모비스 등의 OEM판매와 1차 부품업체에 직접 판매를 하고 있음. 독자적인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우수 연구인력이 신기술, 재료배합기술 등에 매진하고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2% 감소, 영업손실은 5.6% 감소, 당기순손실은 43% 감소. 코로나19 영향으로 완성차 업체들의 부진으로 매출은 감소세를 보이고, 고정비 감소로 영업손실 적자폭은 축소됨. 미래 성장동력인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에 대비한 준비도 철저히 하고 신시장 개척 및 신성장 사업 발굴 등에 모든 역략을 집중할 것임. Business Summary[2021/04/22] 전방산업 침체로 매출 부진 동사는 자동차 및 일반산업용 방진부품, 호스부품 및 특수차량 부품 제조업을 주사업으로 영위함. 주요 완성차업체(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한국GM, 쌍용자동차)를 통해 내수판매를 하고 있음. 또한 글로비스, 현대모비스 등의 OEM판매와 1차 부품업체에 직접 판매를 하고 있음. 독자적인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우수 연구인력이 신기술, 재료배합기술 등에 매진하고 있음. 2020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2% 감소, 영업손실은 212.4% 증가, 당기순손실은 8% 증가. 코로나19 영향으로 완성차 업체들의 부진으로 매출은 감소세를 보이고, 판관비의 증가로 영업손실 적자 폭은 확대됨. 미래 성장동력인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에 대비한 준비도 철저히 하고 신시장 개척 및 신성장 사업 발굴 등에 모든 역략을 집중할 것임. Business Summary[2021/06/29] 외형 확대로 수익성 개선 동사는 자동차 및 일반산업용 방진부품, 호스부품 및 특수차량 부품 제조업을 주사업으로 영위함. 주요 완성차업체(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한국GM, 쌍용자동차)를 통해 내수판매를 하고 있음. 또한 글로비스, 현대모비스 등의 OEM판매와 1차 부품업체에 직접 판매를 하고 있음. 독자적인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우수 연구인력이 신기술, 재료배합기술 등에 매진하고 있음. 2021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8%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전방산업이 회복세를 보이며 자동차 부품 사업부문의 외형이 확대됨. 고정비의 동반 상승에도 외형 확대에 힘입어 영업이익은 흑자로 전환됨. 미래 성장동력인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에 대비한 준비도 철저히 하고 신시장 개척 및 신성장 사업 발굴 등에 모든 역략을 집중할 것임. |
수소전기차 - 연료전지 자동차 및 일반산업용 제조사 . 계열사인 평화씰공업이 현대차 수소연료전기자동차(FCEV)의 핵심부품 중 하나인 연료전지 스택 가스켓 공급. 방위산업 방위산업용 특수차량 부품 중 전투차량용 궤도 및 로드휠 고무, 특수고무를 생산. |
자동차부품 | 평화홀딩스 | Business Summary[2020/12/15] 원가율 개선 동사는 1950년 10월 30일에 설립되었으며 1986년 3월 31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주식 상장함. 다른 회사의 주식을 소유함으로써 그 회사를 지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지주회사로 현재 여러개의 자회사를 두고 있음. 주요사업 내용으로는 각종 자동차 및 장비시설용 부품의 제조 및 판매, 각종 산업용 부품의 제조 및 판매, 기술관련 용역 제공, 서비스 및 임대업 등이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4% 감소, 영업손실은 21.5% 감소, 당기순손실은 49.1% 감소.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전방산업의 침체로 매출액이 상당 폭 감소하였음. 원가율이 개선되면서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은 개선되는 모습을 보임. 2020년 5월 28일 동사의 종속회사인 천진평화기채배건유한공사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였음. 향후 종속회사의 재무구조가 개선될 것으로 전망됨. Business Summary[2021/06/27] 매출 성장, 흑자 전환 2021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9%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대부분의 자회사에서 매출 성장이 이루어졌으며 규모가 큰 자회사드르이 실적이 흑자전환 함에 따라 실적이 크게 개선되었음. 전장부품의 경우 향후 하이브리드나 전기차 등으로 확산될 경우 관련부품에대한 수요도 급속도로 확대될 전망으로, 기술경쟁력 우위를 바탕으로 성장성과 수익성에서도 유리한 위치를 점할 것으로 예상됨. |
수소전기차 - 연료전지 수소연료전기자동차(FCEV)의 핵심부품 중 하나인 연료전지 스택 가스켓을 생산해 현대차 납품. |
자동차부품 | 현대모비스 | Business Summary[2020/12/21] 안정적인 성장 지속 기대 동사는 1977년 6월 설립되었으며, 1989년 9월 5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주식을 상장하였음. 고무용 도료 기술로 출발해 폴리우레탄 수지 및 전자, 자동차, 생명과학 등에 사용되는 다양한 정밀화학제품을 생산 및 판매하는 것을 목적사업으로 함. A/S부품 사업을 영위함. A/S용 부품사업은 부품의 책임공급을 위한 물류센터 등의 대단위 인프라 구축과 244개차종, 270만품목을 관리함.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1% 감소, 영업이익은 34.6% 감소, 당기순이익은 42.9% 감소. 코로나19로 인한 전방산업 불황으로 부진한 실적 시현. 반면,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장 흐름 유지하고 있으며, 수익성 또한 양호한 수준. 현대/기아차에 새시/캇핏/프런트엔드모듈 등 3대 핵심모듈과 제동/조향/램프/에어백 등 핵심부품과 각종 미래 핵심부품 등을 공급하고 있어 지속 성장 가능할 것으로 기대. Business Summary[2021/06/29] 안정적인 성장 지속 기대 2021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5% 증가, 영업이익은 35.9% 증가, 당기순이익은 72.1% 증가. 코로나19로 인한 기저효과와 전방산업의 부진 탈피 등으로 비교적 양호한 실적 시현.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장 흐름 유지하고 있음. 현대/기아차에 새시/캇핏/프런트엔드모듈 등 3대 핵심모듈과 제동/조향/램프/에어백 등 핵심부품과 각종 미래 핵심부품 등을 공급하고 있어 지속 성장 가능할 것으로 기대. |
수소전기차 - 연료전지 연료전지부품인 MEA(막전극접합체), FPS(수소공급장치) 등을 연간 3000대 규모 생산. 2022년까지 생산 능력을 4만대로 늘리고 2030년까지 70만대로 확대할 계획으로 알려짐. |
금속 및 광물 | 현대제철 | Business Summary[2020/12/17] 고정비 부담 완화로 실적이 개선 지배회사와 연결종속회사는 당분기말 현재 철강영업부문(판재, 봉형강, 중기계 등) 및 기타영업부문(반제품, 부산물 등)을 영위하고 있음. 고로 부문에서는 현대자동차그룹 내 공동 연구개발을 진행하는 한편 2013년말 현대하이스코 냉연사업 부문을 분할합병하여 자동차용 강판에 특화된 전문 기업으로 변모함. 매출은 판재 51.63%, 봉형강 33.79%, 반제품, 부산물 외 6.98%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6% 감소, 영업이익은 96.3%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3분기 글로벌 완성차업체들의 생산정상화에 따른 판매량 회복으로 고정비 부담이 완화되며 전분기대비 실적이 개선 자동차산업은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글로벌 생산차질 및 판매 감소가 불가피한 상황이지만, 차츰 글로벌 자동차 생산이 재개되고, 지속적인 신차 출시를 추진하는 등 점진적 회복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함. Business Summary[2021/06/25] 1분기 실적 3년래 최대치 기록 2021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6%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철강시황 호조에 따른 공격적 판가 인상으로 고로마진이 4분기대비 6~7만원 개선되며 수익성 개선을 주도. 봉형강 성수기 진입과 더불어 그룹사향 자동차강판 인상이 예상되는 2분기에는 5년래 최대실적이 기대. 고철가격이 급등했지만 전기로마진도 4분기대비 약 만원 개선되어 기대보다 수익성이 양호했던 것으로 판단됨. |
수소전기차 - 연료전지 수소전기차 스택(수소를 전기로 바꿔주는 장치)의 핵심 부품인 금속분리판 생산. 생산 능력을 21년 3만1000대 → 22년 4만6000대 규모로 확대 계획. |
자동차부품 | 일진하이솔루스 | Business Summary[2021/08/31] 수소용기의 높은 시장점유율 확보 중 동사는 2012년 11월2일 설립되어 용기사업(CNG,수소 차량용 연료탱크 제조 등 설치용 금속탱크 및 저장용기) 및 환경사업(매연저감장치 DPF)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일진그룹에 속하는 계열회사임. 2021년 4월 13일 "최고의 수소연료저장 솔루션으로 친환경 미래 사회에 해법을 제시"하는 의미를 담아 일진복합소재에서 일진하이솔루스로 상호를 변경함. 2021년 9월 1일 코스피 시장에 신규 상장함. 2021년 6월 기준 매출액 574.7억원, 영업이익 62.7억원, 당기순이익 50.2억원을 기록함. 전방시장인 글로벌 수소차 시장 내 양산업체는 현대자동차, 도요타 및 혼다로 구분되며, 동사는 현대자동차의 수소차에 탑재되는 수소용기를 독점 공급 중으로 20년 기준 연산 용기 47,652 EA 생산능력을 확보함. 동사의 주요 제품은 수소용기 및 매연저감장치로 구분됨. 시장 점유율 확대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중임. |
토픽 자세히 |
요약정리
※ * 는 코스닥 종목입니다.
** 비상장
* 제공되는 내용은 투자에 영향을 주는 재료가 아닌 투자판단에 참고자료 입니다.
※ 투자성과는 보유종목 기준으로 산출되어, 매도시 발생하는 실현손익은 반영되지 않습니다.
※ 거래대금 단위는 백만원, 시가총액 단위는 억원입니다.
#모아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