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아보자] 관련주 _ LNG선 - 기자재
그런데 왜 이 관련주 인가?
토픽 설명
LNG 운반선은 LNG를 -162℃로 냉각시켜 부피를 1/600로 압축하여 액화 상태로 만들어 수송·저장. 건조 기간이 2배 가까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가격이 일반 선박의 2~3배에 이르는 고부가가치. LNG선박의 차별화 요소는 가스의 압축, 냉각을 가능하게 하는 LNG화물창.
한국 조선사들은 LNG 운반선 화물창 제작 시 프랑스 GTT사의 멤브레인 방식 중 Mark-III를 주로 채택. Mark-III는 폴리우레탄 폼에 스테인레스 멤브레인을 사용한다. 시공 방식은 화물창 내벽에 제작된 보냉재를 먼저 부착하고, 가스가 닿는 내면에 합금으로 만든 박막형태의 멤브레인을 만든다.
또한 초저온 환경에서 정상 작동을 위해 피팅·밸브도 주요 기자재로 꼽힘. 피팅·밸브는 튜브관의 이음새로서 계측장비에 설치되어 유체를 이송·분배하는 이음새와 유체를 조절하는 부품.
그 외 LNG 엔진, 연료공급시스템 등 기자재가 있으며 각 기술별로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 기술보유.
포스코경영연구원에 따르면 LNG 운반선은 한국이 글로벌 수주비율 80% 이상 차지하는 압도적인 수주 실적 보유. LNG 운반선뿐 아니라 LNG연료추진선 또한 한국 조선3사(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가 기술력 선두에 있다고 분석. 특히, 연료탱크(화물창 기술), 엔진, 연료공급시스템이 비교 우위가 있음.
향후 IMO 2020(모든 선박을 대상으로 연료유의 황함유량 허용치를 3.5%에서 0.5% 이하로 제한하는 규제)이 더해지면서 LNG 추진선은 물론 LNG벙커링선 발주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 포스코경영연구원은 LNG추진선 건조는 2020년 20조원 규모에서 2025년 13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한편, LNG추진선의 수주 증가는 LNG 관련 기자재 업체뿐 아니라 조선 기자재 업체와 후판을 공급하는 철강업계에도 긍정적.
FICS | 종목 | Business Summary | 토픽 자세히 |
조선 | 대양전기공업 | Business Summary[2020/12/15]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신제품 출시중 동사는 1988년 7월 1일 산업용 조명, 전자시스템, 배전반 등의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11년 7월 8일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음. 설립시 주로 조선산업 제품을 위주로 사업을 시작했으나, 현재는 조선산업, 방위산업, 철도차량산업, 자동차산업 등으로 사업을 다변화 하고 있음. 동사는 높은 기술력, 선도 기업으로서 선점효과 등의 이유로 국내 선박용 조명 분야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함.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 증가, 영업이익은 5.8% 감소, 당기순이익은 21.9% 감소. 조명, 전자시스템 부문 등에서 매출액이 증가하였으나 120억 가량의 설비 신설, 매입으로 영업이익, 순이익이 전년 동기대비 감소함. 연구소에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구소에서 개발한 Helideck lighting system이 7월 중 출시됨. 국산화에 따른 국내외 경쟁력 증대 효과가 기대됨. |
LNG선 등 다양한 선박의 조명제품을 제조·판매. |
조선 | 인화정공 | Business Summary[2020/12/16] 매출액 감소, 사업다각화 추진 동사는 1999년 1월 8일에 인화정공주식회사로 설립되었으며 2010년 10월 22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동사는 선박엔진부품과 자동차부품, 금속성형기계, 금속구조재등을 생산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선박엔진부품 제작에 적합한 용접ㆍ제관, 중대형 금속가공의 일관생산 시스템을 갖추고 저속엔진(대형엔진)의 Cylinder Cover, Cylinder Frame, Bed Plate, Frame Box 등을 생산함.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4%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60%가량 비중을 차지하는 선박엔진부품사업부의 매출이 감소한 와중에 원재료 등의 가격이 급락하여 영업이익이 적자 전환함. 다만 영업외수지 개선으로 당기순이익은 흑자 전환함. 동사는 현재 보유한 기계설비와 기술력으로 발전설비부품등의 신규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사업다각화로 발전설비부품과 자동차부품에 투자를 단행함. |
선박용 엔진부품, 발전설비 부품 등을 생산. 주요 고객사는 HSD엔진, 현대중공업, STX중공업 등 보유. |
화학 | 한국카본 | Business Summary[2020/12/21] 소재사업 역량을 바탕으로 기술력 확보 1984년 9월 17일 탄소섬유 및 합성수지 제조를 주사업목적으로 설립. 낚시대 재료인 Carbon Sheet를 생산하며 1984년 설립, 출범하였으며, 이 후 LNG의 수요 증대와 더불어 LNG 운반선 화물창의 핵심 부품인 INSULATION PANEL 생산하고 있음. 한국의 고유 문화인 온돌 문화에 영향을 끼치는 바닥장식재의 필수 재료인 Glass Paper를 생산, 납품하고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3% 증가, 영업이익은 800.6% 증가, 당기순이익은 723.2% 증가. 기존 소재사업의 역량을 바탕으로, 경량화 부품·소재를 항공 및 차량경량화용으로 집중하여, 세계 유수의 기업들과 함께 기술력을 확보해나가고 있음. 향후 항공 및 차량경량화용 부품 및 소재로 신규 성장동력을 마련하여, 글로벌 복합소재업체로의 도약을 준비중에 있음. |
LNG운반선 화물창 타입 중 하나인 Mark3 타입의 초저온 보냉재 생산. Mark Flex 시스템에 사용되는 FSB 2차단열재는 독점 납품. 주요 매출처는 삼성중공업과 현대중공업. |
기계 | 하이록코리아 | Business Summary[2020/12/20] 수출 호조세와 원가 부담 동사는 1977년 7월 28일 관이음쇠 및 밸브 제조 및 판매 등을 주 영업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1989년 12월 9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동사는 계장용 관이음쇠와 밸브를 생산 공급하는 전문회사로서 석유화학, 조선, 철도차량 등의 다양한 분야의 사업영역에 진출해있음. 주 생산제품은 유압용 밸브, 초정밀 피팅, 모듈 및 기타 관련 제품으로써 Fluid & Control System 산업에서의 필수부품으로 사용되고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 증가, 영업이익은 0.5% 증가, 당기순이익은 26.1% 감소. 내수 판매 감소에도 수출 증가 영향으로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였음. 주요 원재료 가격의 상승과 금융수익의 감소로 당기순이익은 감소세를 나타냄. 밸브 및 피팅 적용분야의 첨단화, 정밀화로 부가가치 높은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수익성이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됨. |
LNG추진선에 사용되는 계장용 피팅 및 밸브 제조. |
조선 | HSD엔진 | Business Summary[2020/12/19] 발주 재개를 통한 수익 기대 동사는 종합엔진 생산전문업체로 선박엔진사업 및 디젤발전사업, 부품판매사업, 환경오염방지시설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중임. 동사는 세계 2위의 저속엔진 시장점유율(평균 20%)을 유지하고 있으며, 한국 3개 엔진업체가 전세계 엔진의 평균 50% 이상을 생산함. 국제해사기구(IMO) 유해가스 기준에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친환경 디젤엔진의 개발 및 고효율 선박 기자재 개발 추진 등 미래 신성장 동력의 발굴을 적극 추진하고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8.4%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환경 규제 강화 및 Eco-ship 니즈 증가에 따라 이중연료 엔진 등의 친환경ㆍ고효율 기자재 수요는 더욱 증가될 것으로 예상됨. 지연되었던 대형 프로젝트들의 발주 재개 움직임과 탱커선의 꾸준한 발주 등 긍정적인 시그널이 포착되고 있어 2020년 4분기 및 2021년 시황은 대폭 개선될것으로 전망됨. |
선박용 디젤엔진 등을 주요제품으로 생산. 2020년 2분기 말 기준 저속엔진 시장점유율 20% 수준으로 세계 2위. 국제해사기구(IMO) 유해가스 기준에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친환경 디젤엔진의 개발 및 고효율 선박 기자재 개발 중. |
기계 | 디케이락 | Business Summary[2020/12/21] 꾸준히 M/S증가 노력중 동사는 1991년 설립된 계장용 Fittings&Valves를 생산하는 제조업체로 2010년 1월 대광닛불에서 디케이락으로 상호변경. 생산제품은 조선, 해양 플랜트, 원자력, 화력, 수력 발전설비, 반도체, CNG 및 수소용 자동차 산업, 해외 정유시설의 대형 플랜트 등에 주로 사용됨. 동사는 전방산업에 사용되는 제품인 자체브랜드 DK-Lok을 300여개 거래처에 공급함. 전체 매출의 68%는 수출임.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0.5% 증가, 영업이익은 56.1% 감소, 당기순이익은 55.7% 감소.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고객 다면화 및 중동 등 관련 매출은 증가하였으나 미국지역 매출 감소로 영업이익이 감소하였음. 제품의 품질 및 안정성을 인정받기 위해 장기간의 노력으로 꾸준히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으며 수소 관련 산업에서의 성장성이 기대됨. |
LNG 추진선, 벙커링(LNG 연료 주입)에 사용되는 계장용 피팅 및 밸브 제조. |
기계 | 태광 | Business Summary[2020/12/21] 매출 증가와 일회성 비용 발생 동사는 1982년 8월 1일에 태광벤드공업주식회사로 설립되었으며 1994년 9월 7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영위하는 목적사업으로는 각종 배관자재, 관, 이음쇠류 제조 판매업, 플랜트설계, 제작, 시공업, 기계제작판매 및 설치업 등이 있음. 종속회사가 영위하는 목적사업으로는 부동산 매매 및 임대업, 공연시설 운영 및 대관업, 전시기획 및 제작 유통 판매업 등이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3% 증가, 영업이익은 62.3% 감소, 당기순이익은 76.2% 감소. 수주증가와 제품 판매 단가의 상승으로 매출액이 상승함. 재고자산평가손실과 대손충당금 등 일회성 비용으로 당기순이익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음. 환경문제와 셰일가스, 오일 등의 개발로 청정에너지 LNG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관련 플랜트설비와 수출터미널 등에 지속적인 매출 성장이 예상됨. |
LNG선에 필요한 피팅류(배관을 수평, 수직 등으로 연결해주는 장치)를 생산. 2019년 기준 피팅 시장점유율 43.46%로 국내 2위. |
화학 | 동성화인텍 | Business Summary[2020/12/21] 신제품 개발 역량을 통한 경쟁력 강화 동사는 화공품 수입알선 및 판매를 목적으로 1985년 설립되어 현재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1997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연결회사는 크게 PU단열재사업부문 및 가스사업부문으로 나뉘며, PU단열재사업부문은 초저온보냉재, PU SYSTEM, 샌드위치판넬사업로 구분되며, 가스사업부문은 냉매, 방재시스템 사업으로 구분됨. 셰일가스프로젝트 참여 및 LNG 추진선박 사업에도 사업역량 확대를 진행 중임.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3.3% 증가, 영업이익은 63.5% 증가, 당기순이익은 176.5% 증가. 냉매 GAS 부문에서 동사는 환율과 원자재 변화에 따른 리스크 관리를 통해 안정적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는 국내 최초 국산화를 이룬 세계유일의 초저온 보냉자재 일괄 생산시스템 업체로서의 강점과 시장 선점을 위한 폴리우레탄 신제품 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높이고 있음. |
LNG운반선 화물창 타입 중 하나인 Mark3 타입의 초저온 보냉재 생산. 주요 고객사는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
조선 | 세진중공업 | Business Summary[2020/12/18] 신규사업을 통한 원가 경쟁력 강화 동사는 선박부분품(조선기자재) 제조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며 주요제품으로는 조선부문의 Deck House, LPG Tank와 해양부문의 Living Quarter 등이 있음. 조선부문은 동종업체 중 가장 넓은 부지를 보유중이며, 주요 거래처인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의 접안시설과 가까워 신속함, 낮은 운송비로 경쟁력을 갖추었음. 해양 엔지니어링 전문 업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해양 구조 설비인 생활 바지선부문으로 진출할 계획임.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9%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35.3% 감소. 계획 중인 신규사업은 기존 생산하고 있는 품목과 유사하므로 원가 경쟁력 및 기술면에서도 상당한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됨. 조선해양기자재를 제작하며 쌓아온 기술력을 바탕으로 GS건설로부터 석유화학 플랜트 모듈을 수주하였으며, 향후 다양한 국내외 플랜트 모듈 제작에 참여하며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예정임. |
조선기자재 생산·판매를 주사업으로 영위하며, 선실의 데크하우스, 선체의 LPG 탱크, 어퍼데크유닛 등을 주로 생산. 국제해사기구(IMO) 규제에 따라 LNG추진 선박에 장착되는 LNG 연료 탱크 부문도 진출. |
기계 | 성광벤드 | Business Summary[2020/12/18] 고정비 부담 증가 동사는 금속관이음쇠의 제조 및 판매 등을 주요영업으로 영위할 목적으로 1980년 2월 23일에 설립되었고, 2001년 1월 9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동사가 영위하는 목적사업으로는 관 이음쇠의 제조 및 판매업, 수출품 제조업, 부동산 임대업, 기계제조 및 판매업 등이 있음. 철강관이음쇠 산업은 과거 탄소강 중심의 배관용 자재였으나 지속적인 소재산업의 발달에 힘입어 수입에 의존하던 품목을 국내기술로 생산, 공급하게 되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8% 감소, 영업이익은 31.5% 감소, 당기순이익은 68.7% 감소. 수요 감소와 고객사의 사업장 셧다운 등으로 매출이 소폭 감소하였음. 고정비 부담이 증가함에 따라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감소함. 조선ㆍ해양플랜트부분은 해상운임의 상승과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 및 LNG선 발주 등으로 내년까지 수주 회복이 기대됨. |
LNG선에 필요한 피팅류(배관을 수평, 수직 등으로 연결해주는 장치)를 생산. 2019년 기준 피팅 시장점유율 56.54%로 국내 1위. |
조선 | 엔케이 | Business Summary[2020/12/18] 영업이익 흑자전환 1984년 설립되었으며 주요 사업은 고정식 소화장치 부문, 밸러스트 수처리장치 부문, 해양플랜트 기자재 부문, 고압가스 용기부문이 있음. 동사의 주요제품은 고정식 소화장치이며 이는 선박건조에 소요되는 선체의장부의 부품 중 화재의 진압을 위하여 필요한 장치임. 선박용 소화장치는 전방산업인 조선업의 경기에 큰 영향을 받음. 조선소에 직접 판매되고 있으며 제품을 원활하게 공급하는 중임.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6.9%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소화장치의 내수 및 수출의 구성은 2020년 3분기 연결기준으로 내수와 수출이 각각 131억원, 293억원을 판매하고 있으며 수출은 중국,일본, 대만 등 직접 수출하고 있음. 미중 무역분쟁, 코로나 영향으로 발주량 회복세가 이어지지 못하고 있으나, 환경 규제 및 안전 규정 강화에 따른 선박 교체 수요 발생 예상. |
LNG운반선 소화장치 등을 생산. LNG선박 등 특수선박(해양)의 건조로 소화장치도 대용량, 청정소화장치로 다양화되고 있음. |
요약정리
※ * 는 코스닥 종목입니다.
** 비상장
* 제공되는 내용은 투자에 영향을 주는 재료가 아닌 투자판단에 참고자료 입니다.
※ 투자성과는 보유종목 기준으로 산출되어, 매도시 발생하는 실현손익은 반영되지 않습니다.
※ 거래대금 단위는 백만원, 시가총액 단위는 억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