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슴슴한고슴도치

728x90

[모아보자] 관련주 _ 반도체 - 전공정 소재

 

그런데 왜 이 관련주 인가? 

반도체 제조는 크게 전공정과후공정으로 나뉘며, 전공정은 노광(Photo) - 증착(Deposition) - 식각(Etching)의 과정을 거침. 반도체 전공정은 고도의 화학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높은 기술력이 필요한 고부가가치 산업.



노광공정은 웨이퍼에 감광액을 도포해 노광장비로 빛을 가해 회로 패턴을 새기는 것을 의미(회로)하며, 증착공정은 물리적·화학적 방법을 통해서 웨이퍼에 전기적 특성을 갖는 분자 또는 원자단위의 물질을 입히는 것을 뜻함(박막). 식각공정은 플라즈마 상태에서 특수한 가스를 주입해 불필요한 회로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세정하는 것(세정).

반도체 전공정 소재는 제조 공정(노광 - 증착 - 식각)과 관련된 화학소재를 의미.

노광소재(감광제, 실리콘카바이드 등), 증착소재(전구체, 연마제 등), 식각소재(고순도 특수가스 등)가 있고, 이를 씻어내는 식각액, 세정액으로 분류. 증착공정 소재인 전구체(Precursor)는 금속게이트, 캐피시터, 알루미늄배선, 구리배선, 전극배선 등으로 다양한 화합물이 존재.

반도체 전공정 소재 업체는 반도체 전공정이 멀티패터닝(노광·증착·식각 횟수 증가) 기술을 통해 미세화되면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

한편, 2019년 7월 4일 일본 경제산업성이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핵심소재 3개 품목(반도체 공정에서 빛을 인식하는 감광재인 포토레지스트, 반도체 회로 식각에 사용하는 불화수소,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OLED 제조에 사용되는 플루오린 폴리이미드)에 대해 수출 규제. 현재 국내 소재 국산화율은 50% 내외 수준. 고순도 반도체용 불산은 일본 스텔라, 모리타가 거의 독점 생산하여 국산화율이 한 자릿수에 가까움.

정부는 수출규제 대응을 위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2.0 전략' 발표. 글로벌 공급망(Global value chain, GVC) 구축과 기술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 2022년까지 차세대 전략 기술 개발에 5조원을 투입, 공급망 관리 품목 대상 100대 품목에서 338개로 3배 이상 확대 등 계획.

이에 반도체 및 IT의 주요 핵심 소재 수입의 규제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어 핵심 수입 소재 및 장비의 국산화가 가능한 종목들이 최근 주목을 받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종목 Business Summary  토픽 자세히
하나머티리얼즈*(코스닥 종목) Business Summary[2020/12/21]
사업 개편 성과 가시화
동사는 2007년 설립되어, 실리콘 및 실리콘카바이드 소재의 일렉트로드와 링,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용 특수가스 제조 및 판매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동사는 2007년 설립되어, 실리콘 및 실리콘카바이드 소재의 일렉트로드와 링,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용 특수가스 제조 및 판매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2020년 2월 솔머티리얼즈에게 143억원에 가스사업부문 매각을 완료함.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0.2% 증가, 영업이익은 25.3% 증가, 당기순이익은 16.1% 증가. 부품 단일 사업으로 구조 개편을 단행하면서 업무 효율성이 증가한 덕분에 부품 사업 부문의 외형 성장세를 이어감. 이에 더해 신사업인 실리콘카바이드(SiC Ring) 사업이 3분기부터 본격화되면서 매출 확대됨. 동사는 특수가스 매각으로 늘어난 현금성자산을 통해 향후 지속적인 기술력 확보 등 경쟁력을 제고.
반도체 식각공정 소재(일렉트로드, 링) 제조사.
티씨케이*(코스닥 종목) Business Summary[2020/12/21]
 3개 분기 연속으로 분기 최대 실적
동사는 1996년 8월 설립되었으며, 2003년 8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반도체, 태양전지 및 LED용 부품 전문 제조회사임. 고순도 흑연(Graphite)을 이용한 반도체 및 태양전지용 실리콘 잉곳을 생산하는 Growing 장비용 Graphite 부품을 국내 최초로 국산화하여 제조, 판매하고 있음. 반도체 Device업체에서 사용하는 장비의 Solid SiC Wafer, Ring 및 SiC제품도 판매중임.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0.4% 증가, 영업이익은 31.4% 증가, 당기순이익은 28.5% 증가. NAND 다단화 추세화 고출력 식각장비의 채용 증가세에 따라 주요 고객사의 실리콘 카바이드 링(SiC Ring) 발주가 늘어나 3분기 실적에서 괄목할 만한 실적을 냄. 증설이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으나 매출 대비 재고자산 비중은 감소. 공급 부족 지속되고 있음.
반도체 노광공정 소재인 고순도 카바이드(흑연) 제조사.
디엔에프*(코스닥 종목) Business Summary[2020/12/21]
매출 증가 및 수익 개선
동사는 2001년 1월에 설립되어 2007년 11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반도체 박막 재료 부분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미세패턴 구현을 위한 패터닝용 희생막 재료인 DPT와 QPT 재료를 비롯한 Capacitor 유전막 및 Metal Gate 절연막으로 사용되는 High-K 재료 등을 주로 생산함. 매출은 반도체 전자재료가 89.8%, 광통신 소자 및 재료가 8.7%, 기타화학재료 1.51%로 구성됨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2.4% 증가, 영업이익은 154.9% 증가, 당기순이익은 330.4% 증가. 반도체 전자재료 관련 매출이 큰 폭으로 상승하여 전체적인 매출이 크게 개선됨. 이에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등 이익구조도 증가함. 기존 사업 외 LT SiN, 미세화 수율 향상을 위한 HardMask 재료, 박막 특성 향상을 위한 Metal 재료, OLED 소재 등 신규 사업을 추진중임.
반도체 증착 공정에 필요한 프리커서 생산 업체. 프리커서는 웨이퍼 위에 특정한 층(Layer)을 형성하거나 임시로 쌓을 때 사용되는 소재.
월덱스*(코스닥 종목) Business Summary[2020/12/21]
견조한 성장을 통한 실적개선 지속
동사는 반도체 에칭 공정에 사용되는 반도체용 실리콘 전극과 링을 제조 판매 전문회사로 성장하며 이를 바탕으로 파인세라믹부분으로 사업 범위를 확대함. 종속회사인 WCQ를 적극 활용하여 고객과 밀접한 관계를 통해 직납 비중 규모 확대와 해외 시장 개척을 통해 국내 뿐 아니라 수출 비중을 확대하고 있음.  매출비중은 실리콘 54.3%, 쿼츠 외 45.7%로 실리콘 비중이 소폭 증가하는 추세.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1.5% 증가, 영업이익은 52.2% 증가, 당기순이익은 39.7% 증가. 2020년 반도체업계 증설효과와, 해외 주요반도체 고객사향 파츠 공급증가로 양호한 실적을 견인 중임. 소재부터 제품까지의 일관생산체제를 갖춤으로써 Silicon-parts를 통하여 확보한 가공기술 및 거래처를 기반으로 매출의 성장세 지속될 것으로 기대됨.
반도체 식각공정 소모성부품(실리콘, 쿼츠 등) 제조사.
동진쎄미켐*(코스닥 종목) Business Summary[2020/12/18]
매출 상승으로 수익성 개선
1973년 7월에 법인설립되어 반도체 및 TFT-LCD 의 노광공정에 사용되는 Photoresist 관련 전자재료사업과 산업용 기초소재인 발포제사업을 주로 영위함.  반도체 및 평판디스플레이용 감광액과 박리액, 세척액, 식각액 및 태양전지용 전극Paste 등 전자재료를 반도체칩 및 TFT-LCD, 태양전지 등의  제조업체에 납품함.  동사의 주요 매출처는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엘지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 등이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 증가, 영업이익은 29.4% 증가, 당기순이익은 52.1% 증가. 내수시장의 주 고객이 3~5개 회사로 구성되어 있다는 한계성이 있으나, 중국의 디스플레이 제조사들의 신규 투자 및 신규공장들의 정상가동으로 당사의 매출증대가 예상됨.  전년 동기대비 매출은 소폭 상승하였으나, 매출원가 및 인건비를 절감하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안정적으로 성장함. 
반도체 노광공정 소재인 감광제 제조사.
이엔에프테크놀로지*(코스닥 종목) Business Summary[2020/12/21]
수익성 개선
동사는 반도체/디스플레이 프로세스케미칼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2000년 설립되었으며, 2009년 5월 상장됨. 식각액 분야에서 확고한 위치 달성 및 신너, 박리액 등 디스플레이 전자재료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음. 초기 일본사들의 독점과는 달리, 국내 업체들의 기술력 발전으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사들이 차세대 재료에 대해서도 국내 원재료 업체와의 협업이 이루어지고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1% 증가, 영업이익은 33% 증가, 당기순이익은 13.8% 증가. 매출액이 소폭 증가하고 재화판매 매출원가가 줄어듦에 따라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 등 수익성이 개선됨. 포토레지스트용 원료부문은 LCD에서 OLED로 전환됨에 따라 OLED 핵심 재료의 매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어 연구개발 역량을 이에 집중하고 있음.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인 프로세스 케미칼(신너, 현상액, 식각액, 박리액 등)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고순도 불화수소의 국산화를 진행 중.
코미코*(코스닥 종목) Business Summary[2020/12/15]
분기 사상 최대 실적 달성
동사는 2013년 8월 (주)코미코의 정밀세정, 특수코팅 사업부문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물적분할을 통해 신설된 회사임. 반도체 부품의 세정과 코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정밀세정, 코팅 기술을 기반으로 열처리 사업 등 신규로 진출중임. 매출구성은 코팅 53.68%, 세정 38.22%, 부품(상품) 5.1%, 부품(제품) 2.27%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2% 증가, 영업이익은 4.9% 증가, 당기순이익은 5.9% 증가. 국내 반도체 업체의 메모리 및 비메모리 가동률 증가, 대만 파운드리 업체의 호황, 미국 메모리 업체의 싱가폴 투자가 실적 성장을 주도함. 해외법인이 코로나19 영향을 받지 않아 정상적으로 가동됨. 최근 개발한 PVD코팅 기술이 고객사의 승인을 받으면서 4분기부터 매출에 반영될 전망임.
반도체 증착·식각공정 소재인 세정제, 코팅제 제조사.
원익QnC*(코스닥 종목) Business Summary[2020/12/21]
쿼츠 부문 실적호조 지속 예상
동사는 반도체 제조용 석영제품 및 반도체/디스플레이 등의 세라믹제품을 전문 생산하는 업체로 2003년 11월 원익으로부터 기업분할로 설립됨. 반도체용 석영유리(QUARTZ WARE)는 반도체 제조공정 중 산화, 식각, 이온주입, 화학증착공정에서 Wafer를 불순물로 부터 보호하거나 이송하는 용기로 사용됨. 삼성전자, 하이닉스반도체, 페어차일드코리아, 실트론, 매그나칩반도체, 동부하이텍 등과 계약 체결, 수주물량을 받고 있음.
국내 주요 고객사 가동률이 증가하고 있고, 해외 고객사 투자 확대에 따른 수요 증가로 쿼츠사업부의 실적이 호조를 나타냄에 따라 2020년 3분기 누적 매출과 영업이익이 급증함. 올 1월 인수한 미국 모멘티브社의 쿼츠/세라믹 사업부문 매출이 더해진 영향도 있음. 영업외에서는 잡손실과 이자비용, 파생상품평가손실이 증가하면서 수지가 악화되었으나, 당기순이익은 100억원의 흑자로 전환됨.
반도체 증착, 식각 등의 장비에 들어가서 웨이퍼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모성 부품인 쿼츠를 주력으로 생산. 포트폴리오 확대를 위해 세정 사업 부문도 진출.
에이피티씨*(코스닥 종목) Business Summary[2020/12/18]
반도체 전공정 건식 식각 장비 제조사
동사는 반도체 제조 공정 중 식각 공정에 필요한 장비를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주력 제품은 300mm 실리콘 식각 장비(Poly Etcher)등이 있음. 동사가 보유한 적응결합형 플라즈마 소스는 현재 200mm와 300mm 웨이퍼용 반도체 건식 식각 장비의 원천 기술에 적용됨. 동사의 원천 기술은 반도제 화학 기상 증착(CVD)와 LCD와 LED, 태양광 제조용 식각장비, 에싱(Asher) 장비에 적용 가능함.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8% 증가, 영업이익은 19.5% 증가, 당기순이익은 0.5% 감소. 반도체의 미세화와 고도화에 따른 기술력강화와 해외매출처 다변화를 통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개선됨. 미국에 자회사 APTC AMERICA를 설립하여 판매처 확대를 추구하고, SK하이닉스와의 반도체 제조장비 단일판매 공급계약 등을 통해 매출 성장이 기대됨. 
반도체 제조공정 중 식각공정에 필요한 장비를 제조 및 판매하는 기업. 300mm 실리콘 식각 장비가 주요 제품. 기술력을 인정받아 SK하이닉스에 제품을 공급 중.
SK머티리얼즈*(코스닥 종목) Business Summary[2020/12/20]
영업이익 소폭 증가
동사는 1982년 11월에 대백물산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1998년 상호를 대백신소재로 변경하였고, 1999년 12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후 세 차례의 상호 변경 후 SK머티리얼즈가 됨. 동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광 전지 제조 공정에 사용하는 특수가스(NF3, WF6, SiH4 등)의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음. 주요종속회사인 SK에어가스(주)는 산업용, 의료용 가스 등의 제조, 판매하고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6% 증가, 영업이익은 3.9% 증가, 당기순이익은 5.8% 감소. 3분기 누적 매출액에서 특수가스 및 산업가스 및 전구체 등 부문이 10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동사의 경우 SK에너지, SK이노베이션, SK하이닉스 등 안정적인 대규모 수요처를 확보하고 있음. 이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수익률을 유지하며 지속 성장 중임.
반도체 식각공정 소재인 고순도 가스 제조사. NF3(삼불화질소), SiH4(모노실란) 등.
원익홀딩스*(코스닥 종목) Business Summary[2020/12/20]
매출 증가와 수익성 개선
동사는 반도체 장비 제조 및 판매 목적으로 1991년 9월 27일 설립되었으며, 1996년 9월 24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2016년 4월 1일 원익IPS와 인적분할하고 원익홀딩스로 사명 변경, 지주회사로 전환함.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 원료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제조사업과 배관공사업이 있으며, 별도 투자부문을 영위 중. 동사는 사업부문과 투자부문으로 분류되며, 사업부문은 장치제조사업과 배관공사업이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8.6% 증가, 영업이익은 32.7% 증가, 당기순이익은 51.8% 증가. 전방사의 투자 재개에 따라 반도체장비부문을 중심으로 매출액이 증가하였음. 지분법손익의 개선으로 당기순이익이 큰 폭 증가함.  Purifier, 배관공사 등 신규 사업 분야에서의 점유율 확대를 통한 매출 성장이 기대되며, 중국 및 동남아 시장 내 영업 채널 확보 및 저가형 모델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반도체 증착공정 소재인 전구체(Precursor) 제조사.
에프에스티*(코스닥 종목) Business Summary[2020/12/20]
영업이익 대폭 증가
동사는 1987년 설립되었으며, 2000년 01월 18일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동사는 포토마스크용 보호막인 펠리클(Pellicle)과  Chamber 내의 온도조건을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온도조절장비인 칠러(Chiller)를 주력으로 생산함. 동사는 2020년 3분기 현재 동사를 제외하고 (주)에스피텍, XIAN FST.CO.LTD 등 총 3개의 종속회사를 가지고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4.4% 증가, 영업이익은 62.1% 증가, 당기순이익은 18.7% 증가. 에프에스티(036810)는 국내 1위 펠리클(포토마스크 오염방지 부품, 국내 반도체 펠리클 M/S 80% 수준) 생산 업체로, EUV용 펠리클 개발 성공에 대한 기대감이 존재함. 2020년 3분기 장비부문 매출액은 640억원으로 전체 매출액의 53%를 점하고 있음.
반도체 식각공정장비(온도조절장비) 제조사.
솔브레인홀딩스*(코스닥 종목) Business Summary[2020/12/15]
인적분할 진행
동사는 반도체 및 전자 관련 화학재료 제조 및 판매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86년 5월 6일에 설립되었으며, 2000년 1월 18일에 코스닥시장 상장됨. 동사는 투자사업부문이며, 인적분할법인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기타 전자 관련 화학 재료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사업을 영위함. 회사의 별도매출 기준 사업을 2020년 7월 1일 분할기일로하여 사업부문과 투자부문으로 인적분할함. 솔브레인 주식회사와 동사로 분리.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1099.6% 증가. 디스플레이 부문은 미중 무역갈등으로 인한 유럽 및 인도내 점유율 상승 및 대표적 경쟁 패널의 한종류인 LTPS LCD패널과 가격적, 기능적 측면의 우위로 중소형 모바일 및 태블릿 시장에서 매출이 재상승 중임. 2차 전지의 경우 차세대 시장의 선점을 위하여 이러한 활동을 적극 실행에 옮기고 있으며 있음.
반도체 식각공정 소재인 고순도 가스 제조사. H2F(불산) 등.
메카로*(코스닥 종목) Business Summary[2020/12/18]
메탈 히터블럭 국내 점유율 1위 기업
동사는 2000년 10월 설립되어, 반도체 제조 공정의 원재료인 전구체와 반도체 장비 내에서 웨이퍼를 흡착하고 가열해주는 히터블럭을 주력으로 생산함. 탄화규소 및 질화알루미늄 등의 세라믹 소재를 이용한 반도체, LCD, LED 부품 및 반도체 LCD 공정용 기화기 및 태양전지 제조 기술 개발 등을 신규사업으로 영위함. 매출구성은 전구체 49.15%, 히터블록 47.34%, 상품 1.79%, 제품 기타 1.72%로 이루어져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7%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98.4% 감소. 매출액 감소와 더불어 관리 및 연구 인력 등의 증가로 판관비가 증가하면서 수익성이 감소함. 음성, 평택공장의 CAPA 증설 완공. 음성공장의 일부 라인을 연구 라인으로 변경하여 효율적 연구활동이 가능. 평택공장의 시설확충으로 고객 물량 증가 대응 및 원가절감이 가능.
반도체 증착공정 소재인 전구체(Precursor) 제조사.
한솔케미칼 Business Summary[2020/12/21]
수요 증가에 따른 매출 확대
동사는 1980년 3월 13일 설립되어 1989년 5월 20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함. 동사의 주요 사업내용은 라텍스, 과산화수소, PAM, 차아황산소다, 전자재료, Precursor, 기타 화공약품 등의 판매임. 정밀화학 산업은 각종 첨가제, 제지약품, 수처리제, 염료, 도료, 안료, 반도체약품, 계면활성제, 접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을 생산하는 공업을 포괄하는 화학산업으로 가공형 산업의 특징을 지니고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 증가, 영업이익은 36.5% 증가, 당기순이익은 42.5% 증가. 전방산업 수요 증가로 과산화수소를 중심으로 매출액이 증가함. 제품 단가 인상과 원재료 가격 하락에 따른 원가율 개선으로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개선됨. 전자재료 사업에서 2차전지 성능 향상을 위한 신소재 수요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음. 또한 반도체 공정기술 변화에 따라 프리커서의 수요는 계속 성장할 전망임.
반도체 증착공정 소재인 전구체(Precursor) 제조사.
원익머트리얼즈*(코스닥 종목) Business Summary[2020/12/15]
꾸준한 매출증가 예상
동사가 영위하는 전자재료용 특수가스의 수요분야는 삼성전자 및 SK하이닉스 등의 종합반도체 회사를 중심으로, 삼성디스플레이, 동우화인켐 등 디스플레이 및 LED 제조회사로 분류됨. 산업분류상 산업용가스제조업에 속하는 업체로 반도체,디스플레이,LED 산업등에 사용되는 특수가스의 생산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2020년 9월 연결대상 종속기업인 함양원익반도체무역유한공사 법인이 청산됨.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8% 증가, 영업이익은 26.7% 증가, 당기순이익은 6.9% 증가. 국내외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 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매출액이 증가한 반면 판관비 등은 크게 늘지 않아 영업이익, 순이익 증가함. 종속기업 청산으로 순이익은 영업이익 증가폭 대비 적은 증가보임. OLED시장은 모바일용 소형, 대형 모두 성장, 반도체 역시 역대 최고 매출 경신이 예상되어 실적 향상이 기대됨.
반도체 식각공정 소재인 고순도 가스 제조사. Si2H6(디실란), GeH4(사수소화게르마늄), NH3(암모니아) 등.

 

요약정리 

※ * 는 코스닥 종목입니다.

** 비상장

* 제공되는 내용은 투자에 영향을 주는 재료가 아닌 투자판단에 참고자료 입니다. 

※ 투자성과는 보유종목 기준으로 산출되어, 매도시 발생하는 실현손익은 반영되지 않습니다.

※ 거래대금 단위는 백만원, 시가총액 단위는 억원입니다.

 

 

728x90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