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 Summary[2020/12/18] 전 사업부 순항 동사는 1977년 08월 20일에 설립되었으며 1988년 10월 28일 유가증권시장에 신규상장됨. 기업용 소프트웨어를 개발 및 판매하는 사업 영위하며 ERP, D-클라우드 서비스, 전자금융서비스(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및 결제), 모바일 솔루션, 보안, 그룹웨어 등 을 제공하고 있음. 소프트웨어는 제조, 금융, 서비스 등 모든 산업에서 도입 및 활용이 가능하며 소프트웨어 도입을 통해 서비스의 경쟁력의 강화가 가능함.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3% 증가, 영업이익은 17.7% 증가, 당기순이익은 0% 증가. 비대면 산업 성장 등에 따라 ERP, 그룹웨어 등 핵심 사업부를 중심으로 고르게 매출이 성장하였음. 고정비 부담 완화로 영업이익은 증가세를 나타냄. 동사는 4분기부터 디지털 뉴딜 정책의 일환인 비대면 서비스 바우처 지원사업에 맞춰 '홈피스 올인원 팩'을 출시함으로써 매출 증대가 전망됨.
Business Summary[2021/04/23] 영업이익 증가 2020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7% 증가, 영업이익은 14.9% 증가, 당기순이익은 12.3% 증가. 비대면 산업 성장 등에 따라 ERP, 그룹웨어 등 핵심 사업부를 중심으로 고르게 매출이 성장하였음. 고정비 부담 완화로 영업이익은 증가세를 나타냄. 동사는 4분기부터 디지털 뉴딜 정책의 일환인 비대면 서비스 바우처 지원사업에 맞춰 '홈피스 올인원 팩'을 출시함으로써 매출 증대가 기대됨.
Business Summary[2021/07/01] 매출액, 영업이익 증가 동사는 1977년 08월 20일에 설립되었으며 1988년 10월 28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됨. 기업용 소프트웨어를 개발 및 판매하는 사업 영위하며 ERP, D-클라우드 서비스, 전자금융서비스(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및 결제), 모바일 솔루션, 보안, 그룹웨어 등 을 제공하고 있음. 소프트웨어는 제조, 금융, 서비스 등 모든 산업에서 도입 및 활용이 가능하며 소프트웨어 도입을 통해 서비스의 경쟁력의 강화가 가능함. 2021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5% 증가, 영업이익은 7.4% 증가, 당기순이익은 2.9% 감소. 매출액이 증가하며 원가부담이 커졌으나 판관비 절감에 성공, 영업이익 증가율도 매출액 증가율과 유사한 수준으로 성장나타남. 향후 4~5년에 걸쳐 클라우드 관련 서비스 개발자 커뮤니티가 3배로 증가하고 새로운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 수도 10배 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클라우드 컴퓨팅 국내 세무회계용 ERP(전사적자원관리) 분야 1위 기업. 클라우드 기술이 결합된 ERP 개발로 성장동력 확보 중.
고ROE 기업 정보화 솔루션의 자체 개발과 마케팅 및 서비스 회계프로그램(ERP) 등 기업용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로 최근 5년(2015년 ~ 2019년) ROE 17.2 → 19.8 → 23.5 → 23.4 → 18.8
더존비즈온 하반기 아마란스10과 테크핀 서비스 기대 IBK투자증권|2021.08.02|조회 3271
2분기 실적 컨센서스 하회 더존비즈온은 2분기 매출액 806억원(YoY +10.2%, QoQ +6.4%), 영업이익 204억원 (YoY +16.2%, QoQ +16.5%)를 기록하여 컨센서스를 하회함. 매출 비중이 높은 ERP 사업과 클라우드 사업이 전년 대비 각각 +3.2%, +60.6% 증가함. WEHAGO 매출이 전년 대비 약 8배 증가한 반면 Lite ERP 매출이 -25.1% 감소함. 코로나19가 악화되 었지만 Extended ERP 매출이 전년 대비 +16.2% 증가했기 때문에 하반기 매출 성 장이 기대됨. 영업이익은 매출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고 외주용역비가 증가하면서 컨센서스를 하회했으나 인건비 등 비용 통제로 영업이익률은 개선됨. 순이익(지배)은 성수동 건물 매도 차익이 반영되면서 전년 대비 +66.9% 증가함.
하반기 신제품 출시 및 테크핀 사업 모멘텀 동사는 신제품 Amaranth10(아마란스 10)를 출시하고 테크핀 사업을 시작하면서 하 반기 성장 모멘텀이 부각될 것으로 판단됨. Amaranth10은 Standard ERP와 그룹웨 어를 결합한 중견기업 대상의 B2B 플랫폼 서비스임. 5월 출시 이후 100억원 수준의 사전계약을 성사했기 때문에 하반기 실적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한편 미래 에셋캐피탈, 웰컴금융그룹과 함께 매출채권팩토링 서비스를 7월부터 시작함. 2021년 6월 말 기준 클라우드 3.1만개의 고객을 확보(3월말 대비 약 3,500개 증가)하여 테 크핀 사업을 위한 Captive 고객이 마련됨.
목표주가 11만원으로 하향,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는 12개월 FW EPS에 글로벌 SaaS(Service as a Service)관련 기업의 2022 년 예상 평균 PER인 47.4배를 적용하여 산출함. 코로나 팬데믹이 유지되면서 글로 벌 SaaS기업들의 밸류에이션이 여전히 높게 평가됨. WEHAGO 고객수가 꾸준히 증 가하고 Amaranth10이 출시되었기 때문에 클라우드 사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코로 나19로 인한 매출 정체를 벗어날 것으로 전망됨.
더존비즈온 WEHAGO의 테크핀 플랫폼 가치 상승 전망 IBK투자증권|2019.09.09|조회 2298
가장 구체화된 테크핀 모델 WEHAGO 더존비즈온은 세무사무소를 시작으로 WEHAGO의 고객수를 늘리는 초기 단계에 진 입함. 세무사용 서비스를 7월에 정식 출시한 이후 최근 1,700개 이상(9월 초)의 세 무사무소가 서비스를 신청한 것으로 파악됨. 연말까지 4천개 이상의 세무사무소가 유입될 것으로 전망됨. 신청 받은 세무사무소의 기존 시스템을 WEHAGO T 서비스 로 업그레이드한 이후에 각 세무사무소의 수임업체들이 유입될 것으로 예상됨. 수임 업체들이 본격적으로 유입된 후 서비스 매출과 부가적인 테크핀 수익이 발생할 예정 임
WEHAGO 관련 매출은 1) 서비스 이용 매출, 2) 가입 고객사 대상 테크핀 매출이 예 상됨. 현재 WEHAGO는 기업용(WEHAGO), 세무사무소용(WEHAGO T), 수임고객 사용(WEHAGO T edge) 3개 상품으로 구성되었으며 수임고객사용 서비스 가입자가 증가하면서 외형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됨. 기업용, 세무사무소용 제품은 기존 고객들의 전환 매출이 많은 반면에 수임고객용 제품은 모두 신규 매출로 발생하기 때문임. 한편 WEHAGO 테크핀 수익 모델은 1) 더존 ERP의 실시간 빅데이터 공급, 2) WEHAGO 플랫폼 내 대출 발생, 3) 매출채권 유동화 등을 통해 구현될 예정임
3분기 실적 컨센서스 부합 전망 3분기 매출액 616억원(YoY +14.7%, QoQ -0.7%), 영업이익 128억원(YoY +27.7%, QoQ -15.8%)을 달성하여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으로 추정됨. 3분기부터 WEHAGO 관련 프로모션이 본격화되고 D-ERP의 최종 검수 작업이 진행되면서 수익성이 소폭 둔화될 것으로 예상됨. 최근 부동산 투자로 인해 투자 심리가 악화되면서 주가가 급 락했지만 WEHAGO와 D-ERP의 신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것으로 파악됨. 신사 업 관련 인력 충원과 CAPEX 투자가 이미 끝났기 때문에 이번 대규모 자금조달이 신사업에 영향은 제한적 일 것으로 판단됨. 향후 WEHAGO 이용자 증가와 iU ERP 고객들의 D-ERP로 전환되는 속도에 따라 기업 가치가 결정될 것으로 전망됨
IBK투자증권IBK투자증권
더존비즈온 남들이 가보지 않은 길을 가는 클라우드 기업 IBK투자증권|2018.09.05|조회 1811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70,000원 커버리지 개시 더존비즈온을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70,000원으로 커버리지를 개시함. 목표주가 는 12개월 FW EPS에 최근 1년 내 12개월 FW PER의 상단값인 38배를 적용하여 산 출함. 국내 중소형 ERP 시장을 장악하면서 확보한 재무 빅데이터의 가치가 부각되 고 기존 패키지 ERP가 클라우드로 전환되면서 Re-Rating이 진행됨. 동사는 대기업 용 D-ERP와 WEHAGO 플랫폼을 통해 2020년부터 외형이 가파르게 상승할 것으 로 예상되기 때문에 높은 밸류에이션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됨
클라우드의 견고한 성장, D-ERP를 통한 확장, WEHAGO의 가능성 우선 ERP 제품 가운데 클라우드 제품 비중이 상승하면서 외형이 꾸준하게 성장함. 고객이 클라우드 제품을 통해 IT서비스를 일괄적으로 받으려는 수요가 커지면서 ERP 이외 그룹웨어, 보안 등 타 제품의 매출이 동시에 상승하는 선순환이 나타남. 두번째 D-ERP를 통해 2020년 이후 외형이 한 단계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현대백 화점 프로젝트를 통해 내년까지 약 100억원의 매출액이 분기마다 인식될 예정임. 외 산 ERP의 높은 유지보수 비용과 AS에 불만을 가진 대기업들이 많기 때문에 동사의 D-ERP가 상용화될 경우 수요는 충분할 것으로 판단됨. 끝으로 WEHAGO 플랫폼 을 통해 재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핀테크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됨. ERP 시장에서 소외된 중소형 기업은 동사의 ERP와 그룹웨어 기능을 저렴하게 이용 하고 동사는 그들의 재무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할 것으로 전망됨
3분기 매출액 519억원, 영업이익 104억원 달성 전망 3분기 매출액 519억원(+11.8% YoY), 영업이익 104억원(+10.9% YoY, OPM 20.1%) 을 달성할 것으로 추정됨. 3분기는 여름휴가, 추석연휴가 포함된 비수기이기 때문에 연중 매출액이 가장 낮은 분기임. 3분기 날씨 및 연휴의 영향으로 신규 수주가 4분기 로 지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둔화된 매출은 4분기에 회복될 가능성이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