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 Summary | 종목명 | 시가총액 | PER |
Business Summary[2020/12/17] 화장품 라인업 확대 당사는 2001년 4월 주식회사 LG화학에서 분할 신설되어 동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였으며, 화장품 및 생활용품, 음료 등을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궁중 브랜드 '후', 천연발효 브랜드 '숨', 피부과학 브랜드 '오휘', 허브 브랜드 '빌리프'와 같은 경쟁력 있는 럭셔리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음. 주요 종속회사인 코카콜라음료(주)는 비알콜성음료를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하고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 증가, 영업이익은 3.1% 증가, 당기순이익은 2% 증가. COVID-19 영향으로 인파가 몰리는 오프라인 채널에서의 판매가 위축되는 반면, 마스크, 핸드워시, 새니타이져 등 개인위생용품과 온라인을 통한 판매가 증가. 더마화장품 및 퍼스널케어 사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피지오겔 브랜드의 아시아퍼시픽 및 북미 지역 사업권 취득하는 계약 체결하였으며, 현재 자산인수 완료. | LG생활건강 | 253,952 | 36.43 |
Business Summary[2020/12/21] 매출 증가 및 수익 개선 2007년 9월 CJ에서 기업 분할되어 식품과 생명공학에 집중하는 사업회사로 출발한 국내 1위 식품회사의 위치를 공고히하고 있음. 고급화 되어가는 소비자 트렌드에 맞춰 프리미엄화 전략을 적극 추진하여 뛰어난 맛과 품질, 강력한 브랜드 파워를 갖추기 위해 노력 중임. 육상 및 해상 등 여러 분야에서 전국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운송의 합리화를 추진하여 물류 품질의 질적 향상과 서비스 극대화에 중점을 두고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4% 증가, 영업이익은 69.5% 증가, 당기순이익은 1077.9% 증가. 전년동기 대비 각종 비용이 증가하였으나 매출액 증가에 힘입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함. 국내 식품 수요 증가 및 해외 시장에서의 고성장, 바이오와 생물자원 부문의 스팟가격 상승에 따른 수익성 개선 등으로 인해 긍정적인 실적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
+ 주요 제품 - 식품 (29%) : 설탕, 밀가루, 식용유 등 ▶ 밀가루: 14년 81만원 → 15년 79만원 → 16년 73만7000원 → 17년 68만3000원 → 18년1Q 66만2000원 → 18년2Q 66만3000원 → 18년3Q 66만5000원/톤) - 생명공학 (26%) : 의약품 등 - 물류 사업 (45%) : 운송, 하역, 건설 등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및 가격 추이
+ 테마 - 다시다, 스팸, 햇반 등 인기 브랜드를 보유한 국내 최대 식품업체 | CJ제일제당 | 69,400 | 9.57 |
Business Summary[2020/12/21] 제품 다양화 추진 2017년 6월 인적분할로 설립되었으며 음식료품의 제조, 가공 및 판매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국내 시장에서는 초코파이를 위시한 여러 파이 제품과 포카칩, 오징어땅콩 등의 안정적인 실적을 바탕으로 매년 다양한 신제품을 출시해 성공시키며 높은 시장 지배력을 보이고 있음. 해외 시장에서는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큰 성장을 이루어내고 있으며, 소매점 판매강화를 통해 지역 및 채널망을 확장시켜 나가고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6% 증가, 영업이익은 26.8% 증가, 당기순이익은 37.5% 증가. 매출액은 2017년 1조 733억에서 2019년 2조 233억으로 약 2배 가까이 증가하였으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3배 가량 증가하였음. 대형할인점 및 편의점 증가에 따른 유통구조의 변화 및 수입브랜드, P.B스낵들의 점유율 확대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추세.
+ 주요 제품 - 스낵: 포카칩, 오감자 등 (33.5%) - 비스킷: 고소미, 초코칩, 다이제 등 (24.8%) - 파이: 초코파이, 오뜨 등 (18.7%) * 괄호 안은 매출비중
+ 테마 - '초코파이'로 유명한 제과 전문업체 | 오리온 | 48,629 | 17.76 |
Business Summary[2020/12/21] 매출 감소에도 수익성 방어 지배회사인 동사는 식품사업, 포장사업, 다류사업, 수출입 및 구매대행업 등을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종속회사가 영위하는 주요 사업은 커피 外 제조업, 음료 도, 소매업 등임. 동사는 치즈류, 시럽류, 과채가공품, 음료, 견과류, 절임식품 등 제품을 생산 또는 수입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하고 있음. 원료의 재배 부터 생산,출하까지 잔류농약 정밀 분석기기를 도입 운영하여 유해물질의 제품혼입을 원천적으로 예방 관리하고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4% 감소, 영업이익은 3.9% 증가, 당기순이익은 1.5% 증가.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나, 판매비와관리비의 감소로 영업이익이 증가하였음. 이자수익의 감소로 당기순이익은 소폭 증가함. 동사는 시장 경쟁 및 국내외의 지속적인 저성장 기조 속에서도 치즈류, 시럽류, 과채가공품 등의 품목군에서 안정적인 매출 신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기대됨.
+ 주요 제품 - 식품사업부문 (59.6%) : 식자재, 동서음료 등 - 제조부문 (25.8%) : 포장재, 다류, 동서물산 등 - 구매수출부문 (12.8%)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테마 - '맥심'으로 유명한 동서식품의 모기업. 식품 포장용기 및 유지류 판매업체 | 동서 | 30,957 | 22.39 |
Business Summary[2020/12/17] 매출 및 영업이익 대폭 증가 동사는 1924년 설립된 주류판매기업으로,"하이트진로 그룹"의 기업집단에 속하여 있으며, 25개의 계열회사로 이루어짐. 동사의 영업부문은 맥주사업, 소주사업, 생수사업및 기타사업부문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소주 사업이 매출의 56%를 차지함. 대한민국 대표 소주 브랜드를 넘어, 글로벌 소주 브랜드 '참이슬' 로서의 위상을 굳건히 하고 있으며, '진로'의 성공적 출시로 소주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켰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8% 증가, 영업이익은 214.2%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국내 주류 시장은 전반적으로 정체되고 있는 상황이며, 맥주와 소주 시장도 성장이 정체될것으로 판단, 특히 외식 경기가 위축의 영향이 큼. 2020년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집에서 술을 즐기는 '홈술' 트렌드가 확산되어 가정용 제품 판매가 증가함.
+ 주요 제품 - 소주 외 (56.1%) : 참이슬 외 (14년 2만8851원 → 15년~18년1Q 3만471원) - 맥주 외 (37.2%) : 하이트 외 (15년 2만1592원 → 16~18년1Q 2만2933원) - 생수 (3.8%) : 먹는샘물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및 가격 추이
+ 테마 - 국내 1위 주류 제조·판매 업체 | 하이트진로 | 23,635 | 31.85 |
Business Summary[2020/12/18] 매출 및 순이익 상승 동사는 1969년 설립되었으며, 1994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 기업으로 현재 동사를 제외하고 총 23개의 계열회사가 있음. 맞벌이 등 독신세대의 증가로 간편하고 편리함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니즈에 부합하는 제품의 개발 및 건강을 지향하는 소비 트렌드에 맞춰 신제품을 출시함. 다양한 업소의 요구에 맞게 다품종 소량생산 체계를 구축하여 차별화된 업소 전용제품을 생산 및 납품하는 등 매출 신장에 힘씀.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8% 증가, 영업이익은 33.3% 증가, 당기순이익은 12% 증가. 국민식생활의 서구화에 따라 급성장한 분야로 경제의 발전에 따른 국민소득의 증대는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이어져 편의지향, 맛지향, 건강지향형 수요가 급격히 증가함.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상승하였으며 인건비및복리후생비 및 판관비를 효과적으로 절감하며 영업이익 또한 상승하였음.
+ 주요 제품 - 면제품류 - 양념소스류 - 유지류 - 건조식품류 - 농수산 가공품류
+ 테마 - 종합식품업체로 조미식품 분야에서 국내 1위 | 오뚜기 | 21,077 | 19.39 |
Business Summary[2020/12/15]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외형 확대 동사는 1965년 설립되었으며 1976년 상장하였음. 계열회사의 총수는 동사포함 35개사로, (주)농심홀딩스, 율촌화학(주) 등이 있음. 동사는 국내라면시장에서 주력 제품군의 강력한 브랜드 파워에 힘입어 시장 과반 이상의 높은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음. '앵그리RTA', '농심옥수수면', '칼빔면', '짜파구리큰사발', '신라면건면사발', '신라면블랙사발두부김치'와 같이 소비자 니즈에 부합하는 신제품을 출시함.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9% 증가, 영업이익은 130% 증가, 당기순이익은 129.5% 증가. 스낵시장은 성숙시장이자 경기변동을 크게 받지 않는 시장이지만, 최근 코로나19 및 사회적 거리두기 활동의 영향을 받아 일시적으로 수요가 증가하였음. 프리미엄 브랜드의 집중 육성과 전략 거점 국가의 개척지역 확대 및 현지 인력 활용을 통한 소매시장 공략 등을 통해 꾸준한 매출 성장세를 유지함
+ 주요 제품 - 라면 (74.5%) : 신라면, 안성탕면 외 - 스낵 (16.8%) : 새우깡, 칩포테토, 양파링 외 - 음료 (8.1%) : 백산수, 카프리썬 외 - 기타 (11.8%) : 켈로그, 츄파춥스 외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테마 - 신라면으로 유명한 국내 1위 라면 생산 식품회사 | 농심 | 18,126 | 13.37 |
Business Summary[2020/12/20] 코로나19영향으로 매출 감소 동사는 탄산음료 및 주스 등의 음료 제품 및 소주, 맥주 등의 주류 제품을 보유한 종합음료회사로, 롯데 기업집단에 속해있으며 계열회사는 85개사가 있음. 사업부문은 음료부문과 주류부문으로 구성되며, 주요제품으로는 '처음처럼', '클라우드' 등이 있음. 동사의 제품은 대형할인매장 및 편의점 뿐만아니라 소매점등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판매되며 대리점 채널을 통해서도 운영되고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3% 감소, 영업이익은 18.1% 감소,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전반적인 소비 심리가 위축되어 기업의 고용악화, 자영업 업황의 부진 등 소비를 제약하는 여러 요인이 작용하였음. 음료 부문의 경우 각종 단체 행사의 연기, 취소에 따른 영향이 다소 있었으나, 비대면 소비 증가에 따라 배달 음식 주문 및 온라인 주문이 증가함.
+ 주요 제품 - 탄산음료(27.5%) ▶ 칠성사이다 1.5ℓ 개당 '13년 1591원 → '14년 1705원 → '15년 ~18년3Q 1818원 ▶ 펩시콜라 1.5ℓ 개당 '13년 1348원 → '14년 1439원 → '15년 ~18년3Q 1515원 - 주스(10.4%) ▶ 델몬트 오렌지주스 1.5ℓ 개당 '13년 2456원 → '14년 ~18년3Q 2454원 - 소주, 맥주(31.8%) ▶ 처음처럼 360ml 개당 '13년 946원 → '14년 946원 → '15년 946원 → '16년 ~18년3Q 1007원 - 기타음료: 2%부족할때 등(7.4%) * 괄호 안은 매출비중
+ 테마 - 청량음료 및 주류 등을 생산하는 업체 | 롯데칠성 | 11,174 | -12.77 |
Business Summary[2020/12/16] 매출증가로 꾸준한 외형확대 동사는 조미료 및 식품첨가물 제조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56년 설립되었으며 1970년 상장함. 동사와 연결회사는 식품사업부문, 소재사업부문으로 사업을 구분하고 있으며 연결회사제품의 주요고객은 음식료품 제조업체, 음식료소비자임. 국내 대표적인 종합식품브랜드인 '청정원'을 중심으로 '순창고추장', '햇살담은간장' 등을, '종가집'을 중심으로 김치류 및 두부 등의 신선식품을 생산, 판매함. +, 당기순이익은 52.9% 증가. 최근 코로나 19(COVID-19) 이슈로 외부 활동이 줄어들면서 가정에서 조리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의 수요가 증가함. 국내 B2B 식자재 유통시장의 발전과, 동남아시아 및 미주, 유럽에 걸쳐 전 세계적인 K-FOOD에 대한 높은 관심도로 식품산업 활동 영역이 확대됨.
+ 주요 제품 - 식품부문 (84.5%) : 조미료류, 장류, 해외MSG, 포장봉지 외 - 소재부문 (31.9%) : 전분, 당, 라이신 등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테마 - '청정원' 브랜드를 보유한 종합식품업체 | 대상 | 9,840 | 6.79 |
Business Summary[2020/12/18] 매출 증가하였으나 순이익 감소 동사는 1968년 설립되어 총 23개사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가지고 있으며, 1989년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하였음. 현재 단체급식, 공산품 및 생식품 유통사업, 식재사업, 법인영업 사업, 가구사업, 중장비 제조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동사 및 종속회사는 푸드서비스, 유통, 식재, 법인영업, 여행, 중장비, 가구제조,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사업부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2% 증가, 영업이익은 10.1% 감소, 당기순이익은 15.1% 감소. 전년동기대비 매출액은 소폭 상승하였으나, 기타영업비용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감소하였음. 이자수익은 감소한 한편 이자비용은 반대로 증가하며 당기순이익 감소로 이어짐. 스마트푸드센터의 본격적인 가동을 통해 HMR 및 케어푸드, 그리팅 제품을 집중적으로 생산하여 신사업부문을 본격적으로 육성할 예정임. | 현대그린푸드 | 9,301 | 22.35 |
Business Summary[2020/12/16] 코로나19 영향으로 매출 증가 동사는 1961년 유지공업과 식품도매업을 영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으며, 면류, 스낵류, 유제품, 조미소재류 등을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음. "정직과 신용"을 추구하는 기업으로 60년간 식품산업 외길을 걸어왔으며 1960년대 식량난 극복을 위해 1963년 9월 국내 최초로 ‘삼양라면’을 생산하였음. 미국, 러시아, 유럽을 비롯하여 중국, 동남아, 중동, 중남미 등 세계 각지에 삼양라면, 불닭볶음면 등 다양한 제품들을 수출하고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 증가, 영업이익은 39.3% 증가, 당기순이익은 36.5% 증가. 다양한 신제품 출시와 코로나19 등 사회적 영향으로 인한 판매 증가에 따라 2020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전년동기 매출대비 27.0% 증가하였음. 동사의 주력사업부인 면류사업은 라면의 원조 삼양라면과 화끈하게 매운 불닭볶음면 그리고 간짬뽕, 짜짜로니, 맛있는라면 등이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음.
+ 주요 제품 - 면 (93.2%) - 스낵 (3.7%) - 유제품 (2.3%) - 기타 (2.3%)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테마 - '삼양라면', '불닭볶음면' 등을 만드는 라면회사 | 삼양식품 | 7,473 | 9.8 |
Business Summary[2020/12/21] 코로나19로 국내외 매출 감소 인적분할로 설립되어 2017년 10월 재상장하였으며 식품 제조, 가공, 판매 및 수입 판매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주요 제품으로는 빼빼로, 마가렛트, 꼬깔콘 등이 있으며 껌과 초콜릿 분야에서는 자일리톨, 가나와 같은 브랜드로 시장을 선도. 종속회사인 Lotte Kolson (Private) Limited는 파키스탄 내 제과제조 분야에서 꾸준한 성장을 하고 있으나,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영업 활동에 제약을 받고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 감소, 영업이익은 13% 증가, 당기순이익은 8.7% 감소. 2017년 6월 서울 마곡 R&D산업단지에 기존보다 5배 가량 큰 규모로 롯데중앙연구소를 확장 오픈하여 운영. 미국 PEPSICO.INC와 같은 세계 일류기업과 스낵 기술 도입 계약을 체결하는 등 식품 분야의 품질 향상과 기술 노하우 축적을 위해 노력.
주요 제품 - 초코렛,비스켓 : 빼빼로, 마가렛트 등 (30.5%) - 빙과 : 월드콘, 설레임 등 (35.5%) - 껌, 캔디 : 자이리톨, 애니타임 등(11.8%) * 괄호 안은 3분기 누적 매출 비중
+ 테마 - 건과, 빙과, 제빵 제품 및 건강 기능 식품을 생산하는 식품회사 | 롯데제과 | 7,219 | 21.35 |
Business Summary[2020/12/17] 건강 편의식 중심의 신시장 개발 동사는 2000년 11월 1일 동원산업으로부터 분할하여 설립되었으며 식품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사업부문은 일반식품, 조미유통부문, 사료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11개의 종속회사로 구성되어 있음. 주요 제품으로는 동원참치, 비세프 등이 있음. 리챔, 죽, 샘물, 펫푸드의 4대 전략 사업 집중 육성을 및 마케팅 역량을 집중하려는 목표를 갖고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8% 증가, 영업이익은 14.2% 증가, 당기순이익은 10.3% 증가. 전 사업부문에서 고르게 매출이 증가하여 수익성이 개선됨. 일반식품부문은 식품사업 트렌드 변화에 따라 밀키트, 케어푸드, CMR, 건기식 등 건강 편의식 중심 신시장 개발을 위해 노력 중. 급식사업부문은 키즈 및 요양원 경로를 중점적으로 사업 확장을 준비 중.
+ 주요 제품 - 참치통조림 외 (국내 58%, 12년 2137원/캔 → 13년 2228원 → 14년 2238원 → 15년 1905원 → 16년 1927원 → 17년 2037원 → 18년1Q 2226원 → 18년2Q 2200원 → 18년3Q 2188원/캔) - 소스류 및 유통사업 외 (33.1%, 소스 12년 3807원 → 13년 3838원 → 14년 3949원 → 15년 4165원 → 16년 3942원 → 17년 3377원 → 18년1Q 3548원 → 18년2Q 3587원 → 18년3Q 3567원/KG) - 양돈사료 외 (3.8%)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및 가격 추이
+ 테마 - 국내 참치캔 시장 1위의 종합식품 회사 | 동원F&B | 7,120 | 9.95 |
Business Summary[2020/12/21] 수익성 개선 동사는 식품제조업 등을 주사업 목적으로 1984년 설립되었으며, 2008년 7월 인적분할을 통해 순수지주회사로 출범. 지주회사로서 자회사간의 시너지 효과와 경영효율 극대화를 위한 노력 지속. 풀무원식품, 풀무원푸드앤컬처, 풀무원건강생활, 풀무원녹즙 등 총 31개의 연결 종속회사를 보유. 동사는 경영효율성 제고를 위해 네슬레 워터스로부터 풀무원샘물 지분을 인수할 예정임.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 감소, 영업이익은 56.5% 증가, 당기순이익은 111.2% 증가. 간편식 매출 호조와 원가 절감 노력에 힘입어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였음. 소비자들의 면역력 증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간편한 스틱제형의 홍삼농축액 및 호흡기 면역을 위한 프로폴리스 함유 식물성유산균 제품 등의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음.
풀무원식품, 풀무원푸드앤컬처, 풀무원건강생활, 풀무원녹즙 등 총 31개의 연결 종속회사를 보유.
동사는 경영효율성 제고를 위해 네슬레 워터스로부터 풀무원샘물 지분을 인수할 예정임.
+ 주요 제품 - 식품/식자재부문 (54.9%) - 급식 및 외식부문 (22.6%) - 물류부문 (4%) - 건강생활부문 (4.9%)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테마 - 포장두부, 콩나물, 계란 등이 주력인 국내 대표적 식품업체 풀무원의 지주사 | 풀무원 | 6,728 | 43.58 |
Business Summary[2020/12/18] 신시장 개척을 통한 수익창출 노력 동사는 2011년 삼양홀딩스로부터 인적 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사업부문은 크게 식품부문과 화학부문으로 구성. 식품부문의 주요 제품으로는 설탕, 밀가루, 유지, 전분당 등이 있으며, 화학부문의 주요 제품으로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PET병 용기, 터치패널용 소재 등이 있음. 구매, 생산, 판매 및 사후관리에 이르는 TOTAL 마케팅활동을 강화하여 신규사업 진출 및 신시장 개척을 통하여 다양한 수익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8% 감소, 영업이익은 36.1% 증가, 당기순이익은 75.8% 증가.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은 소폭 감소하였으나, 매출원가 및 판관비 등 비용 감소에 힘입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개선됨. 최근 R&D 디지털화 추진을 위해 RnDB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조직 개편을 통해 연구자원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있음.
+ 주요 제품 - 식품 (53.2%) : 큐원브랜드로 출시되는 설탕, 밀가루 등 - 화학 (46.7%) : 자동차,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엔지니어링(강화) 플라스틱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테마 - 식품(설탕, 밀가루)·화학(엔지니어링 플라스틱)·사료 사업부를 가진 회사 | 삼양사 | 6,724 | 11.39 |
Business Summary[2020/12/21] 영업외비용 영향으로 순이익 전자전환 동사는 1968년 삼립식품공업주식회사로 설립되어 제과 및 식품 판매유통사업을 영위하는 회사로, 1975년 상장됨. 동사의 사업부문은 BAKERY사업부문, FOOD사업부문, 유통사업부문, 기타사업부문 4가지로 구성됨. 동사는 Bakery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한 샌드위치, 냉장 제빵/디저트류 등과 같은 다양한 RTE(Ready to Eat)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2% 증가, 영업이익은 3.1%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으로 인한 여가 시간 확대 및 1인 가구 증가 영향으로 이른바 혼술, 혼밥 문화가 확산되며 간편식품 시장이 주력산업군으로 성장함. 전년동기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은 소폭 상승하였으나, 이자비용이 큰폭으로 증가되고 법인세비용이 상승하며 순이익은 적자전환함.
+ 주요 제품 - 제빵사업 부문 (27.2%) : 빵, 빵가루 샌드위치 등 - 식품소재사업 부분 (24.4%) : 밀가루, 계란 육가공품 등 식품소재 - 식품유통사업 부문 (53%) : 식재료 및 관련 식자재 - 기타사업 부분 (21.7%) : 휴게소, 푸드 및 기타 - 프렌차이즈 사업부분 (2.2%)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테마 - '샤니' 브랜드로 유명한 제빵업체, 파리크라상이 최대주주 | SPC삼립 | 6,394 | -48.59 |
Business Summary[2020/12/16] 높은 시장 점유율로 성장 기대 2017년 5월 매일유업에서 인적분할 되었으며, 낙농품 및 음료 제조판매수출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주요 제품으로는 매일우유, 상하목장 유기농우유, 앱솔루트 명작, 매일바이오, 뼈로가는 칼슘두유 등이 있으며 2020년 9월 말 기준 국내업계 중 최다인 총 17품목의 특수분유를 운영. 백색우유 시장 내 상위 3개업체 중 하나로서, 특히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프리미엄(저온살균, 유기농, 락토프리)과 저지방 시장을 선도. 2020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8% 증가, 영업이익은 14.3% 감소, 당기순이익은 11.1% 감소. 컵커피 바리스타룰스는 런칭 이후 지속성장하여 컵커피 시장 내 시장점유율 40%를 달성하였으며, 2020년 4월 출시한 신제품 디카페인 라떼와 7월 출시한 민트라임 라떼가 브랜드 성장에 기여. 커피전문점과의 co-promotion을 통해 소비자들이 라떼 류를 주문할 때 동사의 '소화가 잘되는 우유' 선택 가능.
+ 주요 제품 - 유가공 식품(83.5%) : 매일우유, 퓨어, 카페라떼 등 - 기타(16.4%) : 페레로, 플로리다 등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테마 - '매일우유', '앱솔루트'로 유명한 분유 및 유음료 제조업체 | 매일유업*(코스닥 종목) | 5,812 | 10.23 |
Business Summary[2020/12/17] 매출 상승 및 실적 개선 동사는 1967년 주식회사 대일양행으로 설립되었으며, 1982년 상호변경하여 1978년 상장함. 우유처리가공 및 동제품 판매업을 주된 영업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종속회사는 식품의 수입, 수출, 유통 등을 주된 영업목적으로 하고 있음. 동사의 냉장품목군 대표브랜드로는 '바나나맛우유'와 '요플레', '아카페라', '따옴' 등이 있으며, 냉동대표 브랜드로는 '끌레도르', '투게더', 요맘때' 등이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8% 증가, 영업이익은 14.3% 증가, 당기순이익은 22.2% 증가. 코로나19로 인해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스낵, 제과, 냉동, 냉장식품들의 수요가 증가하는 영향을 받아 매출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파악됨. 전년동기대비 매출이 증가하며 영업이익 또한 상승하였음. 당기순이익도 안정적으로 상승세를 보임.
+ 주요 제품 - 냉장 품목군 (52.2%) : 우유 및 유음료 외 - 냉동 및 기타품목군 (47.7%) : 아이스크림 및 기타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테마 - '바나나맛 우유', '메로나' 등으로 유명한 유가공 제품 전문업체 | 빙그레 | 5,684 | 11.35 |
Business Summary[2020/12/17] 유형자산 매각으로 순이익 증가 동사는 1958년 설립되어 1973년 상장된 식품회사로, 연결대상 종속회사로는 푸드위드(주) 1개사가 있음. 동사의 주요제품으로는 유지식품, 빙과, 육가공 등이 있으며, 주요상표는 그랜드마아가린, 구구콘, 빠삐코, 로스팜 등이 있음. HMR 사업 확대에 따른 제조역량 강화를 위한 김천공장 시설증설을 진행 중이며, 베이비푸드 시장에진입하여, 이유식 제품을 런칭하여 직접배송 및 리테일 채널을 통하여 판매함.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4% 감소, 영업이익은 7.1% 감소, 당기순이익은 99.1% 증가. 지속되는 경기침체와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소비인구 감소로 식품산업의 성장속도가 다소 둔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전년동기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소폭 감소하였으나, 순이익은 문래 기업형 임대주택(뉴스테이) 매각 등으로 인해 큰 폭으로 증가함.
+ 주요 제품 - 유지식품 (44.2%) : 그랜드마아가린 등 - 빙과 (25.8%) : 구구콘, 빠삐코 등 - 육가공 (29.9%) : 로스팜 등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테마 - 구구콘, 마아가린, 육가공(햄)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롯데계열 식품업체 | 롯데푸드 | 4,035 | 5.44 |
Business Summary[2020/12/16] 매출과 영업이익 대폭 상승 동사는 1933년 8월 9일 설립되었으며 2008년 7월 1일을 기준으로 지주회사체제로 전환하여 2008년 7월 30일 한국거래소에 변경 상장됨. 동사를 포함한 18개의 국내법인과 7개의 해외법인을 포함하여 총 25개의 계열회사가 있으며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계열사는 하이트진로(주)가 있음. 동사의 사업부문은 지주회사, 맥주, 소주, 기타의 영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9% 증가, 영업이익은 179.1%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하이트제로’는 2020년 1월부터 9월까지 누적 판매량 791만 캔을 돌파하며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했고, 특히 9월 성장률은 전년 동월 대비 71% 증가함. 코로나19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과 외식 경기가 위축되면서 유흥용 주류 판매가 줄어 들었음.
+ 주요 제품 [주요 자회사 현황] - 하이트진로(37.2%): 맥주, 소주제조 - 진로소주(56.1%) * 괄호 안은 매출 비율
+ 테마 - 국내 최대 주류업체 하이트진로의 지주사 | 하이트진로홀딩스 | 3,701 | 9.23 |
Business Summary[2020/12/18] 비용절감으로 실적 증대 당사는 1953년 설립되어 제분업 및 소맥분 판매업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당사를 제외하고 12개의 계열회사를 가지고 있음. 주요 제품영역으로 대표 브랜드인 '곰표' 밀가루와 튀김ㆍ 부침가루 등의 프리믹스 제품, 국수,파스타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산 판매함. 동사의 사업부문은 소맥분 식품부문, 사료부문, 하역 및 보관매출부문, 반려동물사업부문, 식음료부문으로 구성됨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4% 증가, 영업이익은 17.5% 증가, 당기순이익은 59.9% 증가.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거리두기 정책과 지속적인 국내 경기침체 및 소비둔화 영향 및 동종 업체간 치열한 경쟁 등의 영업환경 영향받음. 지속적인 생산 효율 제고, 연구개발을 통한 제품 경쟁력 확보, 영업 채널의 확대 및 탄력적인 영업전략 운용, 고객 판촉 강화 등 실적 개선 노력하여 실적 개선됨.
+ 주요 제품 - 소맥분 외 (100%) : 곰표 (15년 59만8151원 → 16년 55만3221원 → 17년 50만3467원 → 18년1Q 51만2607원/톤) *괄호 안은 가격 추이
+ 테마 - '곰표' 브랜드로 유명한 밀가루 회사 | 대한제분 | 2,518 | 9.32 |
Business Summary[2020/12/18] 글로벌 시장 공략으로 성장 기대 동사는 2016년 7월 1일 샘표 주식회사로부터 인적분할 되어 식품 제조, 가공 및 판매를 담당하는 식품사업부문을 영위. 간장, 된장, 고추장 등 전통 장류부터 요리에센스 연두, 프리미엄 서양식 폰타나, 원물간식 질러 등 다양한 음식료를 제조, 판매. '폰타나(fontana)'라는 독립 브랜드를 도입하여 엄선한 원료로 세계 각국의 정통 요리법을 구현, 브랜드 인지도 확대를 통한 매출 증가 추세.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6% 증가, 영업이익은 59.2% 증가, 당기순이익은 48.1% 증가. '샘표'는 국내 최장수 브랜드로 수십년간 간장시장에서 절반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 2017년부터 '우리아이 순한간장', '계란이 맛있어지는 간장' 등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며 시장 지위를 더욱 확고히 함. 미국 시장에 Vegetable Essence Yondu를 공식 런칭하면서 글로벌 시장을 적극 공략.
+ 주요 제품 - 장류 (57.8%) : 진간장, 양조간장 등 ▶ 간장 가격 변동 추이 : 11년 4800원 → 12년 4800원 → 13년~16년 5200원 → 17년 5500원 → 18년1Q~3Q 5500원 - 장류 외 (42.2%) : 요리에센스, 음용식초, 보리차, 반찬류 등 ▶ 발효흑초음료 가격 변동 추이 : 11년 9800원 → 12년 9800원 → 13년~18년3Q 1만300원)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테마 - '샘표간장'과 '연두'로 유명한 장류, 음용식초 등 음식료 제조업체 | 샘표식품 | 2,430 | 6.4 |
Business Summary[2020/12/21] 코로나19 여파에도 개선된 실적 동사는 제과전문그룹 크라운해태홀딩스에 소속된 계열회사로 식품 제조, 가공, 판매 및 수입 판매하는 종합제과기업임. 과자, 냉동식품 등을 생산하며 전국적 영업조직망을 통해 다양한 유통경로로 최종소비자들에게 양질의 제품을 공급하고 해외시장 개척을 통해 글로벌식품회사로 성장중임. 동사는 지속적인 구매프로세스의 개선, 효율적인 판매조직 체계 구축 등을 통하여 비용의 효과성 및 생산성 제고를 위한 노력에 전력을 다하고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8% 증가, 영업이익은 23.4% 증가, 당기순이익은 663.2% 증가. 매출 및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비슷한 흐름을 보였으나, 증단영업분기순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함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큰 폭으로 증가함. 코로나19로 인해 주요 기업들의 재택근무 기간이 길어지면서 제과관련 제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 이로 인해 실적이 개선되는 효과를 보임.
+ 주요 제품 - 제품 (64.7%) : 홈런볼, 오예스 등 - 상품 (34.1%) : 자가비, 고향만두 등 - 용역매출 (1.2%)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테마 - 허니버터칩, 홈런볼, 부라보콘을 생산하는 제과업체 | 해태제과식품 | 2,370 | -16.41 |
Business Summary[2020/12/20]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동사는 1964년 설립되어 분유, 시유, 발효유, 치즈 등 유가공제품 및 카페믹스, 음료제품 등을 생산 판매하는 회사로, 1978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함. 동사의 영업 사업부문은 생산하는 제품의 형태에 따라 우유류, 분유류, 기타로 분류됨. 주요제품 및 사업내용으로는 맛있는우유GT, 아인슈타인GT, XO World Class, 몸이가벼워지는시간17차, 앳홈 주스, 드빈치치즈, 건강한사람들(음료생산 및 OEM)) 등이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3%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소폭 감소하였지만 영업비용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대폭 감소하여 적자전환함. 이에따라 당기순이익도 큰 폭으로 감소하여 적자전환. 코로나19 확산의 여파로 우유소비가 위축된 것과, 출생아수 정체 및 모유수유율의 증가로 전체 국내 분유류의 판매수량 규모가 줄어든 것이 매출감소 원인으로 분석됨.
+ 주요 제품 - 우유류 (53%) : 맛있는우유GT 등 - 분유류 (21.4%) : XO World Class 등 - 기타 (25.6%) : 몸이가벼워지는시간17차 등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테마 - 조제분유, 유가공제품 시장점유율 1, 2위 기업 | 남양유업 | 2,178 | -9.27 |
Business Summary[2020/12/16] 비용절감으로 실적개선 동사는 1956년 설립되어 1968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됨.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주)TS개발, 공주개발(주) 등 13개사가 있음. 동사 및 연결대상 종속회사에 포함된 회사들이 영위하는 사업으로는 식품부문, 사료부문, 축산유통부문, 기타부문이 있음. 40년이상의 사료제조 노하우와 축산선진국과의 기술제휴(네델란드, 프랑스, 영국 등 유명 사료업체)를 통해 고품질의 사료를 생산, 공급하고자 기술력을 발전시킴.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6% 증가, 영업이익은 34.3% 증가, 당기순이익은 94% 증가. 코로나의 재확산으로 인한 내수/서비스 부문의 회복 및 경제활동 재개가 지연, 정체되어 대외수요 약화에 따른 수출부문 타격으로 어려움을 겪음. 영업비용 절감으로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상승하였음. 법인세비용은 증가하였으나 재무비용을 절감하며 당기순이익은 큰 폭으로 상승하였음.
+ 주요 제품 - 식품 (45.8%) : 설탕 외 - 사료 (22.3%) - 축산유통 (26.6%) - 기타 서비스 등 (5.3%)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테마 - 제당 및 사료 제조업체 | 대한제당 | 1,875 | 9.37 |
Business Summary[2020/12/21] 지속적인 매출 증대 2013년 1월 설립되었으며, B2C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이용하여 간편건강식품의 유통과 생산을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는 푸드테크 기업. 웰니스 기반의 피트니스와 미디어 콘텐츠 사업으로 사업부문을 확장, 신규사업으로 간편건강식품 및 HMR 제품군 확대, 헬스&피트니스 용품 전문 플랫폼 '개근질마트' 런칭. 동사의 주력 브랜드인 '맛있닭'은 2020년 9월말 기준 1억 8백만 팩 판매량을 돌파하며 업계 단일 브랜드 최고 판매량 기록.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0.6% 증가, 영업이익은 45% 증가, 당기순이익은 34% 증가. 닭가슴살을 주재료로 다양한 제품을 지속 개발 중이며 동사만의 가공기술을 도입한 소프트, 수비드 닭가슴살 출시함. 동사의 자사 플랫폼은 2020년 9월말 기준 약 136만명의 회원을 통하여 높은 재구매율을 보이고 있으며, 매출의 높은 비중을 견인하고 있음.
+ 주요 제품 - 맛있닭(55.3%) - 신선애(9.4%) - 러브잇(10.3%) - 기타(19.3%) - 상품수수료(5.0%) * 괄호 안은 2018년 상반기 기준 매출 비중
+ 테마 - '맛있닭', '러브잇' 등 브랜드를 보유한 간편건강식 판매 기업 | 푸드나무*(코스닥 종목) | 1,620 | 28.47 |
Business Summary[2020/12/15] 매출 감소했으나 순이익 상승 배합사료 제조 및 판매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72년년 설립되었으며, 1989년 상장하였음. 동사는 원맥을 수입 ·가공하여 판매하는 제분사업부문과 가축 및 양식어류의 사료를 제조 ·판매하는 생물자원사업부문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사조그룹' 기업집단에 속하며 2020년 동사를 제외한 29개의 계열회사를 가지고 있음. 주권상장법인은 4개 회사이고, 나머지 20개 회사는 비상장회사, 5개 회사는 해외법인임.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5% 감소, 영업이익은 26.6%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경영효율성 증대 및 시너지효과를 극대화 하고자 2017년 기존 최대주주인 한국제분 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하여 제분사업부문을 통합하였음.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나, 판관비와 매출원가 등의 영업비용을 절감하며 영업이익 상승세로 이어짐.
+ 주요 제품 - 제분부문 : 제품 (59.9%), 상품 (3%) - 생물자원부문 : 제품 (28.9%), 상품 (4%) - 기타사업 : 양곡 (4%), 양돈 (5.1%) 등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테마 - 원맥을 가공하는 제분사업과 가축·어류용 사료제조가 주요 사업 | 사조동아원 | 1,454 | 19.43 |
Business Summary[2020/12/21] 해외 신규시장 개척에 집중 동사는 주류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83년 ㈜배한산업으로 설립되었으며, 1992년 ㈜국순당으로 상호를 변경함. 동사는 엄선된 원료와 우수한 발효기술을 바탕으로, 주류 제조 및 판매를 주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백세주마을'을 통하여 프랜차이즈사업도 영위함. 동사는 '백세주마을'이라는 직영 음식점을 통하여 우리 전통술 및 다양한 안주를 소비자에게 판매하고 있으며, 전국에 2개의 직영매장을 운영중임.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 감소,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사는 1000억 유산균 막걸리를 비롯한 프리미엄 막걸리의 시장확대를 통해 매출 향상을 통한 수익성 개선을 이룩하도록 전사의 모든 역량 집중 중임. "최고의 전통을 세계로"란 슬로건 아래 백세주는 수출시장 개발에 주력하고 미국, 중국을 중심으로 수출을 하고 있으며, 유럽, 동남아시아 등을 신규 시장으로 개척 중임.
+ 주요 제품 - 막걸리 (37.9%) : 국순당생막걸리, 우국생, 국순당쌀막걸리 등 ▶ 우국생 750ml 병당 14년~16년 914원 → 17년~18년3Q 1056원 - 백세주 (19.9%) : 백세주, 백세주담, 자양백세주 ▶ 백세주 375ml 병당 13년~18년3Q 1808원 - 예담 (8%) : 국순당예담차례주 등 - 담금세상 (0.6%) - 바나나에 반하나 외 (4.7%)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테마 - 백세주, 막걸리로 유명한 전통주 제조업체 | 국순당*(코스닥 종목) | 1,298 | 23.3 |
Business Summary[2020/12/21] 영업이익 적자전환 동사는 2009년 10월 설립되었으며, 오리사업(신선, 육가공)과 우모사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오리사업에서는 신선 분야의 통오리, 완포, 슬라이스와 육가공 분야의 훈제, 기타 육가공품(떡갈비 등)을 생산하고 있음. 동사는 오리의 생산 및 판매 전 과정을 통제할 수 있는 계열화업체로, 가격급등락의 위험 회피와 수급 탄력성 확보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경쟁력이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2%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도압 분야에서는 동사의 2020년 3분기 오리 도축 수가 10,906천건으로 18.7%의 점유율을 보이며, 이는 업계 2위 수준임. 지난 겨울 온화한 기후의 영향으로 오리털 의류 등의 생산감소와 코로나19로 인한 일시적인 수요 감소가 있었으며, 매출액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임.
+ 주요 제품 - 신선통오리, 정육 (46.6%) - 허브를 담은 정다운 훈제오리 (16.1%) - 우모 (10.4%) - 신선 슬라이스 (4.7%) - 기타 훈제오리 (10.2%)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테마 - 오리사육을 통한 도축, 가공, 우모 수출 등 Cold ▶Chain System을 운영하는 오리계열화 기업 | 정다운*(코스닥 종목) | 1,202 | -73.9 |
Business Summary[2020/12/18] 기능성 신제품 출시 노력 2017년 인적 분할로 설립되어 분할 전 회사인 크라운제과홀딩스가 영위하던 사업 중 식품제조 및 판매를 담당하는 식품사업부문을 담당하고 있음. 주요 4대 제과업체로서 높은 시장점유율을 보이며, 주요 제품으로는 초코하임, 쿠크다스, 뽀또, 미니쉘, 빅파이 등이 있음. 서울에 위치한 본사를 포함하여 국내에 총 3개의 생산공장(대전, 진천, 아산)과 각 시·군의 물류창고 등에서 사업활동을 수행함.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0.3% 감소, 영업이익은 1.2% 감소, 당기순이익은 12.5% 증가. 대형 할인점 및 CVS에 대한 매출의존도 증가와 글로벌 브랜드의 시장 진입, 업체간 경쟁 심화에 따른 판매비의 증가 등으로 영업환경이 악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신규 사업은 없음. 지속적인 경기침체 및 소비위축 상황에서 소비 트렌드에 맞춘 기능성 신제품 출시 및 제품개발 등의 노력을 지속하고 있음.
+ 주요 제품 - 과자류 제품 (90.2%) : 하임, 미니쉘, 마이쮸 등 - 과자류 상품 (18.1%) - 용역 (3.2%) * 괄호 안은 매출 유형
+ 테마 - 과자, 제빵 전문의 국내 상위권 제과업체 | 크라운제과 | 1,172 | 6.05 |
Business Summary[2020/12/16] 순이익 감소 2015년 인적분할로 설립되어 파스타, 올리브오일, 토마토소스 등 가공식품을 수입하여 유통하는 식자재 수입 유통 전문기업. 이탈리아, 스페인 등의 40여개 가공식품 제조사로부터 300여 가지의 식자재들과 식료품들을 수입, CJ 프레시웨이, 신세계푸드 등 국내 총 1,400여개 업체에 공급. 이태리 식자재 분야의 선두주자로서 다년간 축적된 레시피 등을 바탕으로 신규사업인 HMR 식품 사업을 추진, 2019년 2월 신제품 출시.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6% 증가, 영업이익은 2.3% 감소, 당기순이익은 50.9% 감소. 이태리 3대 파스타 제조기업인 데체코와의 독점 파트너쉽을 바탕으로 호텔, 레스토랑 등에 이태리 식자재를 공급, 이태리 식자재를 사용하는 1,000여개 업체 등에 대한 직접적인 네트워크 보유. 주요 고객의 매입 품목 중 수입 가공식품의 비중은 10% 미만으로 신선식품으로의 품목 확대를 통한 매출 증대 계획.
+ 주요 제품 - 유가공품(30.2%) - 소스류(20.7%) - 파스타(14.2%) - 절임류(9%) * 괄호 안은 매출비중
+ 테마 - 이태리 식자재 전문 수입 유통업체 | 보라티알*(코스닥 종목) | 1,100 | 51.42 |
Business Summary[2020/12/15] 원가율 상승에 따른 영업이익 감소 동사는 식품첨가물 공급을 위해 1974년에 설립되어 식품부문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과감한 설비투자를 통해 식품소재 전 부문에 대량생산이 가능한 식품 및 식품첨가물 신소재 전문회사임. 2017년 12월부터 직전년도 매출액 100억원 이상인 영업소가 제조, 가공하는 모든 식품에 대해 HACCP 의무화를 전면 시행함. 계열회사인 젠푸드는 2008년 8월 GMP 적용업소로 지정됨.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4% 감소, 영업이익은 8.8% 감소, 당기순이익은 3.8% 감소. 매출 감소와 매출원가의 상승으로 인해 영업이익이 감소하였음. 이자비용, 법인세비용의 감소로 당기순이익은 소폭 감소함. 동사는 의약품, 생활용품 등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한 신소재와 나노소재, 천연소재를 주원료로 한 천연색소, 천연향료 등의 연구개발에 주력하고 있음.
+ 주요 제품 - 조미식품가공 외 (42.2%) : 식품가공풍미제 (조미액 14년 1373원 → 15년 1362원 → 16년 1364원 → 17년 1405원 → 18년1Q 1732원 → 18년2Q 1760원 → 18년3Q 17633원) - 가라기난 등 (33.3%) : 소세지 등 겔화제 - 천연식용색소 (11.9%) : 칼라믹스CB - PET 제품류 (11.5%)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및 가격 추이
+ 테마 - 조미식품, 수산연제품, 식품첨가물 제조기업 | 엠에스씨*(코스닥 종목) | 905 | 7.91 |
Business Summary[2020/12/15] 매출 감소 및 수익성 악화 동사는 1968년 설립되었으며, 현재 음식료품의 제조 및 도소매, 수출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1993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동사는 음식료품 제조회사로서 주요 제품군은 시럽제품군, 음료제품군, 밤제품 군등이 있으며, 시장점유율은 깐밤(수출) 약 20%, 딸기시럽류는 약 30%를 점유함. 계열회사는 총 2개사이며, 그 중 하나인 청도푸드웰식품유한공사는 농,임산물 생산가공 및 판매를 주 사업목적으로 2003년 설립되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1% 감소, 영업이익은 35.7% 감소, 당기순이익은 90.7% 감소. 국내시장의 경우 주로 중간제품과 OEM 및 임가공 제품을 생산하기 때문에 납품업체의 매출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해외시장은 일본 수출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일본경기에도 민감함. 전년동기대비 매출액은 소폭 감소하였으나, 판매비와 인건비는 증가하며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은 큰폭으로 감소.
+ 주요 제품 - 잼·시럽 (36.3%) - 만두류 (24.4%) - 음료제품(19.2%) - 통조림 (4.5%) - 기타제품 (15.6%)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테마 - 딸기시럽, 깐밤 등 농·임산물 가공업체 | 푸드웰*(코스닥 종목) | 738 | 29.88 |
Business Summary[2020/12/18] 유기농 제품으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 기능성 식품소재 기업으로서 기능성 당 및 펩타이드 제품 제조/식품첨가물 등의 상품 유통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 고순도의 액상 및 파우더 제형의 갈락토올리고당(GOS)과 유기농 갈락토올리고당, 기능성 펩타이드 등을 제조. 기존의 일반적인 공정 외에 추가적인 발효(fermentation)공정을 통해서 포도당의 함량을 최대한 낮추는 제조공정을 개발하여 동사의 제품은 기존의 일반 제품 대비 고순도 제품으로 70% 수준의 순도를 보유.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2.4% 증가, 영업이익은 131.6% 증가, 당기순이익은 2% 증가. 면역강화 맞춤형 프리바이오틱스 제제 개발, 염증성 장 질환 치료보조제 개발 등 중장기적으로 의약품시장으로의 확장을 도모하고 있음. HACCP, GRAS, HALAL, 유기농 등의 인증을 확보하여 글로벌 기능성 식품시장 경쟁에도 유리한 요건을 선점하였으며 2020년 OEM, ODM 사업의 매출 증대 기대. | 네오크레마*(코스닥 종목) | 651 | 62.68 |
Business Summary[2020/12/21] 비용절감으로 수익성 상승 동사는 1970년 11월에 설립된 지주회사로, 2013년 상장됨.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7개사이며, 신송식품(주), 신송산업(주), Singsong (HK) Ltd, Singsong Industrial (Cambodia) CO.,Ltd. 등이 있음. 연결대상 주요 종속회사들은 장류 제조 및 임대업(신송식품), 전분 판매 및 임대업(신송산업), 기타무역업(Singsong (H.K) Ltd.) 을 영위하고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7% 감소,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감소했지만, 매출원가와 판매비와관리비 등을 절감하며 영업이익은 큰폭으로 상승, 흑자전환 하였음. 장류 시장은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향후 저염식 트렌드와 천연재료 사용에 대한 수요 증가에 맞춘 제품 출시 및 마케팅이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예상됨.
+ 주요 제품 - 식품: 고추장, 대용식 외(24.1%) - 곡물 유통: 쌀 외(72.7%) *괄호 안은 매출 비중, 연결재무제표 기준
+ 테마 - 장류 제조사 신송식품, 소맥전분 제조회사 신송산업을 100% 자회사로 둔 지주회사 | 신송홀딩스 | 483 | -1.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