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개요
|
종목명
|
시가
|
시가총액
|
주당순이익
|
PER
|
Business Summary[2020/12/20] 석유화학부문 수익성 유지중 석유화학 사업부문, 전지 사업부문, 첨단소재 사업부문, 생명과학 사업부문, 공통 및 기타부문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첨단소재 사업부문에서 양극재, 자동차소재, IT소재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부가 제품을 중심으로 한 포트폴리오 전환을 추진 중. 현재 다양한 Global Network를 보유하고 있는 Open Network회사, 국내외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진행하고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2% 증가, 영업이익은 95.6% 증가, 당기순이익은 134.1% 증가. 20년 당기에 유리기판 사업 중단 및 LCD 편광판 사업 매각을 결정하였으며, 첨단소재 사업부문의 일부 사업을 공통 및 기타부문으로 재분류함.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 원가 경쟁력 강화, 고객 및 거래선 다변화 등을 통해 경기 변동에 따른 사업 Risk를 최소화하고 사업의 Fundamental을 강화함.
|
LG화학
|
802,000
|
565,445
|
10,703
|
74.84
|
Business Summary[2020/12/21] 시황 개선에 따른 영업흑자 동사는 1976년 석유화학제품의 제조ㆍ판매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되어 여수, 대산 및 울산 석유화학단지 내에 공장을 두고 있음. 올레핀 계열 및 방향족 계열의 석유화학 제품군을 연구, 개발, 제조 판매하며, 각국에 판매법인과 해외지사를 설립하고 전 세계 다양한 국가로 제품을 수출하고 있음. 2020년 1월 롯데첨단소재를 흡수합병하였으며 울산IPA 증설, HDO 합작 신규사업 등 각 공장의 증설에 투자를 진행 중임.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2% 감소, 영업이익은 85.4% 감소, 당기순이익은 87.8% 감소.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시황 약세로 매출액이 감소하였음. 2020년 3분기부터 시장수요가 회복되고 Downstream 시황이 개선되면서 영업흑자를 기록함. 동사는 울산PIA 증설, 롯데첨단소재 합병 등을 통해 고부가 스페셜티 제품으로 포트폴리오를 확대 중임.
|
롯데케미칼
|
273,000
|
93,401
|
3,383
|
80.55
|
Business Summary[2020/12/21] 원가 하락에 따른 수익성 개선 동사는 1965년 8월 설립된 한국화성공업을 전신으로 하여 1974년 4월 한양화학지주(주)를 설립하였으며 1974년 6월 한국거래소에 상장됨. 2020년 1월 사명을 변경하였음. 가성소다, PVC, LLDPE 등의 합성수지 및 기타 석유화학제품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경영효율성 제고 및 사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한화갤러리아를 흡수합병할 예정임.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5% 감소, 영업이익은 28.3% 증가, 당기순이익은 57.1% 증가. 매출액이 감소하였으나 주요 원재료인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단가가 인하되어 영업이익이 증가하였음. 태양광 부문은 신재생에너지로 급성장하고 있으며, 정부 주도의 그린뉴딜 핵심 분야이기도 함. 이에 따른 태양광 소재 /신기술 연구개발과 외형 성장이 기대됨.
|
한화솔루션
|
46,000
|
72,499
|
-562
|
-80.69
|
Business Summary[2020/12/21] 꾸준한 성장세이나 수익성 관리 필요 동사는 내화물의 시공 및 보수, 각종 공업로의 설계, 제작 및 판매, 석회제품 등의 제조 및 판매 등을 목적으로 1971년 설립. 1994년에 염기성내화물의 제조와 판매 등의 사업을 주목적으로 설립된 삼화화성을 흡수합병함. 기업집단 포스코 그룹의 계열사로 기업집단에 소속된 회사는 총 34개임. 국내 내화물 시장에서 약 22%(2018년 기준)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 증가, 영업이익은 40.8% 감소, 당기순이익은 84.1% 감소. 주력부문에서 꾸준한 외형 성장세를 기록하였으나, 원가율 상승 및 판관비 급증 영향으로 수익성은 비교적 크게 하락한 모습. 포스코, OCI 등 대형 거래선을 기반으로 한 안정적 수주를 바탕으로 향후 꾸준한 성장세 계속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포스코케미칼
|
102,500
|
61,903
|
440
|
230.68
|
Business Summary[2020/12/16] 독감 백신으로 호실적 2017년 12월 에스케이디스커버리주식회사가 영위하는 사업 중 Green Chemicals 및 Life Science 사업부문을 분할하여 설립되었으며 2019년 12월 이니츠 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함. 동사는 Green Chemicals와 Life Science의 양 분야로 사업구조를 집중함. SK바이오사이언스는 '스카이셀플루'와 '스카이셀플루4가'의 WHO PQ 인증을 획득, 세포배양 독감백신으로서는 최초로 국제입찰 시장에 참여함.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3% 증가, 영업이익은 169.1% 증가, 당기순이익은 3108.3% 증가. 양대 성장축인 코폴리에스터와 바이오사이언스의 호실적으로 분기 사상 최대 실적 달성함. 자회사인 SK바이오사이언스가 3분기에 반영된 독감 백신이 4분기에도 이어지며 추가로 백신 CMO 매출 반영이 시작되기 때문에 호실적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됨.
|
SK케미칼
|
373,500
|
43,737
|
21,916
|
17
|
Business Summary[2020/12/21] 수요 회복과 스프레드 개선 동사는 1976년 12월 10일에 설립되었으며, 1988년 1월 22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주식을 상장함. 합성고무, 합성수지, 정밀화학, 전자소재, 건자재, 에너지, 페놀유도체, 항만운영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합성고무산업은 천연고무와 유사한 성상을 지니는 합성고무상 물질 또는 고무상 탄성체가 될 수 있는 가소성 물질인 합성고무를 이용하여 타이어, 신발 등의 주원료를 생산하는 사업임.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 감소, 영업이익은 33.4% 증가, 당기순이익은 35% 증가. 주요 수요처들의 가동률이 회복됨에 따라 판매량은 회복세를 보임. 다만 제품 판매단가 하락으로 매출액은 소폭 감소함. 주요 사업부문의 견조한 수요와 스프레드 개선으로 영업이익이 개선됨. 코로나19 확산 이후 의료·위생용 장갑 수요가 늘어나면서 NB라텍스 수출이 증가함. 동사는 글로벌 NB라텍스 시장에서 점유율 1위임.
|
금호석유
|
137,000
|
41,131
|
11,687
|
11.55
|
Business Summary[2020/12/17] 전 사업부문 호조 1976년 설립된 소재전문기업으로 현재 모빌리티, 반도체, 친환경 분야 고부가가치 소재를 생산하고 있음. 2차전지 음극집전체에 사용되는 동박 등을 생산하는 모빌리티 소재사업, 반도체 공정 소재를 생산하는 반도체 소재사업. PET필름을 생산하는 Industry소재사업, 폴리우레탄의 원료인 PO 등을 생산하는 화학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주요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SK넥실리스, SK피아이씨글로벌 등이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6% 증가, 영업이익은 17% 증가, 당기순이익은 46% 증가. 모빌리티부문의 동박사업을 중심으로 매출액이 증가하였음. 매각예정자산처분이익의 발생으로 당기순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함. 2020년 10월 16일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지분을 매각하였음. 매각을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모빌리티, 반도체 등 미래성장동력 중심으로 투자를 집중할 계획임.
|
SKC
|
86,500
|
32,242
|
2,253
|
38.13
|
Business Summary[2020/12/21] 수요 증가에 따른 매출 확대 동사는 1980년 3월 13일 설립되어 1989년 5월 20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함. 동사의 주요 사업내용은 라텍스, 과산화수소, PAM, 차아황산소다, 전자재료, Precursor, 기타 화공약품 등의 판매임. 정밀화학 산업은 각종 첨가제, 제지약품, 수처리제, 염료, 도료, 안료, 반도체약품, 계면활성제, 접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을 생산하는 공업을 포괄하는 화학산업으로 가공형 산업의 특징을 지니고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 증가, 영업이익은 36.5% 증가, 당기순이익은 42.5% 증가. 전방산업 수요 증가로 과산화수소를 중심으로 매출액이 증가함. 제품 단가 인상과 원재료 가격 하락에 따른 원가율 개선으로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개선됨. 전자재료 사업에서 2차전지 성능 향상을 위한 신소재 수요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음. 또한 반도체 공정기술 변화에 따라 프리커서의 수요는 계속 성장할 전망임.
|
한솔케미칼
|
166,000
|
18,524
|
10,393
|
15.78
|
Business Summary[2020/12/21] 부진하나 산업성장성에 기대 1970년 설립되어 에틸렌 등 올레핀류 및 기초유분제품, EO/EG 등을 생산하며, 울산공장에서 합성수지 원료로 주로 사용하고 일부는 판매하고 있음. 울산, 온산의 석유화학공업단지에 수직 계열화된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어 에틸렌, 프로필렌 시황 변화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원료를 공급받을 수 있음. 2개의 공장은 HDPE와 PP를 서로 선택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이어서 합성수지 시황에 따른 탄력적운영으로 이익 극대화가 가능함.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1% 감소, 영업이익은 12% 감소, 당기순이익은 18.3% 감소. 온산공장에서 생산되는 기초유분 및 MC4 등의 매출 감소로 기대 이하의 외형 기록하였으며, 원가율 또한 상승하여 수익성은 하락한 상황. 미국 및 중국 등의 대규모 투자로 공급 증가 우려되나, 산업의 성장성이 이를 일정부분 상쇄할 것으로 기대. 다만, 급격한 실적 증가세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전망.
|
대한유화
|
227,000
|
14,755
|
13,661
|
16.62
|
Business Summary[2020/12/18] 매출 감소에 따른 수익성 악화 동사는 효성이 영위하는 사업 중 화학사업 부문이 인적분할하여 신설되었음. 폴리프로필렌 수지, 고순도 테레프탈산을 비롯하여 나이론·폴리에스터 필름, TAC 필름, NF3 가스, 친환경 고분자 신소재 폴리케톤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음. 원가경쟁력 확보를 위해 프로필렌 자급 체제 구축을 완료하여 수익 개선을 위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전자소재 및 필름부문은 차별화 제품 개발과 수출 확대로 사업을 강화하고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9% 감소, 영업이익은 68.5%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2020년 1~9월 지배회사의 주요 매출처는 효성티앤씨㈜(7.56%), GUANGZHOU HONSEA CHEMISTRY CO(4.95%) 등이 있음. 2020년 2분기부터 상업 생산을 개시하여 내수시장의 경우 우선 베트남 남부지역 시장을 공략하고 향후 중북부 지역까지 시장을 확대할 예정임
|
효성화학
|
165,500
|
5,407
|
1,097
|
154.51
|
Business Summary[2020/12/21] 외형축소불구 수익성 개선 동사는 1967년 설립되어 기능성필름(이형필름, 점착필름, 인슐레이션필름)과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 토너, 토너용 자성체 등을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2010년에 GS그룹에 인수되어 법률상 GS그룹에 속한 계열회사이었으나,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3조의2 제1항에 의거 2015년 7월 22일자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GS`에서 분리됨. 삼성전기, 삼성SDI 등의 메이저브랜드들이 최대 매출처임.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6% 감소,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매출 대부분이 수출에서 발생하는 사업구조임. 주력제품인 토너 및 LCO의 수출 부진으로 저조한 실적을 시현함. 반면, 원가율 하락 및 판관비 비중 감소하여 수익성 크게 상승한 모습. 복합기 기종 토너개발 및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
|
코스모신소재
|
16,050
|
4,826
|
76
|
21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