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슴슴한고슴도치

728x90

[종목분석] SKC 011790

 

테마/업종/관계도 FICS  종목명
2차전지/반도체 - 전공정 소재/폴더블폰 - 소재·부품 화학 SKC

종목명 Business Summary 토픽 자세히
SKC Business Summary[2020/12/17]
전 사업부문 호조
1976년 설립된 소재전문기업으로 현재 모빌리티, 반도체, 친환경 분야 고부가가치 소재를 생산하고 있음. 2차전지 음극집전체에 사용되는 동박 등을 생산하는 모빌리티 소재사업, 반도체 공정 소재를 생산하는 반도체 소재사업. PET필름을 생산하는 Industry소재사업, 폴리우레탄의 원료인 PO 등을 생산하는 화학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주요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SK넥실리스, SK피아이씨글로벌 등이 있음.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6% 증가, 영업이익은 17% 증가, 당기순이익은 46% 증가. 모빌리티부문의 동박사업을 중심으로 매출액이 증가하였음. 매각예정자산처분이익의 발생으로 당기순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함. 2020년 10월 16일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지분을 매각하였음. 매각을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모빌리티, 반도체 등 미래성장동력 중심으로 투자를 집중할 계획임.

Business Summary[2021/04/23]
매출 확대에 따른 수익성 개선
2020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4% 증가, 영업이익은 36.5% 증가, 당기순이익은 37.8% 감소.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증가함. 2020년 10월 16일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지분을 매각하였음. 매각을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모빌리티, 반도체 등 미래성장동력 중심으로 투자를 집중할 계획임.


Business Summary[2021/06/24]
매출 확대에 따른 수익성 개선
동사는 1976년 설립된 소재전문기업으로 모빌리티, 반도체, 친환경 분야 고부가가치 소재를 생산함. 2차전지 음극집전체에 사용되는 동박 등을 생산하는 모빌리티 소재사업, 반도체 공정 소재를 생산하는 반도체 소재사업을 영위함. PET필름을 생산하는 Industry소재사업, 폴리우레탄의 원료인 PO 등을 생산하는 화학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주요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SK넥실리스, SK피아이씨글로벌 등이 있음.
2021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6% 증가, 영업이익은 175.3% 증가, 당기순이익은 49.8% 감소. 매출원가 증가폭 대비 매출액이 더욱 큰 폭으로 성장하며 수익성이 개선되었음. 모빌리티 소재사업에서 동사는 신규 생산라인 증설을 계획하고 있음. 2020년 하반기에는 신규 4공장이 가동 되었으며, 2021년 하반기 이후 양산을 목표로 5공장 및 6공장 투자를 진행하고 있음.
 자회사 KCFT 세계 3위

폴더블폰 - 소재·부품
화학사업, Industry 소재사업(필름사업) 등 영위. 폴더블폰 핵심 부품인 투명 폴리이미드(PI) 생산설비 완공. 자회사인 필름가공업체 SKC하이테크앤마케팅(지분율 100%)가 고경도 코팅 기술 보유(2020.09.30 기준).

출처 - FnGuide
출처 - FnGuide

 

 

 

제목 정보제공 날짜
SKC, 폐플라스틱서 기름 뽑는다연내 열분해유 파일럿설비 이데일리 2021.08.26 17:14
SKC, 폐플라스틱서 기름 뽑는다...파일럿 설비 연내 헤럴드경제 2021.08.26 15:13
SKC, 폐플라스틱에서 기름 뽑는 열분해유 사업 본격 아시아경제 2021.08.26 14:10
SKC, 폐플라스틱에서 기름 뽑는다열분해유 사업 본격 머니투데이 2021.08.26 14:05
SKC, 폐플라스틱서 기름 뽑는 열분해유 사업 본격 조선비즈 2021.08.26 13:16
"폐플라스틱서 기름 뽑는다" SKC, 열분해유 2023 상업 파이낸셜뉴스 2021.08.26 13:02
[주식초고수는 지금]'자회사 주사기 FDA 승인' 에이치엘비 매수세 ... 서울경제 2021.08.25 11:15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에 뛰어드는 석유화학사? 이데일리 2021.08.24 16:17
어젠 페트병, 내일 ·화장품 용기플라스틱 재활용 '사활' 이데일리 2021.08.23 19:35
많이 떨어진 삼성물산·기아보텀피싱 언제쯤? 한국경제 2021.08.23 17:16
3090 회복한 코스피증권사들이 추천하는 줍줍주는? 한국경제 2021.08.23 16:19
깜짝실적 동박 3총사, 新사업·해외투자 파이낸셜뉴스 2021.08.22 19:35
동박 3형제, 실적바탕 신사업·해외투자 잰걸 파이낸셜뉴스 2021.08.22 15:44
조정장에도 살아남은 배터리·게임 이데일리 2021.08.22 10:06
[마켓뷰] 3060선까지 밀린 코스피···5개월 만의 최저 조선비즈 2021.08.20 15:43
SK텔레시스, 유상증자 논란에 발목감사의견 거절로 성장전략 조선비즈 2021.08.20 11:17
코로나가 드러낸 SK '우산장수 부채장수' 비즈니스워치 2021.08.18 16:48
[특징주] ‘너무 빠졌나’...솔루스첨단소재·에코프로비엠 2차전지 ... 서울경제 2021.08.18 10:30
SK, 배터리 사업 상반기 매출 1 한국경제 2021.08.16 15:14
[MBN GOLD 시황저격] 다시 애플카 전기차 관련주 '훈풍... 매일경제 2021.08.13 04:04
삼성증권순환매 장선 모빌리티·친환경·리오픈주 투자해라 조선비즈 2021.08.09 08:31
[이번 추천주]"이젠 하반기로 돌리자"...DB하이텍·SKC ... 서울경제 2021.08.08 17:53
SKC, 배터리 동박 '풀가동-풀판매'…연내 6공장도 완공 [TNA] 헤럴드경제 2021.08.08 16:35
배터리 호조에 '양극재' 블루오션배터리사들 직접 나서는 머니투데이 2021.08.08 16:12
[주간추천주]호실적에 주목금호석유부터 만도까 이데일리 2021.08.08 10:31
[SK 주간추천주]2분기 호실적…SKC·만도·이오테크닉 이데일리 2021.08.07 08:02
2분기 연속 최대실적 SKC…조대식 배임 재판 국면 이데일리 2021.08.06 09:38

 

종목명 제목  증권사   작성일  조회수
SKC 하반기, 성장산업 중심 호실적 기대 이베스트증권 21.08.05 6679
SKC 2분기, 케미칼이 이끄는 호실적 기대 이베스트증권 21.07.19 8498
SKC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기업 이베스트증권 21.05.03 17143
SKC 폭풍전야 키움증권 21.03.30 26391
SKC 상반기는 화학, 하반기는 동박 키움증권 21.03.17 19553
SKC 장단기 투자 매력도 높은 기업 이베스트증권 21.02.10 23899
SKC Mobility 소재, 분기 매출액 1천억원 최초 상.. 키움증권 20.11.04 16732
SKC 21년. 전 부문의 개선세 이어질 것 DB금융투자 20.11.04 8831
SKC Crescendo, 점점 세게 키움증권 20.09.16 9631
SKC 부인할 수 없는 성장 DB금융투자 20.06.26 11674
SKC 올해 하반기부터 2단계 BM 혁신 가속화 전망 키움증권 20.06.25 6437
SKC 올해, BM Change의 원년 키움증권 20.05.08 6607
SKC 경쟁사 진입 등에도 동박사업 경쟁력 우위 지.. 키움증권 20.03.06 8406
SKC 매우 밝은 중장기 성장성 vs. 단기 숨고르기 .. 하나금융투자 20.02.06 5221
SKC 올해 EPS, 작년 대비 466.5% 증가 전망 키움증권 20.01.10 5392
SKC KCFT 성장 기대감이 높다 DB금융투자 19.12.26 3219
SKC 적기에 투명PI필름 라인 상업화 전망 키움증권 19.09.26 2735
SKC KCFT, 7월 동박 수출은 창사 최대치 기록 추.. 키움증권 19.08.22 3353
SKC 화학사업부 지분 49% 매각 결정은 Deep Chang.. 하나금융투자 19.08.08 1514
SKC T Value, 견고한 수준 지속 전망 키움증권 19.07.18 1502

 

SKC
 하반기, 성장산업 중심 호실적 기대
이베스트증권|2021.08.05|조회 6682

2Q21 Review: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 상회하는 실적

동사는 2021년 2분기 매출액 8,272억원(+11.1% QoQ, +44.6% YoY), 영업이익 1,350 억원(+60.0% QoQ, +169.5% YoY)으로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 대비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했다. 사업부문별로 보면, 화학부문은 PO/PG 중심 스프레드 확대가 지속되면서 사 상 최대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Industry 사업부문은 원재료 가격 상승에도 불구, 전방시 장 호조로 인한 고부가 제품 판매 확대로 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반도체 소재 역시, 고객사 Fab 증설에 따른 Ceramic Parts 수요 증가로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개선되었다. SK넥실리스는 1분기 대비 15% 이상 상승한 구리 가격에도 불구, Capa 풀가동에 정읍 5 공장 조기양산, 광폭 제품 비중 증가로 인하여 1분기와 유사한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3분기에도 호실적 기대

동사는 3분기에도 전 사업부문 호실적이 기대된다. 특히, 2분기 대비 영업이익률 상승이 기대되는 사업부는 단연 SK넥실리스다. 동사는 동박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정읍 5공장을 6월부터 조기 가동하였으며, 6공장(연말 완공 목표) 역시, 기존 계획보다 빠르게 양산이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21년 7월 착공 예정인 말레이시아 공장 증설 계획을 기존 4.4만톤에서 5.0만톤으로 상향(2023년 하반기부터 일부 라인 양산 시작), 미국 1위 전기 차 기업으로의 공급 계획 등 향후 성장 기대감이 더 높아진 상태이다.

동사에 대한 목표주가 상향 및 투자의견 유지

동사에 대한 목표주가 212,000원으로 상향, 투자의견 BUY를 유지한다. 이는 이익 상향 조정에 따른 것이다. 동사는 동박 뿐 아니라 반도체 소재, 친환경 소재 등 다양한 성장 포 트폴리오를 통한 투자 확대 및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 확대를 통해 외형 및 이익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SKC
 Crescendo, 점점 세게
키움증권|2020.09.16|조회 9632

SKC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595억원으로 전년 대비 46.7% 증가할 전망입니다. 주요 셀 메이커들의 가동률 개선 및 증설 효과로 동박 판매량이 증가하였고, USP 그 레이드 PG도 8월 이후 수출량이 급증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입니다. 한편 동사는 정읍에 No.5/6 동박 플랜트 건설을 발표하였고, 급성장하는 시장 성장률을 고려하여 해외에서 동박 플랜트 신설을 추가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로 최근 배 송을 시작한 폭스바겐 ID.3 배터리에 동사의 동박이 사용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국내 8월 동박 수출량, 재차 최고치 경신 동사는 단기, 중장기 실적 개선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동사의 올해 3분기 영 업이익은 595억원으로 전년 대비 46.7% 증가하며 견조한 실적을 유지할 예 상이다. 이는 1) No.4 플랜트 증설 효과 및 국내/외 배터리 셀 메이커 가동률 상승으로 동사 동박 판매/생산량이 증가하였고, 2) PP 수요 증가로 PO/PG 주요 원재료인 프로필렌 가격이 강세를 지속하고 있으나, 8월 이후 동사 주력 제품인 PG(특히 USP 그레이드)의 수출량이 급증하고 있으며, 3) TPA/MEG 가격이 역내/외 공급 과잉으로 약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포장용/산업용 수요 증가로 PET필름도 견고한 스프레드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한 편 올해 8월 국내 동박 수출량은 2,947톤으로 전년 대비 23.3% 증가하며, 전월에 이어 최대 수출량을 재차 경신하였다. 중국/폴란드 등에 위치한 주요 셀 메이커들의 가동률 개선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동사의 내년 영업 이익은 2,817억원으로 올해 대비 36.4% 증가할 전망이다. Mobility 소재부문 은 No.4 동박 플랜트 증설이 온기 반영되는 가운데, 역/내외 그린 딜 정책으 로 EV 판매가 확대되며 전지박 실적이 증가할 전망이며, 신규 성장동력인 반 도체 소재부문도 증설 효과 반영 및 Ceramic Parts/CMP의 신규 소재/고객 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말레이시아 등에서 No.7 동박 플랜트 신설 검토 동사는 정읍에 No.5/6 동박 플랜트를 건설할 계획이다. 증설로 인한 규모의 경제 효과가 추가될 전망이다. 또한 최근 외/내신을 추적하면, 동사는 말레이 시아/미국/유럽 등 해외에서 No.7 동박 플랜트 신설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 로 예상된다. 중국 경쟁사 증설 의지 압박, 고객 위치, 저렴한 전력비 접근, 인건비 절감 및 투자 혜택(법인세/세액공제/관세/토지 사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 중으로 보인다. 언론 보도에 언급된 Capex를 고려하면, 6~8만톤 규모의 생산능력으로 추정된다. 참고로 B3에 따르면 2차 전지 시장은 올해 417GWh에서 2025년 1.6TWh으 로 증가할 전망이다. EV향 배터리가 지속적으로 시장을 주도하는 가운데, 소 형 전지도 Cordless/IOT/의료 측정기기 등 신규 용도 시장 확대로 Tera급 시장으로 확대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에 동박 시장(1GWh 당 860톤 가정) 도 금액 기준으로 올해 3조원에서 2025년 11조원 규모로 증가할 전망이다.

SKC
 화학사업부 지분 49% 매각 결정은 Deep Change의 시작점
하나금융투자|2019.08.08|조회 1515

화학사업부 지분 49% 매각 결정은 Deep Change의 시작점
화학사업부 지분 49% 5,358억원에 쿠웨이트 PIC에 매각 SKC는 8/7일(어제) PO/PG가 핵심인 화학사업부를 물적분 할 한 후, 쿠웨이트 KPC(Kuwait Petroleum Corporation)의 자회사 PIC에 신설회사의 지분 49%를 매각하기로 결정했 다. 매각가액은 5,358억원이며 분할기일은 2020년 1/1일이 다. 지분 49%에 해당하는 매각가액(현금유입액) 5,358억원 을 역산하면 총 지분가치는 1.1조 가량으로 평가된 것이므 로 2018~19년 화학사업부 영업이익 평균 1,200억원을 감 안하면 PER 약 10~12배에 해당해 여타 화학업체의 Valuation 6~8배를 감안할 때 PO/PG 사업의 프리미엄이 부여된 적정한 매각가라 판단된다. 순차입금 3,065억원(차 입금3,202억원+현금250억원)또한 분할신설회사로 이전된다 는 점을 감안하면 신설회사의 사업가치는 1.4조원에 이른다.

 

화학사업, JV를 통해 글로벌화 PIC는 쿠웨이트 KPC의 자회사로 Dow와 JV로 PE/EG업체 EQUATE 지분 42.5% 및 The Kuwait Olefin, SK어드밴드 스드의 지분을 보유한 다운스트림 업체다. 향후 KPC/PIC와 업/다운스트림, 판매처 확보 등 다양한 측면에 시너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겠다. 또한 SKC는 중국과의 PO사업 JV도 진 행할 예정이다. JV를 통한 사업의 글로벌화가 전망된다.

 

지배주주순익의 감소는 KCFT가 메우고 남을 것 화학사업 지분매각으로 KCFT의 인수 관련 자금부담은 크게 완화되었다. 다만, 지분매각에 따라 2020년부터 화학사업 지배순이익의 49% 감소가 불가피하다. 참고로, 2018~19년 화학사업 영업이익 평균은 1,200억원이다. 하지만, 2020년 부터 KCFT가 전사 실적에 반영되면서 화학사업의 이익 감 소를 충분히 상쇄하고도 남을 전망이다. KCFT는 전지박 증 설(2만톤/년→3.2만톤)과 견조한 가격을 기반으로 2020년 영업이익 1,030억원으로 2018년 대비 8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2020년 경쟁사의 EV/EBITDA 14~16 배를 가정 시 인수에 따른 시총 증분은 약 6~9천억원으로 현재 대비 40~60%의 Upside가 존재한다. 적용 Valuation 은 전지박 매출 비중이 높다는 점, SKC와의 시너지 창출 등 을 감안하면 무리스럽지 않다. 화학사업 지분 매각, KCFT 인수 등의 Deep Change로 Valuation 상향이 기대된다





* 제공되는 내용은 투자에 영향을 주는 재료가 아닌 투자판단에 참고자료 입니다.

※ 투자성과는 보유종목 기준으로 산출되어, 매도시 발생하는 실현손익은 반영되지 않습니다.

 

 

 

728x90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